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 말기를 여러차례 반복한 뒤 오븐에 구워낸다. 종이로 층을 쌓아 놓은듯이 한장 한장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파이의 종류는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사과나 호두, 파인애플, 살구, 블루베리, 복숭아 등을 이용한 후루츠파이. 초콜릿크림, 레몬크림 등을 넣은 크림파이. 과일을 삶거나 즙을 내어 머랭을 섞어 만든 시폰파이. 펌프킨파이, 피칸파이, 커스터드크림파이 등의 소프트 파이. 아이스크림파이, 보스턴크림 파이 등의 스페셜파이가 있다.한편 파이 반죽을 이용해서 만든 다른 종류로는 애플파이, 폰파이, 소라파이 등의 후레시 베이커리 종류, 파이 판으로 찍어낸 다음 크림과 과일로 속을 채우는 타트와 타틀렛 등이 있다.파이를 맛있게 구우려면, 반죽을 할 때 버터가 녹으면 층이 생기지 않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 너무 질지 않아야 볼록하며 가벼운 층이 잘 생겨 파이 본래의 맛을 즐길 수 있다.그리고 파이가 완전히 부풀어 노릇하게 구워지기 전까지는 절대로 오븐을 열어보면 안된다. 도중에 냉기가 들어가면 층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과자의 대표적인 것이 쿠키이다. 쿠키의 어원은 네덜란드의 쿠오퀘에서 따온 것으로 작은 케이크라는 뜻이다. 쿠키는 미국식 호칭이며, 영국에서는 비스킷, 프랑스에서는 사블레, 우리나라에서는 건과자라고 한다.쿠키는 재료나 만드는 방법에 따라 종류가 여러가지 있다. 미국식의 기본적으로 만드는 방법으로는 버터나 쇼트닝에 설탕을 넣고 저어 크림 모양으로 만든 다음, 달걀을 넣고 다시 잘 저어 베이킹파우더,향료,밀가루를 섞어서 반죽하여 얇게 밀어 쿠키들로 찍어서 오븐에 구워낸다.빵반죽에 따라 철판 위에다 튜브로 짜내거나, 스푼으로 떠놓거나(드롭쿠키), 냉장고에 넣어 굳혔다가 얇게 썰어서 굽거나(아이스박스 쿠기 또는 냉동쿠키) 한다.영국식은 비스킷 속에 너트를 굵게 다져 섞어 얇게 민 다음 적당한 틀로 모양을 찍어서 구워내거나 (너트비스킷), 가루 속에 적은 양의 생강가루를 넣어서 만들거나 한다 (진저비스킷).프랑스식의 비스킷도 쿠키와 마찬가지로 밀가루를 주 원료로 하여 지방, 우유, 버터, 달걀, 당분, 향료등을 섞어서 반죽하여 여러가지 모양의 틀에 구워낸 마른 과자이다.
Ⅳ.빵의 어원
빵이란 밀가루 또는 기타 곡물에 이스트, 소금, 물 등을 가하여 생지를 만들고 이것을 발효시켜 굽거나 찐 것을 말한다. 빵의 어원은 라틴어의 \'Panis\'에서 유래되었고, 프랑스어의 \'Pain\', 스페인어의 \'Pain\', 이태리어의 \'Pane\', 독일어의 \'Brot\', 네델란드어의 \'Brod\', 영어의 \'Bread\' 등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빵\'이라고 불려지고 있다.이는 아마도 가장 일찍이 일본에 소개한 포르투갈의 pao 이 일본식 발음으로 빵으로 불리운데 연유되어 우리나라에 \'빵\'이라고 전해진 듯 하다. 빵의 기원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다음은 빵의 역사에 있어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주요 변화이다. 1.빵의 발달
1. 메소포타미아...(B.C4000경)인류 최초의 소맥재배지역이며, 거친 가루를 이용한 납작한 무발효빵을 제조하였고, 또한 동방으로 곡물제조법 및 제법을 전파하기도 하였다. 2. 고대 이집트...(B.C 4000 ~ B.C 1500년)야생 효모균에 의해 발효된 빵을 제조하였으며, 빵을 굽는 오븐이 발달하였다. B.C 1600년경에는 간접열을 이용한 굽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3. 그리스...(B.C 1000경) 이들은 유럽으로 제빵법을 전파하였으며 빵 . 과자를 주식이 아닌 기호식품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풍부한 과실류, 우유, 꿀, 치즈, 올리브유 등을 이용한 제과기술이 발전하였고, 훈련과 품질관리규정에 따른 균일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졌다. 4. 로마시대...(B.C 200경)본격적으로 제빵업이 상업화되기 시작했다. 길드(guild) 같은 제빵 자치단체가 형성되었고, B.C 312 년에는 로마시대에만도 254개 업소의 점포와 직업훈련원을 통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졌으며, 새로운 제분법과 반죽법의 활용으로 대규모 양산체제가 확립되었다. 5. 중세기...(~ 1500년경)로마시대에 발달되었던 제빵의 상업성이 퇴조를 보이며, 서서히 가정에서 빵을 구워먹게 되었고 제빵기술이 답보상태에 이르렀던 시기였다. 그 가운데에서 지역적인 빵(french bread, italian bread 같은 빵들)이 탄생되어 명맥을 유지하였다. 6. 근대...(1800년 ~ 1920년)1800년경에 프랑스에서 기계식 반죽기의 발명 이래로 간접가열식 오븐이 탄생하여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1918년에 속도 조절이 가능한 반죽기가 개발되었으며, 그로부터 2년 후 석유나 가스를 원료로 하는 오븐이 개발되어 현대에 이른다 2.우리 나라 베이커리의 역사
우리 나라에는 쌀과 찹쌀을 주재료로 한 한과가 꿀이나 엿과 같은 감미재료와 결합하여 전통적으로 만들어 온 강정, 산자 등의 유과류와 유밀과, 다식, 엿강정 등이 있다. 빵은 구한 말 선교사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고 가마에 숯불을 피운 다음 시루를 엎고 그 위에 빵반죽을 올려놓고 다시 오이자배기로 뚜껑을 덮어 빵을 구워내었다 한다. 약 120여년 전인 1880년에 정동구락부에서 빵을 면포, 중국말로 빵이라는 뜻으로 불렀고, 카스텔라는 백설과 같이 희다하여 \'설고\'라 했는데 처음으로 이것을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고급 과자류를 수입, 판매하였다. 구 한말에는 개방의 물결이 밀려와서 1884년에는 한.러 통상조약이 체결되고 1890년에 러시아공관을 세웠는데 당시의 웨베르 러시아공사의 처제인 손택부인이 빵과자를 제공하였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빵과자 역사의 시작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부터 제2차 5개년경제계획이 끝난 1971년까지를 소년기라 한다면 이 시기에는 전에 비해 판매구조에 특징이 생기게 되었다. 1945년 8. 15이전에는 도.소매에 확실한 구분이 있었으나 소년기에는 자가제조, 자가판매라는 형태로 바뀌었다. 1971년까지 2차 5개년경제개발계획에 힘입어 자체제조, 자체판매의 형식을 갖춘 과자점의 수가 늘고, 대량 생산업체인 삼립식품, 서울식품, 콘티식품, 샤니케
Ⅳ.빵의 어원
빵이란 밀가루 또는 기타 곡물에 이스트, 소금, 물 등을 가하여 생지를 만들고 이것을 발효시켜 굽거나 찐 것을 말한다. 빵의 어원은 라틴어의 \'Panis\'에서 유래되었고, 프랑스어의 \'Pain\', 스페인어의 \'Pain\', 이태리어의 \'Pane\', 독일어의 \'Brot\', 네델란드어의 \'Brod\', 영어의 \'Bread\' 등으로 불려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빵\'이라고 불려지고 있다.이는 아마도 가장 일찍이 일본에 소개한 포르투갈의 pao 이 일본식 발음으로 빵으로 불리운데 연유되어 우리나라에 \'빵\'이라고 전해진 듯 하다. 빵의 기원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다음은 빵의 역사에 있어 고대로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주요 변화이다. 1.빵의 발달
1. 메소포타미아...(B.C4000경)인류 최초의 소맥재배지역이며, 거친 가루를 이용한 납작한 무발효빵을 제조하였고, 또한 동방으로 곡물제조법 및 제법을 전파하기도 하였다. 2. 고대 이집트...(B.C 4000 ~ B.C 1500년)야생 효모균에 의해 발효된 빵을 제조하였으며, 빵을 굽는 오븐이 발달하였다. B.C 1600년경에는 간접열을 이용한 굽기 방법을 사용하였다. 3. 그리스...(B.C 1000경) 이들은 유럽으로 제빵법을 전파하였으며 빵 . 과자를 주식이 아닌 기호식품으로 변환하였다. 또한 풍부한 과실류, 우유, 꿀, 치즈, 올리브유 등을 이용한 제과기술이 발전하였고, 훈련과 품질관리규정에 따른 균일제품의 생산이 이루어졌다. 4. 로마시대...(B.C 200경)본격적으로 제빵업이 상업화되기 시작했다. 길드(guild) 같은 제빵 자치단체가 형성되었고, B.C 312 년에는 로마시대에만도 254개 업소의 점포와 직업훈련원을 통한 품질관리가 이루어졌으며, 새로운 제분법과 반죽법의 활용으로 대규모 양산체제가 확립되었다. 5. 중세기...(~ 1500년경)로마시대에 발달되었던 제빵의 상업성이 퇴조를 보이며, 서서히 가정에서 빵을 구워먹게 되었고 제빵기술이 답보상태에 이르렀던 시기였다. 그 가운데에서 지역적인 빵(french bread, italian bread 같은 빵들)이 탄생되어 명맥을 유지하였다. 6. 근대...(1800년 ~ 1920년)1800년경에 프랑스에서 기계식 반죽기의 발명 이래로 간접가열식 오븐이 탄생하여 대량 생산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또한 1918년에 속도 조절이 가능한 반죽기가 개발되었으며, 그로부터 2년 후 석유나 가스를 원료로 하는 오븐이 개발되어 현대에 이른다 2.우리 나라 베이커리의 역사
우리 나라에는 쌀과 찹쌀을 주재료로 한 한과가 꿀이나 엿과 같은 감미재료와 결합하여 전통적으로 만들어 온 강정, 산자 등의 유과류와 유밀과, 다식, 엿강정 등이 있다. 빵은 구한 말 선교사들에 의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고 가마에 숯불을 피운 다음 시루를 엎고 그 위에 빵반죽을 올려놓고 다시 오이자배기로 뚜껑을 덮어 빵을 구워내었다 한다. 약 120여년 전인 1880년에 정동구락부에서 빵을 면포, 중국말로 빵이라는 뜻으로 불렀고, 카스텔라는 백설과 같이 희다하여 \'설고\'라 했는데 처음으로 이것을 선보인 것을 시작으로 고급 과자류를 수입, 판매하였다. 구 한말에는 개방의 물결이 밀려와서 1884년에는 한.러 통상조약이 체결되고 1890년에 러시아공관을 세웠는데 당시의 웨베르 러시아공사의 처제인 손택부인이 빵과자를 제공하였는데, 이것이 우리나라 빵과자 역사의 시작이다.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1945년부터 제2차 5개년경제계획이 끝난 1971년까지를 소년기라 한다면 이 시기에는 전에 비해 판매구조에 특징이 생기게 되었다. 1945년 8. 15이전에는 도.소매에 확실한 구분이 있었으나 소년기에는 자가제조, 자가판매라는 형태로 바뀌었다. 1971년까지 2차 5개년경제개발계획에 힘입어 자체제조, 자체판매의 형식을 갖춘 과자점의 수가 늘고, 대량 생산업체인 삼립식품, 서울식품, 콘티식품, 샤니케
추천자료
[사회과학] 술에 관하여
멕시코의 문화
미국 외식산업의 변천
러시아의 음식(Русские еды)문화
이탈리아의 식생활과 문화
제과제빵에 대해
냉동생지의 모든것
서양음식문화의 이해(고대그리스, 이탈리아, 프랑스 중심으로)
[던킨도너츠][던킨도너츠 유래][던킨도너츠 시장][던킨도너츠 광고][던킨도너츠 조사내용]던...
[성경말씀, 설교말씀본문-마태복음 16장 5-12절] 바른 신앙의 길
신라명과, ‘신라 옷’ 벗고 ‘새 옷’을 입다 - 신라명과의 마케팅 부진과, 새로운 마케팅 제안 ...
2015년 1학기 유비쿼터스컴퓨팅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롤리팝 5.0, iOS8 특징)
식탁 위의 세계사 이영숙 독후감 감상문 서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