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목차
삼국연의 제 23회 예정평[예형]은 옷을 벗어 적을 욕하며 길태의[길평]는 독을 내려 조조의 형벌을 받다
삼국연의 제 24회 국가의 적(조조)이 흉악하게 귀비를 죽이며 황숙[유비]은 패주하여 원소에게 투항하다
삼국연의 제 24회 국가의 적(조조)이 흉악하게 귀비를 죽이며 황숙[유비]은 패주하여 원소에게 투항하다
본문내용
第二十三回 (아비 사당 녜{예,니,이}; -총19획; n)형: 정평(正平) 173~ 반(般) 사람
천하의 기재라 불리었다. 공융의 추천으로 조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조조와 대면하는 자리에서 예의를 갖추지 않고 조조의 부하들을 심하게 매도했다. 조조의 사신으로 형주에 가게되나 유표를 능멸하고 유표는 그를 황조에게 보낸다. 얼마간 황조와 잘 지내지만 결국 그에게도 모욕적인 언사를 하고 죽음을 당한다.
正平裸衣罵賊 吉太醫 길태(吉太) 칭평(稱平) ?~218 낙양(洛陽) 사람:어의, 길평(吉平)이라고도 함, 조조 암살을 꾀한 후한(後漢)의 충신. 의술에 뛰어나 관직 태의(太醫)에 올랐다. 동승(董承)과 뜻을 같이 하여 조조(曹操)를 독살하려다 사전에 발각되어 문초 중 스스로 댓돌에 머리를 찍어 자결했다.
下毒遭刑
제이십삼회 이정평나의매적 길태의 하독조형.
삼국연의 제 23회 예정평[예형]은 옷을 벗어 적을 욕하며 길태의[길평]는 독을 내려 조조의 형벌을 받다
說曹操欲斬劉岱、王忠。
각설조조욕참유대 왕충.
각설하고 조조는 유대, 왕충을 베려고 했다.
孔融諫曰:「二人本非劉備敵手,若斬之,恐失將士之心。」
공융간왈 이인본비유비적수 약참지 공실장사지심.
공융이 간언하여 말하길 “두 사람은 본래 유비의 적수가 아니니 마약 베면 장사의 마음을 잃을까 두렵습니다.”
操乃免其死,黜 黜(물리칠 출; -총17획; chu)
罷爵祿,欲自起兵伐玄德。
조내면기사 출파작록 욕자기병벌현덕.
조조는 죽음을 면하게 하며 작록을 빼앗아
천하의 기재라 불리었다. 공융의 추천으로 조조의 부름을 받았으나, 조조와 대면하는 자리에서 예의를 갖추지 않고 조조의 부하들을 심하게 매도했다. 조조의 사신으로 형주에 가게되나 유표를 능멸하고 유표는 그를 황조에게 보낸다. 얼마간 황조와 잘 지내지만 결국 그에게도 모욕적인 언사를 하고 죽음을 당한다.
正平裸衣罵賊 吉太醫 길태(吉太) 칭평(稱平) ?~218 낙양(洛陽) 사람:어의, 길평(吉平)이라고도 함, 조조 암살을 꾀한 후한(後漢)의 충신. 의술에 뛰어나 관직 태의(太醫)에 올랐다. 동승(董承)과 뜻을 같이 하여 조조(曹操)를 독살하려다 사전에 발각되어 문초 중 스스로 댓돌에 머리를 찍어 자결했다.
下毒遭刑
제이십삼회 이정평나의매적 길태의 하독조형.
삼국연의 제 23회 예정평[예형]은 옷을 벗어 적을 욕하며 길태의[길평]는 독을 내려 조조의 형벌을 받다
說曹操欲斬劉岱、王忠。
각설조조욕참유대 왕충.
각설하고 조조는 유대, 왕충을 베려고 했다.
孔融諫曰:「二人本非劉備敵手,若斬之,恐失將士之心。」
공융간왈 이인본비유비적수 약참지 공실장사지심.
공융이 간언하여 말하길 “두 사람은 본래 유비의 적수가 아니니 마약 베면 장사의 마음을 잃을까 두렵습니다.”
操乃免其死,黜 黜(물리칠 출; -총17획; chu)
罷爵祿,欲自起兵伐玄德。
조내면기사 출파작록 욕자기병벌현덕.
조조는 죽음을 면하게 하며 작록을 빼앗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