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수업, 기행문쓰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민속놀이수업, 대한민국(한국)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생활예절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음악줄넘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전통음악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방과후수업, 기행문쓰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민속놀이수업, 대한민국(한국)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생활예절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음악줄넘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전통음악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방과후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너와나의 인상
2. 내마음을 드립니다
3. 나의 길을 당신에게
1) 활동 1
2) 활동 2
3) 유의사항
4. 어둠의 터널을 탈출하라

Ⅱ. 기행문쓰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기행문의 대표적인 특성
2. 기행문을 읽는 요령
3. 기행문을 쓰는 단계
1) 여행지에 대해 미리 조사
2) 여행 중의 기록
3) 여행 후의 글감 정리
4. 기행문을 잘 쓰려면
5. 기행문의 여러 가지 형식
1) 생활문 형식의 기행문
2) 일기 형식의 기행문
3) 편지글 형식의 기행문
4) 시 형식의 기행문
5) 보고서 형식의 기행문

Ⅲ. 민속놀이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민속놀이의 특성
2. 민속놀이 놀잇감의 종류
3. 우리 민속놀이의 교육적 가치 모색

Ⅳ. 대한민국(한국)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태극기 사랑은 나라 사랑
1) 태극기(太極旗)의 제정 역사
2) 태극기에 담긴 뜻
3) 국기의 제작 방법
4) 국기를 게양하는 날
5) 국기를 게양하는 방법
6) 국기에 대한 예절
2. 애국가 사랑은 나라 사랑
3. 무궁화 사랑은 나라 사랑
1) 무궁화의 유래
2) 무궁화에 담긴 정신
3) 인류 평화와 박애 정신

Ⅴ. 생활예절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선생님에 대한 예절
1) 선생님에 대한 인사 예절
2) 교무실을 출입할 때
3) 수업 시간의 예절
2. 교에서의 생활예절
1) 교실에서의 예절
2) 도서실에서의 예절
3) 협동 조합이나 식당을 이용할 때
4) 화장실 사용 방법
3. 대화예절
1) 말을 할 때
2) 남의 말을 들을 때
3) 대화시 주의 사항

Ⅵ. 음악줄넘기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음악줄넘기의 탄생
2. 음악 줄넘기의 특색
3. 음악줄넘기의 운동량
4. 음악줄넘기의 창조성
5. 즐거움을 가진 음악줄넘기
6. 음악줄넘기의 기본 자세
7. 음악줄넘기할 때 유의할 점
8. 음악줄넘기 음곡 선정
9. 음악줄넘기의 복장과 넘는 장소
10. 준비 운동과 정리 운동
11. 학년별 음악줄넘기 지도의 유의점
1) 저학년 지도의 주의점
2) 중학년 지도의 주안점
3) 고학년 지도의 주안점

Ⅶ. 전통음악수업 교수자료(교육자료)
1. 음악지도의 유형
1) 가창중심 학습지도
2) 기악 중심 학습 지도
3) 창작 중심 학습 지도
4) 감상 중심 학습 지도
2. 전통음악 교육의 실제
1) 1․2학년 즐거운 생활에서의 전통음악 지도
2) 3~6 학년의 전통음악 지도

참고문헌

본문내용

갖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3) 창작 중심 학습 지도
전통음악의 교육은 옛것을 옛것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그쳐서는 안 된다. 전통적인 음악언어를 이해하여 그 방법으로 자기표현할 수 있는 재창조의 기능을 갖추었을 때 전통음악 교육은 가치가 있는 것이다.
전래동요의 음구성은 청음력과 리듬감 훈련에 매우 적당한 자료가 된다. 전래동요의 음구성을 기초로 단순한 음들 중에서 높은 소리와 낮은 소리를 가리고, 가락을 듣고 적으며, 나아가서는 그러한 음들을 가지고 음악을 만들어보는 것은 음들의 기능을 생각하지 않더라도 음악어법 훈련에 좋은 활동이 된다.
가사 창작 활동은 말과 음악의 리듬과의 관계를 살피게 하기 위한 과정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활동에서는 주제를 주고 주제에 맞게 가사를 짓고 정간보에 채워넣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 때 44조의 전래동요를 활용하면 좋다.
리듬 창작 활동에서도 정간보를 사용하여 대강을 그어주고 사이를 채우며 리듬을 짓도록 하는 데, 기본박을 먼저 제시하고 기본박에서 덜어내거나 첨가하여 리듬을 만들어나가게 하기, 한 장단씩 즉흥적으로 만들어 이어치기, 같게 다르게 지어치기, 먼저 소리로 나타내고 정간보에 적기, 4장단 정도 변화 주어 가며 지어 치기 등으로 발전 할 수 있다.
가락 창작은 리듬 창작이 이루어진 후 또는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전통적인 음계의 특징을 살려 소재 제공해야 한다. 두음(미-라, 솔-도, 레-솔), 세음(미-라-도, 미-라-시, 솔-도-레, 레-미-솔), 다섯 음(미-솔-라-도-레, 레-미-솔-라-도, 솔-라-도-레-미, 라-도-레-미-솔, 도-레-미-솔-라)을 사용하며, 어떤 음을 가장 낮은 음(으뜸음)으로 삼을 것인가를 정한 후 같은 음계 노래의 음진행을 이용해 창작하도록 한다.
4) 감상 중심 학습 지도
감상 학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음악교육은 우리와 다른 음악언어를 이해하기 위해 힘써왔고, 우리와 다른 삶의 모습을 표현한 음악에서 심미적 체 험을 하려고 노력해왔다. 앞에서도 여러 차례 언급되었듯이 우리가 이해하기에 가장 좋은 것이 우리 음악언어로 표현한 우리의 음악이다.
전통음악의 아름다움은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을 이해하고 의식구조를 파악하였을 때 가능하다. 조상들이 즐겨 사용하던 음들은 무엇이었고, 왜 그러했는가? 조상들이 좋은 음악이라 생각했던 것은 어떤 요소를 갖춘 것인가? 조상들은 여럿이 흥겹게 지낼 때 어떠한 리듬에 어깨춤이 저절로 나왔는가? 등을 알고 음악을 감상 할 때 전통음악의 참 가치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정악은 악기 편성, 악기의 음색, 절제미 등에 관심을 두고 감상하게 하는 것이 좋고, 민속악은 소리의 유창성, 흥의 지속, 시김새, 가사의 표현 등에 중점을 두고 감상하게 하는 것이 좋다.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서 영상, 소리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며, 가능하면 노래는 가사를 풀이해주어 이해하며 듣게 하여야 하고, 특히 음악의 쓰임 및 유래 등은 꼭 언급해야 한다. 한편 쉬운 가락은 미리 연습해 그 부분은 따라 부르며 감상하고, 전통음악은 대부분 악-가-무 동시에 이루어지는 음악이므로 감상방법도 열린 감상(생각, 표현방법, 장소, 감상 태도 등)으로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전통음악 교육의 실제
전통음악교육의 중요성과 관심이 늘면서 많은 교사들이 각종 연수에 참가하는 등 노력을 하고 있다. 그러나 연수를 많이 받았더라도 교육현장에서 실제 지도를 할 경우에는 막막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기능위주의 연수가 아니라 실질적인 지도방법을 연수하는 것이 좋겠다는 생각이다. 즉,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에 대해 생각하고 배울 기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 방법 중의 하나로 학년별 수준별로 지도해야 하는 개념을 단계적으로 설정해 놓고 교사들이 직접 체험하게 하는 방법도 의미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7차교육과정에 제시된 각 학년별 주요 지도 내용과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12학년 즐거운 생활에서의 전통음악 지도
전래동요는 기존 창작동요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전통적인 가락과 장단을 체득할 수 있고 가사내용을 통하여 조상들의 생활 정서를 이해할 수 있으며 대부분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곡이다. 따라서 활발한 신체 활동을 필요로 하는 1학년 시기의 어린이들에게 좋은 학습 내용이 될 뿐만 아니라 공동체 의식을 기르는 데에도 훌륭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1학년 어린이들에게는 단순하게 반복되는 가락이 많고 5음 이내로 구성되어 음역이 넓지 않아 부르기 쉬우며 간단한 장단으로 바꾸어 지도하기 쉬운 전래동요의 지도에 주점을 두는 것이 옳다. 전래동요에서는 간단한 4박 장단 듣고 따라하기와 신체의 움직임을 협응시키는 지도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전래동요를 익혀 노래를 부르고, 장단에 맞추어 몸을 움직이며, 장단 음악을 감상하는 등과 같은 활동을 통하여 우리 민족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1학년에 갓 입학한 어린이들이 처음 접하는 음악을 전통음악으로 하여 전통문화에 친근하게 되면 2학년 어린이들은 전통문화와 다른 나라 문화를 비교할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된다. 1학년 어린이들은 주로 자진모리 장단의 전래동요를 부르면서 장단감각을 익히고 전통음악에 흥미를 갖게 하는 활동을 하게 되고 2학년이 되면 시김새를 표현하여 노래하게 되며. 중모리 장단의 노래를 학습하게 되고, 특히 정간보를 사용하여 장단을 익히게 된다. 강강술래놀이는 1학년에서 남생아 놀아라를 2학년에서 덕석몰기 노래를 익혀 놀이하게 되고, 특히 2학년에서는 강강술래와 비슷한 월워리 청청을 배우면서 지역간 풍습의 차이를 느끼게 된다.
1학년 주요곡) 남생아 놀아라. 새는 새는, 우리 마을, 두꺼비 집이 여물까, 달아달아, 송아지떼기, 앞니빠진 중강새, 꿩 꿩 장서방, 잠자리, 달두달두 밝다, 동아따기 노래, 달아달아 밝은달아, 기와밟기 ,이 거리 저 거리 각 거리, 널뛰기,
2학년 주요곡) 어깨동무,꼭꼭 숨어라, 벌아벌아 꿀떠라. 꼭두각시(감상곡), 덕석몰기,에농데농,앞니빠진 갈가지, 비, 달팽이, 풍뎅이, 해야해야, 색시풀, 개구리, 개떡, 송아지,, 둥개둥개 둥개야, 월워리 청청, 새
  • 가격7,5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11.04.0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3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