목차
Ⅰ. 개요
Ⅱ.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의 의의
Ⅲ.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의 특징
Ⅳ.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용
1. 3학년
2. 4학년
3. 5학년
4. 6학년
Ⅴ.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실제
1. 세마치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2. 굿거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3. 자진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표현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중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표현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지도 방법
5. 중중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지도방법
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정간보
1. 휘모리 장단(이채)
2. 자진모리 장단(삼채)
3. 세마치(양산도) 장단
4. 오방진 가락
5. 굿거리 장단
Ⅶ.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실화 방안
참고문헌
Ⅱ.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의 의의
Ⅲ.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의 특징
Ⅳ.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용
1. 3학년
2. 4학년
3. 5학년
4. 6학년
Ⅴ.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실제
1. 세마치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2. 굿거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활동을 통한 지도 방법
3. 자진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표현 활동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중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표현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지도 방법
5. 중중모리 장단 지도 단계
1) 구음을 통한 지도방법
2) 신체 표현을 통한 지도방법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4) 통합적인 지도방법
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정간보
1. 휘모리 장단(이채)
2. 자진모리 장단(삼채)
3. 세마치(양산도) 장단
4. 오방진 가락
5. 굿거리 장단
Ⅶ.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실화 방안
참고문헌
본문내용
며 손과 무릎 장단을 치도록 한다.
양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오른손 왼손 왼손 오른손 왼손 왼손
무릎 ― ― ― ― ― ―
(2) 리듬악보를 보며 구음 장단
(덩 덕) (쿵 덕 덕) (쿵 쿵 덕) (쿵 쿵)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1) 장구 부호가 포기된 정간보 악보로 장구장단을 치도록 한다.
(2) 정간보 악보로 다양한 전통 리듬악기로 장단을 연주토록 한다.
4) 통합적인 지도방법
(1) 리듬악보를 보며 구음하며 손무릎 장단을 치도록 한다.
(2) 정간보 보며 장구 장단을 구음으로 치도록 한다.
(3) 구음하며 장단을 치도록 한다.
(4) 장구와 전통리듬악기를 이용하여 장단을 치도록 한다.
(5) 변형 장단을 만들어 구음하며 신체 표현해 보도록 한다.
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정간보
1. 휘모리 장단(이채)
휘모리 장단 ①
○
○
덩 덩 쿵 딱 쿵
휘모리 장단 ②
○
덩 다다(약하게)쿵 딱 쿵
휘모리 장단 ③
○
○
○
×4
덕(딱) 쿵 쿵 덕(딱) 쿵
휘모리 장단 ④
○
○
○
○
다듬이 ×4
궁 덕(따)궁 다 궁 덕(따)궁 다
세게 약하게
휘몰이 장단 ⑤ - 숙바
○
○
×4
궁 덕(따)궁 다
휘모리 장단 ⑥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따
○
○
○
○
○
쿠 궁 따 쿠 쿵 따 쿵
휘모리 장단 ⑦-진오방진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2. 자진모리 장단(삼채)
자진모리 ①
○
덩 덩 덩 따 궁 따
○
○
○
덩 따 궁 따 쿵 따 쿵 따
자진모리 ②
○
○
○
덩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
◎
◎
◎
따 쿵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복습단계(휘몰이)>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따
○
○
○
○
○
쿠 궁 따 쿠 쿵 따 쿵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3. 세마치(양산도) 장단
①
○
덩 덩 덕 쿵 덕
②
○
더덩 덩 덕 쿵 덕
③
○
더덩 덩 덕 쿵 덕
④
○
더덩 덩 덕 쿵
4. 오방진 가락
덩 덩 덩 덩 다다
더더덩 더더덩 덩 덩 다다
¡
○
○
×2
덩 기닥 따 궁 따 궁 딱
(진오방진)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
○
○
○
○
○
○
○
×4
딱쿠 궁 따 쿵 따 쿵 딱 쿠 궁 따 쿵 따 쿵
5. 굿거리 장단
굿거리 ①
¡
○
○
¡
○
덩 기덕 쿵 더러러러 쿵 기덕 쿵 덕
굿거리 ②
○
¡
○
덩 덩 덩 더러러러 쿵 기덕 쿵 덕
굿거리 ②
¡
○
¡
○
¡
○
덩 더 기덕 쿵 더 기덕 쿵 더 기덕 쿵 딱(덕)
<복습단계>
자진모리
○
○
○
덩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
◎
◎
◎
따 쿵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오방진
덩 덩 덩 덩 다다
더더덩 더더덩 덩 덩 다다
¡
○
○
×2
덩 기닥 따 궁 따 궁 딱
Ⅶ.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실화 방안
굿거리와 자진모리는 12/8박자, 세마치는 9/8박자로 표기할 경우 모두 점사분음표가 한 박이 된다. 그러므로 굿거리와 자진모리는 4박자, 세마치는 3박자가 된다.
첫 번째 단계로는 박자의 원박을 소고나 손뼉으로 치게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장구의 궁편과 채편을 나누어 발구르기와 손뼉으로 치게 하거나 소고의 경우는 복판과 테두리로 나누어 치게 한다. 굿거리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므로 각 박을 팔분음표 세 개로 나누어 치게 한다. 양손으로 무릎장단을 칠 때는 ‘덩’과 ‘궁’을 구분해서 치게 한다.
세 번째 단계로는 한 박을 <긴 박- 짧은 박>의 리듬형으로 나눠 치게 한다. 이어서 <긴 박-짧은 박>과 <짧은 박-긴 박>의 리듬형을 섞어서 치게 한다. 굿거리의 경우는 채굴림(더러러러)을 치게 한다. 겹채(기덕)가 가능하다면 쳐도 좋겠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되므로 너무 강조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동요와 장단의 동시 지도>
초등학교 5, 6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장단치기가 나오지만 3, 4학년의 경우는 장단을 친다기 보다는 박자를 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3, 4학년의 경우는 물론이고 5, 6학년의 경우도 능숙하게 장단을 친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지만 장단을 몸으로 느낄 수만 있으면 충분하지 않나 생각된다. 혹시 장단치기를 한다고 하더라도 장구를 가지고 본격적으로 장단을 치는 것보다 오히려 소고나 손뼉, 발 구르기와 손뼉 치기, 무릎을 손바닥으로 치는 무릎장단, 구음으로 따라하기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리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교육과정에서는 차시를 나누어 1차시에는 노래를 배우고 2차시에 가서야 장단을 배우도록 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래를 배우면서 동시에 쉬운 박자치기를 하는 것이다. 물론 동시에 배우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처음에는 원박만 치는 것이므로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첫 번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음 과정 역시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따라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미영(1996),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전통음악 장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이화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수·고춘선·허화병(1991), 전통음악 학습 지도법,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 류상일(2000), 장단학습을 위한 우리 장단·춤·음악, 세종출판사
◈ 송인세(1991), 전통음악 학습지도의 방법적 연구, 경남 : 경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덕상(1996), 말장단을 통한 기본 장단 지도방법 모색,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우천미(1996), 사물놀이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전통음악의 표현능력 신장 연구, 서울 : 연세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양손 오른손 왼손 오른손 오른손 왼손 왼손 오른손 왼손 왼손
무릎 ― ― ― ― ― ―
(2) 리듬악보를 보며 구음 장단
(덩 덕) (쿵 덕 덕) (쿵 쿵 덕) (쿵 쿵)
3) 악기를 통한 지도방법
(1) 장구 부호가 포기된 정간보 악보로 장구장단을 치도록 한다.
(2) 정간보 악보로 다양한 전통 리듬악기로 장단을 연주토록 한다.
4) 통합적인 지도방법
(1) 리듬악보를 보며 구음하며 손무릎 장단을 치도록 한다.
(2) 정간보 보며 장구 장단을 구음으로 치도록 한다.
(3) 구음하며 장단을 치도록 한다.
(4) 장구와 전통리듬악기를 이용하여 장단을 치도록 한다.
(5) 변형 장단을 만들어 구음하며 신체 표현해 보도록 한다.
Ⅵ.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정간보
1. 휘모리 장단(이채)
휘모리 장단 ①
○
○
덩 덩 쿵 딱 쿵
휘모리 장단 ②
○
덩 다다(약하게)쿵 딱 쿵
휘모리 장단 ③
○
○
○
×4
덕(딱) 쿵 쿵 덕(딱) 쿵
휘모리 장단 ④
○
○
○
○
다듬이 ×4
궁 덕(따)궁 다 궁 덕(따)궁 다
세게 약하게
휘몰이 장단 ⑤ - 숙바
○
○
×4
궁 덕(따)궁 다
휘모리 장단 ⑥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따
○
○
○
○
○
쿠 궁 따 쿠 쿵 따 쿵
휘모리 장단 ⑦-진오방진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2. 자진모리 장단(삼채)
자진모리 ①
○
덩 덩 덩 따 궁 따
○
○
○
덩 따 궁 따 쿵 따 쿵 따
자진모리 ②
○
○
○
덩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
◎
◎
◎
따 쿵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복습단계(휘몰이)>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
○
○
○
딱 쿠 궁 따 쿵 따 쿵 따
○
○
○
○
○
쿠 궁 따 쿠 쿵 따 쿵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3. 세마치(양산도) 장단
①
○
덩 덩 덕 쿵 덕
②
○
더덩 덩 덕 쿵 덕
③
○
더덩 덩 덕 쿵 덕
④
○
더덩 덩 덕 쿵
4. 오방진 가락
덩 덩 덩 덩 다다
더더덩 더더덩 덩 덩 다다
¡
○
○
×2
덩 기닥 따 궁 따 궁 딱
(진오방진)
○ ○
○ ○
○ ○
덩 다다 쿵딱쿵 따쿠궁따 궁딱쿵
○
○
○
○
○
○
○
○
×4
딱쿠 궁 따 쿵 따 쿵 딱 쿠 궁 따 쿵 따 쿵
5. 굿거리 장단
굿거리 ①
¡
○
○
¡
○
덩 기덕 쿵 더러러러 쿵 기덕 쿵 덕
굿거리 ②
○
¡
○
덩 덩 덩 더러러러 쿵 기덕 쿵 덕
굿거리 ②
¡
○
¡
○
¡
○
덩 더 기덕 쿵 더 기덕 쿵 더 기덕 쿵 딱(덕)
<복습단계>
자진모리
○
○
○
덩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
◎
◎
◎
따 쿵 따 쿵 따 따 쿵 따 따 쿵 따
오방진
덩 덩 덩 덩 다다
더더덩 더더덩 덩 덩 다다
¡
○
○
×2
덩 기닥 따 궁 따 궁 딱
Ⅶ. 한국전통음악(국악) 장단지도의 내실화 방안
굿거리와 자진모리는 12/8박자, 세마치는 9/8박자로 표기할 경우 모두 점사분음표가 한 박이 된다. 그러므로 굿거리와 자진모리는 4박자, 세마치는 3박자가 된다.
첫 번째 단계로는 박자의 원박을 소고나 손뼉으로 치게 한다.
두 번째 단계는 장구의 궁편과 채편을 나누어 발구르기와 손뼉으로 치게 하거나 소고의 경우는 복판과 테두리로 나누어 치게 한다. 굿거리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속도가 느리므로 각 박을 팔분음표 세 개로 나누어 치게 한다. 양손으로 무릎장단을 칠 때는 ‘덩’과 ‘궁’을 구분해서 치게 한다.
세 번째 단계로는 한 박을 <긴 박- 짧은 박>의 리듬형으로 나눠 치게 한다. 이어서 <긴 박-짧은 박>과 <짧은 박-긴 박>의 리듬형을 섞어서 치게 한다. 굿거리의 경우는 채굴림(더러러러)을 치게 한다. 겹채(기덕)가 가능하다면 쳐도 좋겠지만 필수적인 요소는 아니라고 생각되므로 너무 강조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
<동요와 장단의 동시 지도>
초등학교 5, 6학년 교육과정에서는 장단치기가 나오지만 3, 4학년의 경우는 장단을 친다기 보다는 박자를 치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 3, 4학년의 경우는 물론이고 5, 6학년의 경우도 능숙하게 장단을 친다면 더 바랄 나위가 없겠지만 장단을 몸으로 느낄 수만 있으면 충분하지 않나 생각된다. 혹시 장단치기를 한다고 하더라도 장구를 가지고 본격적으로 장단을 치는 것보다 오히려 소고나 손뼉, 발 구르기와 손뼉 치기, 무릎을 손바닥으로 치는 무릎장단, 구음으로 따라하기 등을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리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교육과정에서는 차시를 나누어 1차시에는 노래를 배우고 2차시에 가서야 장단을 배우도록 되어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노래를 배우면서 동시에 쉬운 박자치기를 하는 것이다. 물론 동시에 배우는 것이 쉽지는 않겠지만 처음에는 원박만 치는 것이므로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첫 번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면 다음 과정 역시 단계적으로 난이도를 높이는 것이기 때문에 큰 어려움 없이 따라올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김미영(1996),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전통음악 장단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 이화여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정수·고춘선·허화병(1991), 전통음악 학습 지도법, 서울 : 세광음악출판사
◈ 류상일(2000), 장단학습을 위한 우리 장단·춤·음악, 세종출판사
◈ 송인세(1991), 전통음악 학습지도의 방법적 연구, 경남 : 경남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우덕상(1996), 말장단을 통한 기본 장단 지도방법 모색, 청원 :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우천미(1996), 사물놀이의 단계적 지도를 통한 전통음악의 표현능력 신장 연구, 서울 : 연세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 한국전통사상의 문화교육적 의의에 대한 논평
- [사범대]-한국전통 아동발달이론
- 한국전통무용
- 한국전통목조주택에대해
- 한국전통문화의 교육적 활용방안
- 한국전통음식의특징
- 한국전통주거
- 한국전통문화 콘텐츠만들기 : 황조가(黃鳥歌)
- 칵테일과 술문화 - 한국전통의 술 문화를 계승 발전시켜 개인의 인격과 국가의 품격을 제고할...
- 소쇄원에 반영된 한국전통건축 공간구성방법 분석을 통한 현대건축과의 연계가능성 탐구
- [한국전통문화] 김홍도의 풍속화에 나타나는 조선 후기의 풍습의 단면(교육문화, 혼례문화, ...
- [한국전통문화]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
- [한국전통문화] 풍속화의 이해와 김흥도의 풍속화 작품 소개(김흥도 풍속화의 특징과 김흥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