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한국][북한][일본][캐나다][나이지리아][네덜란드][시리아]한국의 자연환경, 북한의 자연환경, 일본의 자연환경, 캐나다의 자연환경, 나이지리아의 자연환경, 네덜란드의 자연환경, 시리아의 자연환경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환경][한국][북한][일본][캐나다][나이지리아][네덜란드][시리아]한국의 자연환경, 북한의 자연환경, 일본의 자연환경, 캐나다의 자연환경, 나이지리아의 자연환경, 네덜란드의 자연환경, 시리아의 자연환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한국의 자연환경
1. 기후요소와 기후인자
1) 기후요소
2) 기후인자
2. 우리나라의 기후특색
3. 기후요소별 특색
1) 기온
2) 강수량
3) 바람
4) 강설
5) 서리
6) 안개
7) 일조시수
4. 계절의 변화
1) 겨울
2) 봄
3) 여름
4) 가을
5. 우리나라의 기후구분
1) 쾨펜(Köppen)의 구분
2) 온량지수
6. 식생과 토양
1) 식생(植生:Vegetation)
2) 토양(土壤:Soil)

Ⅱ. 북한의 자연환경
1. 지질과 토양
2. 지형
3. 평야
4. 하천
5. 기후
6. 광물자원
7. 온천과 약수
8. 산림자원
9. 동물자원

Ⅲ. 일본의 자연환경

Ⅳ. 캐나다의 자연환경
1. 지형․지질
2. 기후
3. 식생

Ⅴ. 나이지리아의 자연환경

Ⅵ. 네덜란드의 자연환경

Ⅶ. 시리아의 자연환경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중국의 해란강쑹화강 등이 두만강으로 유입되고 강어귀에는 전형적인 삼각주가 형성되어 있으며 산천어연어화어 등 40여 종의 물고기들이 있다. 두만강의 물길은 공업용수, 관개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대동강은 길이 5km이상 되는 하천이 388개이며 황해 밀물의 영향을 받을 경우에는 평양 부근은 1~2m, 강어구 부근은 4~5m 로 높아진다. 대동강 유역에는 60여 종의 어류가 살고 있고 소나무이깔나무전나무 등 산림자원이 비교적 풍부하다.
5. 기후
북한 지역은 북온대의 남쪽에 있으므로 비교적 온화하며 4계절의 구분이 뚜렷하다. 북부산악지대에서는 겨울이 4개월 이상이 되고 봄과 가을이 각각 2개월 정도이다. 1년 평균기온은 8 ~12℃이며 연평균 강우량은 1,000mm정도이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그 중 50~60%는 6~8월에 내린다. 다우지대는 청천강 중류이고 과우지대는 양강도, 함북의 내륙지방대동강 하류이며 연간 최고강우량은 금강산 온정리의 2,975mm이다.
계절에 따라 기후조건이 크게 변화하여 겨울에는 북풍 또는 북서풍이 불며 건조하고 차가우나 여름에는 주로 바다로부터 온기가 올라와 따뜻하고 남풍 또는 남동 계절풍의 영향으로 비가 많다. 또 겨울에는 삼한사온이 있고 봄과 가을에는 대륙과 바다의 영양이 교차되어 풍향이 일정치 않으나 비교적 따뜻하고 맑은 날이 계속된다. 최고기온은 함북 회령의 40.9 ℃이고 최저기온은 자강도 중강의 -43.6℃이며 백두산이 1984년 3월 -47.5℃를 기록하였다.
최근에는 태풍이 한반도를 종단하여 백두산까지 이르는 경향이 강해졌으며 최고풍속은 함북 나진 선봉시의 38.3 m/s, 백두산에서는 78.6 m/s로 나타난다. 1970년대 이후 이상기온 현상이 약간씩 나타나기 시작하여 7~8월에 이상성 집중호우가 많고 한랭전선 영향으로 여름철 장마가 없어지며 가뭄이 심한 것이 특이하다.
6. 광물자원
북한에는 360여 종의 지하자원이 있으며 유용광물은 200여 종에 이른다. 그 중 매장량이 풍부한 것으로는 중석몰리브덴마그네사이트흑연중정석운모형석은철납아연알루미늄석탄 등으로 좁은 면적에 비해 다종다양한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다. 철광석은 주로 함경북도의 무산, 함경남도의 이원, 황해남도의 은율재령, 평안남도의 개천 등지에서 생산되며 청진성진송림 등지에서 제철된다. 금은 평북의 운산과 대유동에서 많이 생산되며 남포에는 대규모 제련소가 있다. 석탄은 수력과 함께 주요 동력자원으로서 평안남도 남부탄전과 북부탄전, 함경남도의 고원탄전에서는 무연탄이, 함경북도 북부탄전과 남부탄전에서는 갈탄이 생산된다. 텅스텐은 한때 전국 생산량의 약 50%가 북부지방에서 생산되었다.
7. 온천과 약수
북한에는 온천과 약수가 매우 많다. 36개 지역의 온천과 39개 지역의 약수가 여러 가지 만성병과 성인병 치료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온천으로는 함경북도 경성군 하온포리에 있는 경성온천(라돈 주성분), 평안남도 온천군 온천읍에 있는 용강온천(염소나트륨칼슘라돈), 평안남도 양덕군 양덕읍에 있는 양덕온천(유황 주성분) 등이 있다. 약수는 평안남도 대안시 약수리에 있는 강서약수(탄산철탄산수소염), 강원도 세포군 삼방리에 있는 삼방약수(탄산수소칼슘나트륨), 평안북도 선천군 약수리에 있는 옥호동약수(탄산철) 등이 있다.
이들 온천 중에는 물의 온도가 50℃ 이상 되는 열탕이 60여 개소, 10℃ 안팎의 약수터가 50여 개소에 이른다. 온천수의 주성분으로는 규소라듐유황 등이 많고 약수의 주성분으로는 탄산철 등이 많다. 온천 중 온도가 가장 높은 곳은 황남 옹진군의 옹진온천(염소나트륨라돈)으로 102℃에 이르고 물의 양이 많기로는 평안남도 양덕군에 있는 석탕온천(광물질 희박규토, 유황)으로 하루 5,000㎥가 나온다.
8. 산림자원
북한의 산림면적은 한반도 전체의 약 60%인 955만 여종이다. 산림종수는 1,100여 종이며 그 중 교목은 침엽수 19종, 활엽수는 136종에 이른다. 이외 700여 종의 약용식물, 200여 종의 산채류, 450여 종의 공업용 식물 등 경제적으로 유용한 식물이 풍부하다. 용도별로는, 섬유 및 제지식물로는 분비나무가문비나무황철나무닥나무노박덩굴 등이 있고 유지식물로서 잣나무가래나무호두나무초피나무 등이 있으며, 산과실나무로서는 밤나무돌배나무들쭉나무살구나무머루다래산딸기 등이 있다. 물감원료를 얻는 나무로서 시닥나무신갈나무떡갈나무 등이 있고, 특수용재를 얻는 나무로서는 참대오동나무횡경피나무 등이 있다. 북한지방의 식물을 해안지대를 제외하면 냉대림에 속하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혼합림 지대이다. 그 중 백두산을 중심으로 압록강과 두만강 상류지역은 소나무이깔나무전나무 등의 침엽수림으로 타이가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9. 동물자원
북한지역에는 척추동물이 1,000여 종 있으며, 그 중 100여 종은 한반도에서만 볼 수 있는 특산종이다. 대표적인 동물로 호랑이사슴노루 표범곰늑대산양멧돼지스라소니수달너구리오소리두더지토끼족제비고슴도치다람쥐 등이 있다. 북한은 이러한 동물들과 이로운 식물들을 보호증식하기 위해 백두산 자연보호구 등 6개의 자연보호구를 설정해 두었을 뿐만 아니라 5개 지역의 동물보호구와 8개 지역의 식물보호구를 설정하였다.
Ⅲ. 일본의 자연환경
〈지세〉 일본열도는 환태평양조산대(環太平洋造山帶)의 일부로 세계의 불안정육괴(不安定陸塊)에 속한다. 태평양 북서부의 융기대(隆起帶)의 정상부가 해면 위에 드러난 것이 일본열도로, 홋카이도혼슈[本州]시코쿠[四國]규슈[九州] 등 4개의 큰 섬과 그 남서쪽으로 이어지는 난세이제도 및 혼슈 중부에서 남쪽의 태평양으로 이어져 내리는 이즈[伊豆]오가사와라제도로 구성된다. 호상(弧狀)으로 이어지는 이들 열도의 동쪽에는 각각 일본해구, 난세이제도해구(또는 琉球海溝), 이즈오가사와라해구가 따르는데, 다같이 깊이 6,000 m가 넘는다. 산지평야는 조산운동의 지사(地史)를 반영하고, 또 습윤 온대의 기후 조건에도 영향을 받아 그 배열과 지형이 극히 복잡하다. 일본열도의 지형구분은 지질구조를 기준으로 서남 일본과 동북 일본의 2개로 크게 구별되는데, 그 경계는 혼슈 중부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이토이가와-시즈오카 구조선[

키워드

자연환경,   자연,   환경,   지리,   기후

추천자료

  • 가격6,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74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