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풍수지리학) 논리,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와 제언 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풍수(풍수지리학) 논리,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와 제언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풍수(풍수지리학)의 개념

Ⅲ. 풍수(풍수지리학)의 용어
1. 음택
2. 양묘
3. 용
4. 맥절
5. 혈
6. 사
7. 국
8. 내용
9. 조산종산
10. 주산 후산(진산)
11. 입수
12. 두뇌
13. 성, 사성
14. 청룡, 백호
15. 명당
16. 득, 파(수구)
17. 지, 현
18. 미사
19. 안산
20. 조산
21. 좌향

Ⅳ. 풍수(풍수지리학)의 논리
1. 음양오행법
2. 간룡법
3. 장풍법
4. 득수법
5. 정혈법
6. 좌향론
7. 형국론

Ⅴ. 풍수(풍수지리학)와 풍수사

Ⅵ. 풍수(풍수지리학)와 패철
1. 패철의 유래
2. 패철사용법
1) 황천수 측정
2) 팔요풍 측정
3) 오행 년운 산정
4) 이십사방위
5) 이십사방 배합도

Ⅶ. 풍수(풍수지리학)와 신앙
1. 풍수
2. 제사
2. 무속

Ⅷ. 풍수(풍수지리학) 관련 묘지훼손 사례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사람의 집 뿐 아니라 마을이나 도읍, 궁궐의 경우에도 적용되며(陽宅風水), 특히 조선시대 이래 강화된 유교적 효 이념은 죽은 조상에 대한 숭배의식과 결합한 陰宅風水는 현대에 이르기까지 풍수의 대명사로 알려질 만큼 지배적인 풍수로 자리 잡게 되었다. 음택풍수는 죽은 사람 특히 부모 조상의 유골이 받은 지기가 혈연(동기)이라는 이유로 자식과 후손에게 옮겨진다는 親子感應과 同氣感應의 논리를 따른 것인데, 위의 사건에서 무속인 양씨가 묘지훼손 행위에 적용한 논리가 바로 이 논리이다.
그러나 양씨의 경우 그녀가 왕이나 충무공의 혈족이 아니기 때문에 동기감응론과 친자감응론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발복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그녀는 왕이나 다른 위인의 유골만으로는 생기를 전달받을 수 없다. 그녀에게 중요한 것은 왕이나 충무공 묘혈이 명당이라는 사실이기 때문에 유골 대신에 명당의 지기를 전달받을 수 있는 대체물이 필요했다. 그래서 그녀는 식칼과 쇠말뚝을 생기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사용한 것이다. 더욱이 부식을 막기 위해 칼과 쇠말뚝에 칠한 폐유는 상징적으로 생기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윤활유 역할을 한 것이다.
그러나 칼과 쇠말뚝을 묘소에 박는 행위의 상징적 의미는 풍수논리에 의거하면, 발복의 기원보다, 병의 원인이 되는 충무공의 기를 꺾기 위한 음해에 있다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칼과 쇠말뚝을 묘지 깊숙이 박음으로써, 그녀는 땅의 생기를 차단하고 이를 통하여 충무공의 신령한 힘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묘지 훼손은 풍수설화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사례이다. 실제로 묘의 주인공과 후손들의 발복을 막기 위하여 명당에 서려있는 생기를 해치는 것을 \"묘터에 뜸을 뜬다.\"고 하여 예로부터 있어온 일이라 한다. 이것은 묘를 파헤쳐 유골을 난도질 한 후 불을 질러 火氣를 들이붓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식칼과 쇠말뚝은 여기서 충무공의 유골과 그 혼령이 지닌 기를 제압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폐유는 화기를 불어넣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식칼과 쇠말뚝, 폐유의 용도와 상징적 의미에 있어서 앞의 해석과 모순된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의 모순은 풍수의 음양조화론이 가지는 성적 함축과 관련시켜 재해석을 해보면 해소된다. 풍수에 의하면 땅은 여성이며 땅의 생기는 사랑과 생식의 직접적인 표현이기 때문에, 특수한 자리에 집을 짓거나 매장을 하면 인간에게 부와 성공, 많은 자손이 보장된다고 믿는 것이다. 명당은 음양이 부합되는 곳으로 기가 모이고 정이 쌓이는 곳이라 한다. 이러한 명당 길지에 대한 관념이 사자에 대한 존경과 숭배 즉 조상숭배 의식과 결합하여 발달한 것이 \'명당 발복\'풍수이다. 이러한 풍수의 음양조화론에 따라 위의 세 가지 도구의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구의 성적 상징성과 그 도구를 사용하는 행위 자체의 에로틱 상징 효과와 관련시켜보면, 精氣의 매개체로서 이중적 의미를 가진다. 용도에 있어서 세 도구는 행위자 자신에게는 기복을 추구하는 데 사용하고 피해자에게는 단기에 사용된다. 칼과 쇠말뚝은 먼저 강력한 상해무기로서 피학자 충무공의 기를 제압하는 데 사용되지만, 한편 그 자체 모양이 갖고 있는 팔루수적 상징성은 여성을 상징하는 땅과의 성적 접촉을 통해 명당이 갖고 있는 생기의 전이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땅의 지기는 끊임없이 흐르는 생명의 신비를 지니며 음양의 결합을 통해 생명을 보존 증식하는 성향을 가지기 때문에 묘지나 집, 칼과 쇠말뚝 같은 팔루스적 상징은 그러한 왕성한 생명력을 전이하는 매체가 될 수 있는 것이다.
Ⅸ. 결론 및 제언
대통령이든 국회의원이든 간에 후보들 중에는 선거를 앞두고 조상의 묘소를 옮겨 화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은 \'풍수지리\' 때문이다. 우주를 비행하는 최첨단 시대에 과학이 아니라며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있다.
그 예로 노무현 대통령의 생가가 있는 봉하마을 관련하여 방영된 보도에 의하면 전국 각지의 지관들과 풍수지리 연구가들이 생가와 선친의 묘자리까지 둘러보고 가는데 한 인터뷰한 시민은 “어려운 가정 속에서도 열심히 하면 뭔가를 할 수 있는 꿈을 심어주기 위해 아들과 함께 왔다.” 고 한 사람도 있었고 50년 풍수지리 전문가 이태경씨는 풍수지리학으로 봐서 재왕의 터이다. 재왕이란 임금 ‘제’자에 임금 ‘왕’자..... 라고 하였고 한국자연지리협회 회장은 노영준씨는 “산자락의 끝자락이며 좌청룡이 끝나는 집이다”. 라고 했는데 청룡이 감아주는 형국이 어머니가 아기를 끌어안은 형국이다. 라고 하였으며 특히 둘째 형 건평씨가 1월 1일 들일을 나가다 금계를 발견했는데 들꿩의 일종인 금계는 부와 권력의 상징이라고 한다. 그때는 몰랐는데 당선이 되고 나니까 유명해 졌고 이런 일로 하여 생가 터의 돌과 흙을 가져간다고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나오기 전 까지는 이 곳이 풍수지리학적으로 명당이라는 것도 없었고 지관 및 전문가들도 관심을 가지지 않았다고 마을 주민이 말을 했다. 이것은 예전부터 사람들의 생활 속에 있는 풍수사상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원래 풍수적으로 관심을 가지지 못하던 지역이 그 지역에 유명한 사람이 출생되면서 그 지역이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이다. 지금 21세기에 과학문명의 발달로는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풍수지리\'는 학문으로 인정받으면서, 대학에서 가르치기까지 한다. 어떤 이는 청와대를 옮겨야 한다면서, 그 이유로 \'풍수지리\'를 들고 있다. 풍수학은 수천 년을 내려온 우리의 전통문화이다. 미신적으로 내려오는 풍수가 아니라 이론이 체계화된 풍수로의 발전이 있어야 하겠고 그간풍수가 보여 왔던 신비적인 측면을 뒤로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의 틀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기풍수와 세련된 이기풍수를 접목시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광언(2001), 풍수지리(집과 마을), 대원사
강길부(1983), 풍수지리설의 현대적 의미, 정신문화, 서울 : 한국정신 문화연구원
손정희(1992), 한국풍수설화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임덕순(1999), 한국인의 전통적 지리관, 한국문화역사지리회
최길성, 조선의 풍수, 민음사
최영주 저(1994), 신 한국풍수, 동학사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5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