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외생성][수요변동요인][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국제화폐]화폐의 역사, 화폐의 외생성, 화폐의 기능, 화폐의 공급, 화폐의 수요변동요인, 화폐와 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 화폐와 국제화폐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폐][외생성][수요변동요인][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국제화폐]화폐의 역사, 화폐의 외생성, 화폐의 기능, 화폐의 공급, 화폐의 수요변동요인, 화폐와 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 화폐와 국제화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화폐의 역사
1. 조선통보(朝鮮通寶)
2. 전폐(箭幣)
3. 상평통보(常平通寶)
4. 당백전(當百錢)
5. 당오전(當五錢)
6. 대동은전(大東銀錢)

Ⅱ. 화폐의 외생성

Ⅲ. 화폐의 기능
1. 계산단위의 결정
2. 계산수단과 교환수단의 분리
3. 태환수단과 결제수단

Ⅳ. 화폐의 공급
1. 본원통화(high-powered money, monetary base, reserve base)
2. 지불준비율
3. 예금창조, 신용창조(지불준비율 5%인 경우)
4. 은행의 도산

Ⅴ. 화폐의 수요변동요인

Ⅵ. 화폐와 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
1. 재생산 체계 내에서의 화폐의 위치
2. 관리통화제도 하에서의 화폐가치
3. 두 종류의 사적(私的)신용
4. 빅셀과 재생산과정의 세 국면

Ⅶ. 화폐와 국제화폐
1. “부채-자산”으로서 초국적 은행화폐
1) 국제화폐의 지위
2) “부채-자산”으로서 국제화폐
2. 국민화폐에 대한 계산단위로서 국제화폐

참고문헌

본문내용

근 들어서는 은행의 인력절감 효과가 큰 홈뱅킹(home-banking)이나 텔레뱅킹(tele-banking)의 이용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화폐수요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주요 시중은행의 경우 1997년에 와서 그 이용액이 1996년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이와 함께 향후 電子貨幣카드 및 關聯機器의 표준화, 金融共同電算網 이용체계의 구축 등이 완료되어 전자화폐의 통용이 확대되는 경우 시중의 현금수요는 더욱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은행들은 1997년 2월 전자화폐의 표준개발을 완료하고 전자화폐에다 신용카드, 직불카드 기능을 포괄하는 금융IC카드 시스템을 구축중이며 전자화폐의 암호화문제가 해결되면 시제품을 생산하여 테스트를 거친 후 1998년 중 시범지역을 선정, 시험 사용토록 할 계획으로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개인수표이용이 관행화되어 있지 않고 최고액권인 10,000원권의 액면가도 낮은 편인 점을 감안하면 전자화폐의 현금수요 대체규모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1996년 이후 3차에 걸친 支準率 인하(1996.4월, 11월, 1997.2월)로 은행이 거액현금수요 고객의 사전예약, 점외 CD/ATM에 대한 10만 원 권 자기앞수표 활용 등 현금보유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도 최근의 현금수요 둔화현상의 요인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이는 현행 제도상 지준의 현금보유인허비율이 필요지준액의 25%로 제한되고 있는데 일부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Ⅵ. 화폐와 마르크스의 화폐적 균형
1. 재생산 체계 내에서의 화폐의 위치
당초 마르크스는 화폐 금의 생산을 생산수단을 생산하는 제1부문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다루었다(Marx, 1978, pp 545-56). 그러나 보르트키에비츠(Bortkiewicz, 1984)와 룩셈부르크(Luxemburg, 1963)는 화폐 금이 유통수단으로만 기능할 뿐 다른 상품의 생산을 위한 생산수단으로는 기능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제1부문에 귀속시키는 것을 반대하여 화폐 금의 생산을 사치재를 생산하는 제3부문에 속하는 것으로 다루었다. 그러나 이는 화폐 금이 사치재처럼 자본가들이 그들의 잉여가치 부분으로 구매하여 퇴장할 경우에는 맞는 얘기가 되겠지만 적어도 유통계에 계속 머물면서 유통수단으로 기능하는 경우에는 화폐 금이 처음부터 자본가의 잉여가치에 의해 구매되는 것만은 아니므로 사치재와 같은 생산부문에 귀속시켜서는 곤란하다. 적어도 유통수단으로 기능하는 한, 화폐 금은 일종의 사회적 유통기계, 사회적 공통자본을 구성하는 고정자본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마르크스가 그랬던 것처럼 제1부문에 귀속시키거나 아니면 사치재와는 구별되는 유통수단 생산만을 전업으로 하는 제4부문에 귀속시켜야 할 것이다.
그러면 이 부문에서 새로 생산되는 모든 화폐 금은 유통기계라는 고정자본의 마손부분을 보충하고 나머지 부분은 추가로 유통수단을 증대시키는 데 사용된다고 간주될 수 있다. 단순재생산의 경우에는 유통기계(고정자본)의 마손을 물리적으로 벌충할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화폐 금의 공급이 있어야만 한다. 만약 그 이상의 량으로 금 공급이 있을 경우에는, 단순재생산 조건을 충족하는 한, 그 여유분은 반드시 퇴장되어지지 않으면 안 된다. 물론 그러나 화폐의 퇴장 규모는 어디까지나 자본가의 자의에 달려 있으므로 꼭 그 여유분 만큼만 퇴장된다고는 볼 수 없다. 만약 그 이상 혹은 이하 규모의 퇴장이 이루어진다면 적정 저축 규모를 상회 또는 하회하는 저축을 의미하므로 축소재생산이나 확대재생산이 시작됨을 의미한다고 보아도 좋다.
2. 관리통화제도 하에서의 화폐가치
그러면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도 이상의 원리가 그대로 성립하는가? 물론이다. 오히려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는 퇴장화폐로서의 기능이 극히 부분적으로만 수행되기 때문에 우리들의 위에서의 논의는 더 철저하게 관철될 수 있다.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는 경화(硬貨: hard currency)인 지폐의 발행이화페 금의 생산에 대응한다. 이 지폐가 유통계에 던져질 때는 고공(高空)에서 눈이 내리듯 무작위로 던져지는 것이 아니라 상품판매를 수반하지 않는 일방적인 상품구매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화폐가 유통계에 던져지는 경로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중앙은행에 대한 정부 차입금이란 형태로 대부된 화폐를 갖고 정부가 민간으로부터 물건을 구매할 때이고 다른 하나는 중앙은행이 공개시장에 개입하여 금융자산을 매입할 때이다. 그런데 후자의 경우의 화폐는 중앙은행이 직접 새로 발행한 화폐가 아니라 이미 정부 차입금 형태로 발행되어진 화폐가 과거에 민간으로부터 중앙은행으로 환류 하여 잠시 퇴장되어 있다가 다시 유통계로 복귀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화폐 금의 생산에서처럼 전적으로 새로 발행되는 화폐는 정부의 재정적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첫 번째 경로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의 발행은 마치 금 생산부문이 생산재를 C3만큼 발주하고 소비재를 V3만큼 발주하여 화폐를 Y3만큼 유통계로 던지듯이, 정부가 생산재를 C3만큼 발주하고 소비재를 V3만큼 발주하여 화폐를 Y3만큼 유통계에 던지는 것과 유사하다. 문제는 S3의 구성요소다. 관리통화제도 이전의 단순한 국가지폐의 경우에는 S3를 구성하는 것은 아무 것도 없었으나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는 정부의 누적부채에 대한 이자지급액이 S3을 구성한다. 이 때 발행되는 화폐액 가운데 중앙은행에 의해 퇴장되는 부분을 제외한 만큼의 가치가 사회적 유통 공비를 구성하고 소비재 가치와 생산재 가치의 인플레를 유발하는 C3 + V3 + S3 = Y3를 이룬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지폐와 신용화폐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신용화폐는 시중은행의 신용창조에 의해 공급되어지지만 통상 지폐와 마찬가지로 유통계에서 교환의 매개수단, 지불수단, 화폐자본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통화량을 계산할 때 두 범주를 통틀어 단일 범주로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우리가 물가에 대한 영향을 논하는 데서는 반드시 구별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하나는 판매가 수반되지 않는 일방적인 구매에 의해 공급되어지므로 물가를 상승

키워드

화폐,   국제화폐,   ,   금융,   통화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74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