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케인즈학파(경제학파)
Ⅱ. 고전학파(경제학파)
Ⅲ. 조절학파(경제학파)
Ⅳ. 통화주의학파(경제학파)
Ⅴ. 공급경제학파(경제학파)
Ⅵ. 합리적기대학파(경제학파)
1. 역사적 배경
2. 기본적 가정(기대와 합리성)
3. 새고전학파의 기본가정
Ⅶ. 한계효용학파(경제학파)
참고문헌
Ⅱ. 고전학파(경제학파)
Ⅲ. 조절학파(경제학파)
Ⅳ. 통화주의학파(경제학파)
Ⅴ. 공급경제학파(경제학파)
Ⅵ. 합리적기대학파(경제학파)
1. 역사적 배경
2. 기본적 가정(기대와 합리성)
3. 새고전학파의 기본가정
Ⅶ. 한계효용학파(경제학파)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러한 상황에서 케인즈학파의 이론적 프레임워크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특히 그의 정책논리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통화주의 학파보다 훨씬 강력한 새로운 거시경제학적 사고가 탄생하게 된다. 이들을 새고전학파라고 한다.
2. 기본적 가정(기대와 합리성)
기대란 모든 경제변수, 정책변수, 경제구조, 생산물의 수급을 결정하는 방정식의 형성, 모든 구조계수 등의 장래치에 대한 예상을 말한다. 모든 경제주체는 경제활동에 있어서 이들 정책변수에 대한 주관적인 예상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합리성이란 경제주체가 어떤 경제변수에 관하여 정확한 예상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기에 관련되는 모든 정보를 근거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합리적 기대란 경제주체들이 모든 정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장래에 나타날 경제변수에 대하여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합리적 기대란 언제나 처음부터 기대가 적중함으로써 예상치와 현실치가 일치하여 조금도 착오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3. 새고전학파의 기본가정
시장균형의 가정, 합리적 기대형성, 불완전정보의 가정
-여기서 시장균형의 가정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프레임 워크에서 도출되는 결론은 케인즈 학파의 적극적인 총수요관리정책효과를 근본적으로 배제하는 것이다. 이처럼 새고전학파의 가정들은 합리적 기대의 시장균형 외에도 경제주체는 현재의 물가동향을 비롯한 최근 시점의 경제상황에 관해 반드시 완전한 정보를 갖지 못한다는 불완전 정보의 가정을 들 수 있다.
Ⅶ. 한계효용학파(경제학파)
최초로 한계효용의 개념을 도입한 사람은 버노울리(Daniel Bernalli, 1700~1782) 이다. 그는 스위츠랜드의 수학자로서 한계효용은 재화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서 감소된다는 것을 지적했다. 튀넨(J. B. von Thunen, 1780~1850)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그는 도시에 가까운 지방에서는 소득이 높은 채소나 과일을 재배하게 되고, 멀리 떨어진 데에는 운송비가 더 드므로 주로 식량생산에 쓰여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분석에서 튀넨은 일찍이 한계효용 개념을 이미 경제이론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계효용이론을 가장 명확하게 연구한 사람은 독일의 곳센(H. H. Gossen,1810~1858)으로서 1854년에 한계효용의 이론에 대해서 명확하게 분석한 책을 발표하였다.
그의 이론은 제1법칙. 즉 한계효용은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서 체감한다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간이 자기의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각 재화의 한계효용을 균등하게 해야 한다는 제2법칙으로 구성되어있다.
참고문헌
김광수, 고전학파, 아시아문화사, 1992
이토 미쓰하루, 김경미 옮김, 존 케인즈 - 새로운 경제학의 탄생, 소화출판사
이상직 외 2인, 경제학 입문, 학문사, 1997
이수희, 통화의 공급경로별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1998
주명진, 경제학사 ― 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 박영사, 1991
정운찬, 케인즈의 생애와 학문
2. 기본적 가정(기대와 합리성)
기대란 모든 경제변수, 정책변수, 경제구조, 생산물의 수급을 결정하는 방정식의 형성, 모든 구조계수 등의 장래치에 대한 예상을 말한다. 모든 경제주체는 경제활동에 있어서 이들 정책변수에 대한 주관적인 예상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
합리성이란 경제주체가 어떤 경제변수에 관하여 정확한 예상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거기에 관련되는 모든 정보를 근거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합리적 기대란 경제주체들이 모든 정보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장래에 나타날 경제변수에 대하여 정확하게 예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합리적 기대란 언제나 처음부터 기대가 적중함으로써 예상치와 현실치가 일치하여 조금도 착오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3. 새고전학파의 기본가정
시장균형의 가정, 합리적 기대형성, 불완전정보의 가정
-여기서 시장균형의 가정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 프레임 워크에서 도출되는 결론은 케인즈 학파의 적극적인 총수요관리정책효과를 근본적으로 배제하는 것이다. 이처럼 새고전학파의 가정들은 합리적 기대의 시장균형 외에도 경제주체는 현재의 물가동향을 비롯한 최근 시점의 경제상황에 관해 반드시 완전한 정보를 갖지 못한다는 불완전 정보의 가정을 들 수 있다.
Ⅶ. 한계효용학파(경제학파)
최초로 한계효용의 개념을 도입한 사람은 버노울리(Daniel Bernalli, 1700~1782) 이다. 그는 스위츠랜드의 수학자로서 한계효용은 재화의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서 감소된다는 것을 지적했다. 튀넨(J. B. von Thunen, 1780~1850)도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그는 도시에 가까운 지방에서는 소득이 높은 채소나 과일을 재배하게 되고, 멀리 떨어진 데에는 운송비가 더 드므로 주로 식량생산에 쓰여지게 된다는 것이다. 그러한 분석에서 튀넨은 일찍이 한계효용 개념을 이미 경제이론에 도입하고 있었다.
그러나 한계효용이론을 가장 명확하게 연구한 사람은 독일의 곳센(H. H. Gossen,1810~1858)으로서 1854년에 한계효용의 이론에 대해서 명확하게 분석한 책을 발표하였다.
그의 이론은 제1법칙. 즉 한계효용은 소비가 증가됨에 따라서 체감한다는 한계효용체감의 법칙과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인간이 자기의 만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은 각 재화의 한계효용을 균등하게 해야 한다는 제2법칙으로 구성되어있다.
참고문헌
김광수, 고전학파, 아시아문화사, 1992
이토 미쓰하루, 김경미 옮김, 존 케인즈 - 새로운 경제학의 탄생, 소화출판사
이상직 외 2인, 경제학 입문, 학문사, 1997
이수희, 통화의 공급경로별 파급효과 분석, 한국경제연구원, 1998
주명진, 경제학사 ― 경제혁명의 구조적 분석, 박영사, 1991
정운찬, 케인즈의 생애와 학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