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연예술의 이해
1-1 공연예술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
1-2 공연예술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2)
2-1 공연예술의 형태
2-2 공연예술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3-1 공연예술의 순환과정
3-2 공연예술의 순환과정
4-1 공연적 형태
4-2 공연과정
5-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5-2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6-1공연예술의 구성요소2[공연공간]
6-2공연예술의 구성요소2[희곡(대본)]
7-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2
7-2 공연예술의 구성요소2
1-1 공연예술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
1-2 공연예술의 본질과 사회적 역할(2)
2-1 공연예술의 형태
2-2 공연예술이란 어떤 것이며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3-1 공연예술의 순환과정
3-2 공연예술의 순환과정
4-1 공연적 형태
4-2 공연과정
5-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5-2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6-1공연예술의 구성요소2[공연공간]
6-2공연예술의 구성요소2[희곡(대본)]
7-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2
7-2 공연예술의 구성요소2
본문내용
하고 실망하기도 하며 부담 없이 과장된 장면에 매료
2. 준비과정으로서의 통합과 변형
1)준비과정
-공연예술은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다양한 시설과 도구를 이용하는 집합적 기술의 총화 각분야를 하나로 통합하고 조절, 조화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
-틀 짜기(framing-up): 공연 전에 참여자들이 상의하여 만드는 규칙을 마당규칙이라 하며 마당규칙을 세우는 일
ㆍ일상적인 경험의 축적을 통해서 축적
ㆍ마을축제나 민속놀이 등 공연행사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은 늘 보고, 듣고, 또 스스로 흉내내봄으로써 자연 습득
ㆍ자연발생적으로 터득한 아마추어 기능인: 어떤 행사를 구성할 경우 행사 직전에 모여서 자기들끼리 상의하여 상세한 계획을 세우고 제반 약속이나 규칙 등 전반적인 공연 윤곽을 정하는 예가 종종 있다.
우리나라 농악놀이에는 주로 마을의 농부들이 참가,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들은 풍월로 북이 며, 징이며, 장고, 꽹과리, 상모돌리기 등을 배워 옴.(이 모임을 통해 모든 상세한 공연윤곽이 나타나게됨)
*적응과 수정
ㆍ공연예술의 특징중의 하나는 “현재, 이곳”에서 벌어진다는 것
ㆍ언제나 새로운 환경과 조건을 만나게 되는 것은 숙명
ㆍ연기자가, 공연환경이, 그리고 공연장의 시설물이나, 크고 작은 기구들이 언제나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조건과 상황을 야기할 여지를 내포
ㆍ항상 이에 대비해야 하는 것은 공연예술의 운명
적응-> 공연형태의 원형은 유지하며 약간의 조절을 가하는 것을 의미
수정-> 공연이 요구하는 조건과 처한 환경 사이에 많은 격차가 있을 시 둘 중 하나를 바꿔
고쳐서 조절하는 것
공연의 원형이 변형될 수도 있음.
⇒ 공연예술은 영화나 다른 예술들과는 다르게 복사품을 되풀이하는 작업이 아니라 생생한 현장 경험을 창조,l 때문에 언제나 예측불허의 미지의 상화에 도전해야 하는 살아 있는 작업.
*꾸미기(dressing-up):
-공연은 변이된 과정
-.공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또한 그 인물에 적합하게 외형적 변신을 갖춤
연기자들은 공연에 들어가기 전........
의상을 갈아입고, 장식품들을 착용하고, 분장을 한다.
-일상적 활용:
ㆍ준비과정의 작업은 일상적 패턴을 공연적 이도록 옮기는 과정
ㆍ일상생활과 오버랩핑하는 경우가 자주 발견, 일상속에 공연적 부분이 다분히 내포
ㆍ선진사회: 어떤 부분은 일상을 공연에, 또 어떤 부분은 공연적 지식이나 기술을 일상 활용
ㆍ사회적 행사나 스포츠 행사 등에서 공연예술 아이디어는 새롭게 창의적으로 응용, 활용
*학습평가
1.공연적 형태로서의 준비과정 2가지는?(제의적 형태(ritual frame), 극적형태 (theatrical frame) )
2.제의적 형태의 예를 한 가지만 들라.(고사 )
3.공연기술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준비 형태 3가지? (틀짜기, 적응과 수정, 꾸미기)
4-2
1.준비된 연기 , 조명, 장치 ,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 관객에게 직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 공연과정 )
2.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학습정리
공연진행을 위한 형태들: ritual freame, theatrical frame
일상적 환경을 공연적 상황으로 전환하는 기능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을 하나로 통합, 조절하는 기능
활용의 다변화: 일상적 활용
4-2 공연과정
1. 냉각(cool-down)과정
1)공연( performance) 과정
-일상생활에서 변이된(transformaed), 미학적 체계에 바탕한, 공연 규칙(performance rule)에 의해 지배되는 과정, 여러 공연 구성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조화롭게 결합하는 단계로, 극적 리듬과 시작과 끝이 있는 미적 작업 과정 ⇒ 종종 해석을 달리하기도 하는데 이 요소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공연 형태가 달라 짐
여러 요소들의 종합, 결합(→사실주의적, 극장주의적, 서사적, 환경연극적)
°공연->>변이된 비이성적인 들뜬 분위기에 몰입된 과정
°냉각과정->>다시 차분하고 이성적인 일상공간으로 복귀하고 회복할 수 있게 유도하는 과정
냉각은 공연자와 관객 양쪽의 관점에서 탐색, 공연을 체험하면서 관중들도 그것에 의해서 영향을 받 게 되기 때문
1. 세계 도처의 극장들: 음식물을 먹고 마시며, 본 일에 대한 기억들을 서로 나누는 것은 공연의 결론적인 부분 이거나 뒷 풀이의 일부
2.냉각의 과정은 특별한 의식이 동원: 특별 의식을 거치면서 무용수들은 서서히 잠으로 떨어지고 깨어나면 꿈 을 꾼 듯이 몸을 털고 일어남.
3.뒷풀이 행사의 일정: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 후 지방을 태우는 의식 , 제물로 바쳤던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것, 마을 축제 후 상징물을 태우는 것
2)여파란?
-공연의 결과로 일어나는 여러 변화들을 의미
1.연기자들은 연기해온 역할을 통해서 연기력이나 또는 사회적인 이미지나 지위, 신분 등에 점진적인 변화를 겪 을 것
2.공연 비평은 공연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을 되돌아보고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
3.어떠한 형태로든 다음 공연 속으로 피드백될 것
4.공연 관람이나 참여를 통해서 얻는 느낌이나 감동 등으로 생각이나 행실에 미묘하면서도 점진적인 변화를 일으 키게 될 것
*학습평가
1.준비된 연기 , 조명, 장치 ,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 관객에게 직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 공연과정 )
2.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학습정리
공연과정의 정의: 다양한 분야가 결합되는 미적 체험 공간
관객과의 관계 설정: showing cord vs doing cord
공연공간의 특성: 극적 리듬으로 짜여진 frame work
cool-down의 역할: 일상 복귀와 새로운 준비
공연학적 의미의 여파- 사회변화와 재충전
5-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1. 공연공간
-공연을 할 수 있는 장소로서 연기자들이 연기할 수 있는 연기공간. 즉, 무대와 관객들이 있을 수 있는 객석이 모두 가능한 곳
-극장: 공연을 하는데 필요한 제반 무대기술 시설과 그 시설을 위한 구조와 또한 객석과 그를
2. 준비과정으로서의 통합과 변형
1)준비과정
-공연예술은 여러 분야의 사람들과 다양한 시설과 도구를 이용하는 집합적 기술의 총화 각분야를 하나로 통합하고 조절, 조화하는 과정이 필연적으로 요구.
-틀 짜기(framing-up): 공연 전에 참여자들이 상의하여 만드는 규칙을 마당규칙이라 하며 마당규칙을 세우는 일
ㆍ일상적인 경험의 축적을 통해서 축적
ㆍ마을축제나 민속놀이 등 공연행사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은 늘 보고, 듣고, 또 스스로 흉내내봄으로써 자연 습득
ㆍ자연발생적으로 터득한 아마추어 기능인: 어떤 행사를 구성할 경우 행사 직전에 모여서 자기들끼리 상의하여 상세한 계획을 세우고 제반 약속이나 규칙 등 전반적인 공연 윤곽을 정하는 예가 종종 있다.
우리나라 농악놀이에는 주로 마을의 농부들이 참가, 대부분 어린 시절부터 들은 풍월로 북이 며, 징이며, 장고, 꽹과리, 상모돌리기 등을 배워 옴.(이 모임을 통해 모든 상세한 공연윤곽이 나타나게됨)
*적응과 수정
ㆍ공연예술의 특징중의 하나는 “현재, 이곳”에서 벌어진다는 것
ㆍ언제나 새로운 환경과 조건을 만나게 되는 것은 숙명
ㆍ연기자가, 공연환경이, 그리고 공연장의 시설물이나, 크고 작은 기구들이 언제나 예측할 수 없는 새로운 조건과 상황을 야기할 여지를 내포
ㆍ항상 이에 대비해야 하는 것은 공연예술의 운명
적응-> 공연형태의 원형은 유지하며 약간의 조절을 가하는 것을 의미
수정-> 공연이 요구하는 조건과 처한 환경 사이에 많은 격차가 있을 시 둘 중 하나를 바꿔
고쳐서 조절하는 것
공연의 원형이 변형될 수도 있음.
⇒ 공연예술은 영화나 다른 예술들과는 다르게 복사품을 되풀이하는 작업이 아니라 생생한 현장 경험을 창조,l 때문에 언제나 예측불허의 미지의 상화에 도전해야 하는 살아 있는 작업.
*꾸미기(dressing-up):
-공연은 변이된 과정
-.공연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또한 그 인물에 적합하게 외형적 변신을 갖춤
연기자들은 공연에 들어가기 전........
의상을 갈아입고, 장식품들을 착용하고, 분장을 한다.
-일상적 활용:
ㆍ준비과정의 작업은 일상적 패턴을 공연적 이도록 옮기는 과정
ㆍ일상생활과 오버랩핑하는 경우가 자주 발견, 일상속에 공연적 부분이 다분히 내포
ㆍ선진사회: 어떤 부분은 일상을 공연에, 또 어떤 부분은 공연적 지식이나 기술을 일상 활용
ㆍ사회적 행사나 스포츠 행사 등에서 공연예술 아이디어는 새롭게 창의적으로 응용, 활용
*학습평가
1.공연적 형태로서의 준비과정 2가지는?(제의적 형태(ritual frame), 극적형태 (theatrical frame) )
2.제의적 형태의 예를 한 가지만 들라.(고사 )
3.공연기술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한 준비 형태 3가지? (틀짜기, 적응과 수정, 꾸미기)
4-2
1.준비된 연기 , 조명, 장치 ,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 관객에게 직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 공연과정 )
2.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학습정리
공연진행을 위한 형태들: ritual freame, theatrical frame
일상적 환경을 공연적 상황으로 전환하는 기능
다양한 분야의 기술들을 하나로 통합, 조절하는 기능
활용의 다변화: 일상적 활용
4-2 공연과정
1. 냉각(cool-down)과정
1)공연( performance) 과정
-일상생활에서 변이된(transformaed), 미학적 체계에 바탕한, 공연 규칙(performance rule)에 의해 지배되는 과정, 여러 공연 구성요소들을 종합적으로 조화롭게 결합하는 단계로, 극적 리듬과 시작과 끝이 있는 미적 작업 과정 ⇒ 종종 해석을 달리하기도 하는데 이 요소들을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 공연 형태가 달라 짐
여러 요소들의 종합, 결합(→사실주의적, 극장주의적, 서사적, 환경연극적)
°공연->>변이된 비이성적인 들뜬 분위기에 몰입된 과정
°냉각과정->>다시 차분하고 이성적인 일상공간으로 복귀하고 회복할 수 있게 유도하는 과정
냉각은 공연자와 관객 양쪽의 관점에서 탐색, 공연을 체험하면서 관중들도 그것에 의해서 영향을 받 게 되기 때문
1. 세계 도처의 극장들: 음식물을 먹고 마시며, 본 일에 대한 기억들을 서로 나누는 것은 공연의 결론적인 부분 이거나 뒷 풀이의 일부
2.냉각의 과정은 특별한 의식이 동원: 특별 의식을 거치면서 무용수들은 서서히 잠으로 떨어지고 깨어나면 꿈 을 꾼 듯이 몸을 털고 일어남.
3.뒷풀이 행사의 일정: 조상에게 제사를 지낸 후 지방을 태우는 의식 , 제물로 바쳤던 음식들을 나누어 먹는 것, 마을 축제 후 상징물을 태우는 것
2)여파란?
-공연의 결과로 일어나는 여러 변화들을 의미
1.연기자들은 연기해온 역할을 통해서 연기력이나 또는 사회적인 이미지나 지위, 신분 등에 점진적인 변화를 겪 을 것
2.공연 비평은 공연에 참여한 사람들에게는 자신들을 되돌아보고 발전시킬 수 있는 좋은 길잡이가 될 것
3.어떠한 형태로든 다음 공연 속으로 피드백될 것
4.공연 관람이나 참여를 통해서 얻는 느낌이나 감동 등으로 생각이나 행실에 미묘하면서도 점진적인 변화를 일으 키게 될 것
*학습평가
1.준비된 연기 , 조명, 장치 , 음악 등 여러 분야를 한데 어우르고 , 관객에게 직접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는 과정은? ( 공연과정 )
2.공연은 비일상적 과정이다. 이를 다시 일상적 공간으로 되돌리는 과정은? (cool-down 과정)
*학습정리
공연과정의 정의: 다양한 분야가 결합되는 미적 체험 공간
관객과의 관계 설정: showing cord vs doing cord
공연공간의 특성: 극적 리듬으로 짜여진 frame work
cool-down의 역할: 일상 복귀와 새로운 준비
공연학적 의미의 여파- 사회변화와 재충전
5-1 공연예술의 구성요소
1. 공연공간
-공연을 할 수 있는 장소로서 연기자들이 연기할 수 있는 연기공간. 즉, 무대와 관객들이 있을 수 있는 객석이 모두 가능한 곳
-극장: 공연을 하는데 필요한 제반 무대기술 시설과 그 시설을 위한 구조와 또한 객석과 그를
키워드
추천자료
[연극 영화 공연 예술] 무대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중간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지역사회복지론 중간고사 예상문제 - 예원예술대학(사이버대학)
청주대 사이버 총체예술의 이해(중간+기말)
미학과 예술문화 중간고사 기출문제입니다.
총체예술의 이해학습정리,평가(중간) 청대 족보
미학과 예술문화 (퀴즈,중간,기말) 모음
(가천대학교 사이버강의) <21세기 문화트렌드 읽기 학습저널> 9~11주차 (올림픽,스포츠 트렌...
KCU 이슬람문화와 예술 중간과제 우리 생활 곳곳에 들어와 있는 이슬람 요소
KCU 이슬람문화와 예술 중간과제 이슬람영화 요소 분석 감상문
2016년 2학기 취미와예술 중간시험과제물 C형(취미로 사진 찍기)
2016년 2학기 취미와예술 중간시험과제물 B형(취미로서의 영화: 영화란 무엇인가?)
2016년 2학기 취미와예술 중간시험과제물 A형(현대인의 삶과 취미)
공연 예술의 이해 - 카르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