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경기도 화랭이][성주풀이][강원도 경상도 손님굿][전라도 망자굿]무가의 유형, 무가의 성격, 경기도 화랭이 무가, 경기도 성주풀이 무가, 강원도 손님굿 무가, 경상도 손님굿 무가, 전라도 망자굿 무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가][경기도 화랭이][성주풀이][강원도 경상도 손님굿][전라도 망자굿]무가의 유형, 무가의 성격, 경기도 화랭이 무가, 경기도 성주풀이 무가, 강원도 손님굿 무가, 경상도 손님굿 무가, 전라도 망자굿 무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무가의 유형
1. 서정무가
1) 노랫 가락
2) 대감타령
3) 광부타령
2. 교술무가
1) 교술무가의 기능별 검토
2) 교술무가의 주요 자료
3. 서사무가

Ⅱ. 무가의 성격
1. 주술성
2. 신성성
3. 전승의 제한
1) 전승방법
2) 전승이 어려운 이유
4. 오락성
5. 律文傳承

Ⅲ. 경기도 화랭이 무가

Ⅳ. 경기도 성주풀이 무가

Ⅴ. 강원도 손님굿 무가

Ⅵ. 경상도 손님굿 무가

Ⅶ. 전라도 망자굿 무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검토
2) 교술무가의 주요 자료
3. 서사무가
Ⅱ. 무가의 성격
1. 주술성
2. 신성성
3. 전승의 제한
1) 전승방법
2) 전승이 어려운 이유
4. 오락성
5. 律文傳承
Ⅲ. 경기도 화랭이 무가
Ⅳ. 경기도 성주풀이 무가
Ⅴ. 강원도 손님굿 무가
Ⅵ. 경상도 손님굿 무가
Ⅶ. 전라도 망자굿 무가
참고문헌
Ⅰ. 무가의 유형
1. 서정무가
신이나 인간의 주관적 정감을 돌련한 무가로서 주로 신과 인간이 서로 어울려 놀면서 부르는 분련체의 노래.
1) 노랫 가락
신이 하강해 인간의 청원을 들어 주기로 약속을 하고 굳게 다지기 위해 신과 인간이 어울려 춤을 추고 노래를 하며 즐겁게 노는 순서이다.
분향양산 오시는 길에 가야고로 다리놋소
가야고 열두줄에 어느줄마당 서게우서
줄아래 덩기덩 소리 논이라고
서울 지역 가망
*<노랫가락>의 형태는 형시조의 형태와 유사하다.
*사대부들이 개발한 평시조의 시가와 관련을 가진다.
2) 대감타령
<뉠리리야>라고도 하는데 ‘얼씨구나, 뉠리리야, 지화자, 절씨구’등의 후렴이 들어간다.
대감놀이 전체는 굿놀이로서 여기에서 구연되는 무가는 희곡적 성격을 가진다.
3) 광부타령
*광대의 신을 말한다.
줄광대-줄을 타거나 재주를 넘는 묘기
소릿광대-판소리를 하는 광대
탈광대-가면을 씨고 가면 극을 한다.
*창부신의 흥을 돋우는 찬신(讚神) 조흥(造興)의 기능이 있다.
2. 교술무가
1) 교술무가의 기능별 검토
무의를 진행하는 일정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가. 청배
*신을 굿하는 장소로 내림(來臨)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무가.
신의 이름을 부르는 방법
신이 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는 방법-노정기<路程記>
신의 근본을 풀어내는 방법
나. 공수
*무녀의 몸속으로 내림한 신이 무녀의 입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는 말
*해라체의 반말로 진술
*인간의 잘못을 꾸짖고 앞일을 예언하기도 하고, 병의 치료방법이나 재액을 예방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한다.
다. 축원
*굿을 행하는 상화에 따라 그 내용이 달라지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통일된 격식이 존재한다.
우주의 시원에서부터 인간세상의 역사가 개략적으로 서술.
기주(祈主)의 생년과 성씨 및 무의를 행하는 장소
무의를 하는 이유가 진술
2) 교술무가의 주요 자료
· 성주축원
<황제풀이>, <고사축원>, <성주풀이> 등으로 불림
가정 수호신인 성주에게 가족원의 건강과 복된 삶을 기원
모방 주술적 성격을 가진다.
삶에 과도히 집착해 악업을 짓지 말라는 교훈을 담고 있다.
3. 서사무가
· 서사무가의 자료 개관
무속신화-무속 신의 내력을 이야기하고 있다는 점
구비서사시-악기반주에 맞추어서 많은 사람에게 재미있는 이야기를 노래로 들려준다는 점
<전승 지역별로 정리>
전국 전승유형: <제석본풀이>, <바리공주>, <칠성풀이>
관북지방: <창세가>, <오기풀이>, <셍굿>, <혼쉬굿>, <돈전풀이>, <도랑선배청정각시의 노래>, <짐자제굿>, <숙연랑 앵연랑신가>
관서지방:<삼태바풀이>, <신선세턴님청배>, <원구님청배>, <성신굿>
경기지방:<성주본가>, <바리공주>, <제석본풀이>, <시루말>
동해안 지역:<시준굿>, <성주풀이>, <바리데기>, <심청>, <계면굿>, <손님굿>
영남지방: <시준굿>, <성주풀이>, <바리데기>, <심청>, <손님굿>, <계면굿>
호남지역: <제석본풀이>, <바리데기>, <칠성풀이>, <장자풀이>
제주도:<천지왕본풀이>, <초공본풀이>, <이공본풀이>, <삼공본풀이>, <세경본풀이>
<원천강본풀이>, <명진국생불할망본풀이>, <신중도풀이>, <차사본풀이>
<칠성본풀이>, <군옹본풀이>, <몬전본풀이>, <영감본풀이>, <서귀포본향당본풀이>
<토산당본풀이>
Ⅱ. 무가의 성격
1. 주술성
점복, 치병, 예언 사제자로서의 신이성
2. 신성성
청자가 신이다. 신과 인간과의 대화
3. 전승의 제한
무당에게만 전승
1) 전승방법
가계계승(세습무), 사제계승(강신무), 공동무의를 통해서(상태의 굿하는 것을 보면서)
2) 전승이 어려운 이유
불량이 많다. 내용이 어렵다, 의례의 절차에 맞추어야한다. 신과의 대화이기 때문에 경원시함
4. 오락성
굿이 민중의 구경거리, 굿놀이 - 구경꾼을 의식하면서 오락화 구경거리(듣기(가락, 사설), 보기(춤, 몸짓, 분장)
5. 律文傳承
무가의 가락은 그 지방 특유의 민요가락과 비슷하다. 서사무가와 같은 것은 4음격 적으로 구연
Ⅲ. 경기도 화랭이 무가
고설 고설 고설 고설
생겨디리려라 고사로다
동천하 십이지국 남봉에도 조선국에
이도당 할아버지 저도당 할머니
언구영산 집터본향
정성덕을 입사하고
장군님 상에 쉰머리 독반 술과
갖인 요리 잡숫고
말대로 뜻대로 소원성취 해줍소사 하는 뜻이야
내 그런 소왼을 하는데
부귀를 부는데
집터가 좋으면은 부귀공명하고
산소자리 좋으면은 자손이 번성한댔으니
이 집터 좋거니와
왼갖 집터를 자줄만 한다
이 집터 좋거니와
군웅왕신님을 모시는 것이니, 그리 알고,
빨리 배 대어라 하니
저 뱃사공이 하는 말이
삼국시절 큰 싸움에 나무배는 떠나가고,
돌배는 가라앉고,
돗수는 풀어주고,
군웅님이 화를 내여,
군웅님의 아들은 잡아다가
푸른 점을 주고
붉은 점을 주어야 하는데,
푸른 점을 주니
베란간 사시나무가 떨 듯
사지가 떨리고
헛소리를 하면서
골연히 집에서
뱃사람의 삼대독자 외아들이
군웅님이 굶고 앉아서 비나니다
Ⅳ. 경기도 성주풀이 무가
여보아라 소진항아 네 죄를 생각하면
한 칼에 목을 빌 것이로되 오냐
내 부인의 석달열흘 줌에밥 멕여준 공이 크니
인간 세상에 서낭으루 내칠 것이니 오냐
만인간에 고시래떡 받아먹고
만인간에 다 으련이나 받어 먹구 살어라 하오시고
오냐 모두 팔도루다가 서낭으루다 배체를 하옵시니다
여보시오 사람을 잡으러 왔이면 만류허련만
잡아가라 하니 무삼 연고가 있는이까
주왕할아버지 하시는 말쌈이
네 황에양씨 내우이에 죄목죄단 일러주께 들어봐라
대장부가 나갔다가 들어오면 질묵 벗어 주왕에다 치띠리니
그두 아니 괘씸허냐
게주는 식칼 갈어 부뚜막에다 얹어 놓니 그두 아니 괘씸허냐
이에 그러면 네 수품을 보라 허구
속적삼을 벗어내어 담 아루다 치띠리니
부인이 적삼을 받어 들구 이리저리 도련숩을 살펴보니
나에 수품이 분명허건만 땀내가 잠

키워드

무가,   굿,   손님굿,   신앙,   무속
  • 가격5,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4.1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7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