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양자 가운데 성격상 가까운 쪽을 말한다면 아마 맑스주의보다 크로포트킨의 주장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이를테면 프롤레타리아혁명을 달성하기 위한 프롤레타리아트의 권력탈취와 독재를 주장하는 맑스주의보다, 인간은 본래 상호협력적인 존재라는 전제 아래 개인의 자기실현의 과정 자체가 개인을 고립으로 이끄는 것이 아니라 타인과 한층 강하게 한층 넓게 결합하는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라고 한 크로포트킨의 주장이 김유정의 민중사랑 내지 그의 작품 이념과도 친근성이 있지 않나 싶다. 물론 이것으로 김유정 소설의 이념이나 사상의 투철함이 말끔히 입증되는 것은 아닐지라도 그 윤곽이나 위상은 어느 정도 밝혀진 것으로 믿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분명해진 것은 김유정의 소설들이 식민지 하의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궁핍 속에서도 한국민중이 즐길 수 있는 좋은 문학이란 당대의 많은 민중에 대한 넓고 깊은 사랑과 현실에 대한 엄격한 문학적 자세에 기초한 서사와 문체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서사와 문체를 가진 소설들은 과거의 평민문학, 민중문학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킴으로써 가능했다는 점 등이다. 또 그의 소설들은 한국민중의 생활과 관습, 정서와 꿈을 뛰어난 감수성으로 수용하여 그것을 유쾌한 해학과 엄정한 표현으로 기술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전래의 설화전설 및 판소리소설 등이 지니고 있는 우리 문학의 주변적 형식들을 주류적 자리로 옮겨오는 데도 적잖이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김유정 소설의 민중적 성격이 갖는 독특한 문학적 가치 또한 이런 면에서 더욱 연구되고 강조될 수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이상에서 분명해진 것은 김유정의 소설들이 식민지 하의 정치적 억압과 경제적 궁핍 속에서도 한국민중이 즐길 수 있는 좋은 문학이란 당대의 많은 민중에 대한 넓고 깊은 사랑과 현실에 대한 엄격한 문학적 자세에 기초한 서사와 문체에 의해서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는 점, 그리고 그러한 서사와 문체를 가진 소설들은 과거의 평민문학, 민중문학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계승발전시킴으로써 가능했다는 점 등이다. 또 그의 소설들은 한국민중의 생활과 관습, 정서와 꿈을 뛰어난 감수성으로 수용하여 그것을 유쾌한 해학과 엄정한 표현으로 기술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국 전래의 설화전설 및 판소리소설 등이 지니고 있는 우리 문학의 주변적 형식들을 주류적 자리로 옮겨오는 데도 적잖이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김유정 소설의 민중적 성격이 갖는 독특한 문학적 가치 또한 이런 면에서 더욱 연구되고 강조될 수 있다고 하겠다.
키워드
추천자료
[고전소설][고대소설][영화화][게임화][시트콤화][동화화]고전소설(고대소설)의 영화화와 고...
[소설][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1...
[근대소설][김승옥][이상]김승옥의 근대소설 다산성 작품분석, 박경리의 근대소설 토지 작품...
박지원 소설 양반전의 작가, 박지원 소설 양반전의 줄거리, 박지원 소설 양반전의 시대적 배...
[소설][근대소설][고소설][신소설][하이퍼텍스트소설][소년소설][전계소설]소설과 근대소설, ...
[소설가 손창섭][소설 비오는 날][잉여인간]소설가 손창섭의 작품경향, 소설가 손창섭의 소설...
[소설][소설 정의][소설 구조][소설 구성][소설 시점][소설 인물][소설 학습요소][소설 읽기]...
[청대소설]중국 청대소설(청나라소설)의 특징, 중국 청대소설(청나라소설)의 발전, 중국 청대...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의 함의와 주제의식, 판소리계 고전소설 토끼전(별주부전...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의미, 한국전쟁기소설(전시소설)의 ...
[현대소설][분단문학][환상문학][근대문학][반공문학][신소설][일본]현대소설과 분단문학, 현...
[소설][1920년대][1930년대][1940년대][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20년대 소...
[고전소설][고소설][문학사][여성상][여성독자층]고전소설(고소설)의 문학사, 고전소설(고소...
[독일소설][모더니즘][리얼리즘][교양소설][시민소설]독일소설의 태동, 독일소설의 변화, 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