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인지행동치료란?
2. 이론적 배경
3. 기본가정
4. 주요개념
Ⅱ 본론
1. 인지행동치료의 특징
2. Albert Ellis와 Aaron T. Beck
3. 인간관
4. 인지행동상담의 방법
5. 타 이론의 상담과 인지행동상담의 차이
Ⅲ 결론
1. 상담사례
2. 인지행동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3.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1. 인지행동치료란?
2. 이론적 배경
3. 기본가정
4. 주요개념
Ⅱ 본론
1. 인지행동치료의 특징
2. Albert Ellis와 Aaron T. Beck
3. 인간관
4. 인지행동상담의 방법
5. 타 이론의 상담과 인지행동상담의 차이
Ⅲ 결론
1. 상담사례
2. 인지행동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3.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본문내용
때문이란 고백을 듣고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제대로 간파하고 해결하였음을 확인한다.
(8) 7회 종결회기
♠ 자기조력능력의 배양
이 회기에서는 내담자의 자기조절능력을 배양시키면서 상담의 종결을 준비한다. 인지상담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내담자의 자기조력 내지는 자기 치료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담의 전 과정을 통해서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개념화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체험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이 시점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나 앞으로 새롭게 생기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치료적 능력의 습득을 강조한다.
♠ 추수지도-고양회기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진 본상담의 종결 후에 1개월, 3개월, 6개월 후 고양회기를 계획하여 상담추구지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기간은 대체로 6개월 내지 1년여 동안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점검하고 그것의 영구화를 위해 어려움을 찾아내고 스스로 도울 수 있는 채널을 열어놓는다.
3) 사례의 종합해설
내담자는 비교적 평범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중학교에 갓 입학하였을 때 담임선생님께서 “혜수는 행실도 얌전하고 얼굴도 예쁘게 생겼네”라고 하신 말씀이 계기가 되어 조신하고 얌전하기 위해 무던히 애쓰며 매사에 완전하고 빈틈없이 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왔다. 그런 덕택에 공부도 잘하고 예능 방면에도 뛰어난 재주를 보이면서 성장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때에는 길을 가다가 우연히 만난 중학교 2학년 때의 담임선생님께서 “너는 다른 애와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다”라고 하시며 추켜세운 것이 또 하나의 결정적 계기가 되어 자기 자신은 누구보다도 잘나고 완벽하게 살아야 한다는 비합리적 신념을 강하고 단단하게 강화시켜가고 있었다. 그러면서 “나는 내가 제일 잘나야만 한다.”를 삶의 가치와 철학으로 내재화하였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왔다. 그 덕택에 학교에서 공부는 상당히 잘하게 되었으나 자기보다 조금이라도 우수한 부분이 있는 아이들과는 친구관계를 맺는 것조차도 거부하였다. 그리고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잘나야 하고 예뻐보이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던 중 식은 땀이나 장 소리(장에서 나는 꾸르륵 소리)등의 신체화 증상이 나타났고 대인관계에서 심한 위압감과 불안감이 내담자를 괴롭히기 시작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그 바쁜 와중에서도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혼자 요가책, 명상책 등을 보면서 매일 30분에서 1시간씩 명상하면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무던히 애를 썼으나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고 만다. 부모님께 말씀드려서 한약도 복용하였으나 효험이 없었다. 병원도 갔었는데 생리적으로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기능성장애라는 진단이 나왔다고 하였다. 상담자는 그간의 여러 가지 정황을 통해 내담자의 증상이 기질적 원인이 아님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런 경우 심리적 원인, 즉 인간의 사고구조와 인지기능에 원인이 있음을 가정하고 역기능적 신념의 탐색에 몰입하였다. 5회의 상담에서 자신의 질병이 기능성 장애자라는 진단이 나왔음을 말하였고, 또한 내담자 자신의 ‘지적 기능이 상당히 높은 사람이었기 때문에 인지상담이론서 읽기를 숙제로 내주고, 내담자의 부적절한 정서, 부적응적인 행동 그리고 기타 증상의 원인이 사고구조에 있음을 여러 차례 교육을 시켜가면서 상담을 하였다.
내담자는 인지상담이론의 원리와 개념들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습득하였으며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적용시켜 나갔다. 횟수가 더해 갈수록 내담자의 향상을 거듭되었다. 두 번의 상담회기를 마친 후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종결회기까지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상황변화에 의한 단순한 증상의 제거가 아니고 증상을 유도했던 비합리적 신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합리적 대안신념으로 바꾸어 내담자의 가치와 철학 속에 통합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내담자는 자신의 변화가 확실한 증거로 더 이상 상담선생님께 매달리지 않는 것을 보면 알지 않느냐고 하였다. 종결 후 이루어진 3번의 고양회기에서도 좀 더 건강한 정서와 행동을 유지, 습득하기 위해 사고의 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할 것을 다짐하였다.
본 사례는 상담의 인지적 접근을 시도하여 단기간에 바람직한 행동의 결과를 성취해낸 예이다. 이 접근법은 인간의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인 행동의 원인은 내담자의 왜곡된 사고나 비합리적 자기파괴적 신념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내담자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상담이 이루어졌다. 또한 바람직한 사고 내재화를 통해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 자신의 삶을 꾸려갈 수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주목할 것은 인지상담의 궁극적 목표는 단순한 사고의 변화와 신념의 교정이 아니고 건강한 인생의 가치와 철학의 습득에 있다는 것이다.
2. 인지행동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1) 공헌점
상담모형(ABCDE모형)을 간단명료하게 보여주었다. 즉, 장애가 일어나는 방식과 문제행동 이 변화될 수 있는 방법을 간단명료하게 보여주었다. 또한 논리적 설명, 간결함, 짧은 상 담 기간으로 인해 바쁜 현대인 성향과 잘 맞는다.
상담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상담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 게 하고, 새로 획득한 통찰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강조한다.
2) 비판점
주도적으로 상담을 해 나가기 때문에 내담자의 삶을 무시하거나 가치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신뢰형성을 중요시 여기지 않는다. 이는 직면기법을 자주 사용함으 로써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담자가 내담자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을 소지가 있다. 이는 내담자의 비합리 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상담자 자신의 사고를 강요할 수 있다.
3.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인지행동치료의 실제 : 인지행동치료 사례집, 1999, 박경애 /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외 5인 / 학지사
네이버지식인 / 상담이론의 특징 비교(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행동치료) 2008.12.22
네이버/ 축복의 집, http://cafe.naver.com/06291/60
다음 / nan47, http://blog.daum.net/nan47/5241562
(8) 7회 종결회기
♠ 자기조력능력의 배양
이 회기에서는 내담자의 자기조절능력을 배양시키면서 상담의 종결을 준비한다. 인지상담의 중요한 특징 중에 하나는 내담자의 자기조력 내지는 자기 치료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상담의 전 과정을 통해서 내담자는 자신의 문제를 개념화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체험한다. 이 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고 이 시점에서 가지고 있는 문제나 앞으로 새롭게 생기는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자기치료적 능력의 습득을 강조한다.
♠ 추수지도-고양회기
비교적 단기간에 이루어진 본상담의 종결 후에 1개월, 3개월, 6개월 후 고양회기를 계획하여 상담추구지도가 수행될 수 있다. 이 기간은 대체로 6개월 내지 1년여 동안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점검하고 그것의 영구화를 위해 어려움을 찾아내고 스스로 도울 수 있는 채널을 열어놓는다.
3) 사례의 종합해설
내담자는 비교적 평범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중학교에 갓 입학하였을 때 담임선생님께서 “혜수는 행실도 얌전하고 얼굴도 예쁘게 생겼네”라고 하신 말씀이 계기가 되어 조신하고 얌전하기 위해 무던히 애쓰며 매사에 완전하고 빈틈없이 하려고 부단히 노력해왔다. 그런 덕택에 공부도 잘하고 예능 방면에도 뛰어난 재주를 보이면서 성장하였다. 고등학교 2학년 때에는 길을 가다가 우연히 만난 중학교 2학년 때의 담임선생님께서 “너는 다른 애와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다”라고 하시며 추켜세운 것이 또 하나의 결정적 계기가 되어 자기 자신은 누구보다도 잘나고 완벽하게 살아야 한다는 비합리적 신념을 강하고 단단하게 강화시켜가고 있었다. 그러면서 “나는 내가 제일 잘나야만 한다.”를 삶의 가치와 철학으로 내재화하였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며 살아왔다. 그 덕택에 학교에서 공부는 상당히 잘하게 되었으나 자기보다 조금이라도 우수한 부분이 있는 아이들과는 친구관계를 맺는 것조차도 거부하였다. 그리고 자기가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잘나야 하고 예뻐보이기 위해서 부단히 노력하던 중 식은 땀이나 장 소리(장에서 나는 꾸르륵 소리)등의 신체화 증상이 나타났고 대인관계에서 심한 위압감과 불안감이 내담자를 괴롭히기 시작하였다. 고등학교 3학년 때, 그 바쁜 와중에서도 자신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하여 혼자 요가책, 명상책 등을 보면서 매일 30분에서 1시간씩 명상하면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무던히 애를 썼으나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가고 만다. 부모님께 말씀드려서 한약도 복용하였으나 효험이 없었다. 병원도 갔었는데 생리적으로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기능성장애라는 진단이 나왔다고 하였다. 상담자는 그간의 여러 가지 정황을 통해 내담자의 증상이 기질적 원인이 아님을 확인하게 되었다. 이런 경우 심리적 원인, 즉 인간의 사고구조와 인지기능에 원인이 있음을 가정하고 역기능적 신념의 탐색에 몰입하였다. 5회의 상담에서 자신의 질병이 기능성 장애자라는 진단이 나왔음을 말하였고, 또한 내담자 자신의 ‘지적 기능이 상당히 높은 사람이었기 때문에 인지상담이론서 읽기를 숙제로 내주고, 내담자의 부적절한 정서, 부적응적인 행동 그리고 기타 증상의 원인이 사고구조에 있음을 여러 차례 교육을 시켜가면서 상담을 하였다.
내담자는 인지상담이론의 원리와 개념들을 재빨리 알아차리고 습득하였으며 자신의 일상생활 속에서 적용시켜 나갔다. 횟수가 더해 갈수록 내담자의 향상을 거듭되었다. 두 번의 상담회기를 마친 후 증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종결회기까지 완전히 사라졌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상황변화에 의한 단순한 증상의 제거가 아니고 증상을 유도했던 비합리적 신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합리적 대안신념으로 바꾸어 내담자의 가치와 철학 속에 통합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내담자는 자신의 변화가 확실한 증거로 더 이상 상담선생님께 매달리지 않는 것을 보면 알지 않느냐고 하였다. 종결 후 이루어진 3번의 고양회기에서도 좀 더 건강한 정서와 행동을 유지, 습득하기 위해 사고의 폭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할 것을 다짐하였다.
본 사례는 상담의 인지적 접근을 시도하여 단기간에 바람직한 행동의 결과를 성취해낸 예이다. 이 접근법은 인간의 부적절한 정서와 부적응적인 행동의 원인은 내담자의 왜곡된 사고나 비합리적 자기파괴적 신념에 있다고 보기 때문에 내담자의 사고에 초점을 두고 상담이 이루어졌다. 또한 바람직한 사고 내재화를 통해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보다 성숙한 인간으로 자신의 삶을 꾸려갈 수 있음을 주장한다. 특히, 주목할 것은 인지상담의 궁극적 목표는 단순한 사고의 변화와 신념의 교정이 아니고 건강한 인생의 가치와 철학의 습득에 있다는 것이다.
2. 인지행동상담의 공헌점과 비판점
1) 공헌점
상담모형(ABCDE모형)을 간단명료하게 보여주었다. 즉, 장애가 일어나는 방식과 문제행동 이 변화될 수 있는 방법을 간단명료하게 보여주었다. 또한 논리적 설명, 간결함, 짧은 상 담 기간으로 인해 바쁜 현대인 성향과 잘 맞는다.
상담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상담을 이해할 수 있다. 이는 내담자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 게 하고, 새로 획득한 통찰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을 강조한다.
2) 비판점
주도적으로 상담을 해 나가기 때문에 내담자의 삶을 무시하거나 가치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상담자와 내담자간의 신뢰형성을 중요시 여기지 않는다. 이는 직면기법을 자주 사용함으 로써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신뢰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상담자가 내담자를 설득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있을 소지가 있다. 이는 내담자의 비합리 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상담자 자신의 사고를 강요할 수 있다.
3. 참고문헌 및 자료출처
인지행동치료의 실제 : 인지행동치료 사례집, 1999, 박경애 / 학지사
상담심리학의 이론과 실제, 천성문외 5인 / 학지사
네이버지식인 / 상담이론의 특징 비교(정신분석적/인간중심적/인지행동치료) 2008.12.22
네이버/ 축복의 집, http://cafe.naver.com/06291/60
다음 / nan47, http://blog.daum.net/nan47/5241562
추천자료
세계화에 대한 한국의 영향
리코더의 일반적인 지식
윌 허튼의 '기로에 선 자본주의'를 읽고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의 방향과 시민단체의 시각에 관한 고찰
(인지치료기법) 인지행동모델에 대한 이해와 사회복지사의 적용 및 구체적 사례
굿윌헌팅 분석 감상문
인지행동치료,인지행동치료의 개관 ,주요이론,상담과정 및 사례분석
[정치개혁]한국형 정당개혁의 방향 및 원내정당 모델의 과제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주의모델이론 및 치료모델사례(논문중심)
고체(재료)역학 정리노트
제12장 인지행동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의 철학, 이론적 기반, 주요 가정, 개입목표, 개입과정, 개...
인지행동모델의 등장배경
[의료사회복지학]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정의, 인지행동모델특징, 인지행동모델의기본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