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의미
Ⅲ.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역사
Ⅳ.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원칙
1. 나침반해석과 龍殺, 黃泉殺
2. 바람직한 立向法
3. 재혈분금법
Ⅴ.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체계화
Ⅵ.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정감록
1. 연역
2. 감결원문
3. 정감록의 비판
Ⅶ.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지리설
Ⅷ.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주택
1. 복거총론
2. 지세론
3. 택지론
4. 수론
5. 묘론
6. 풍론
7. 조옥론
8. 조문론
9. 택목론
10. 오허, 오실론
1) 오허
2) 오실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Ⅱ.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의미
Ⅲ.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역사
Ⅳ.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원칙
1. 나침반해석과 龍殺, 黃泉殺
2. 바람직한 立向法
3. 재혈분금법
Ⅴ.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체계화
Ⅵ.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정감록
1. 연역
2. 감결원문
3. 정감록의 비판
Ⅶ.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풍수지리설
Ⅷ.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주택
1. 복거총론
2. 지세론
3. 택지론
4. 수론
5. 묘론
6. 풍론
7. 조옥론
8. 조문론
9. 택목론
10. 오허, 오실론
1) 오허
2) 오실
Ⅸ.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소위 음양분금법) (2) 정침분금(투지내반)과 필요시 봉침분금(투지외반)선을 납음오행으로 분류, 상하 오행상생으로 시신을 트는 법 (3) 망인 또는 망인과 자손의 생년까지 오행으로 분류, 상하 오행상생이 되게 시신을 트는 법 (4) 24산분금법(예컨대 임산병향-丁亥,丁巳出人聰明, 辛亥,辛巳初吉後凶) (5) 越坐通道法(주로 前面山水射時) (6) 雷霆分金(速發위해 殺氣배합)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는 가장 손쉬운 음양분금법을 많이 쓰고 있으나 (2)(3)번의 오행상생분금법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본다.
Ⅴ.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체계화
풍수지리의 관념이 고대인의 산악 신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삼국유사\'에 환인과 풍백 등을 거느리고 태백산에 신단수를 정했다는 기록에서도 풍수의 시원을 짐작하게 한다. 당시의 도읍이란 청동기나 철제를 독점한 종족이 후진적인 주위의 종족을 지배하기 위한 중심지였으므로, 특정 종족의 산악 숭배와 도읍 선정에 풍수지리가 작용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그 후 철제 도구의 보급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고 종족적인 우위보다는 씨족간의 경쟁으로 사회가 변화하게 됨에 따라, 특정 씨족들이 거주한 향촌의 중심지를 선정하거나 혹은 특정 씨족의 현조를 안장하는 묘지 선정으로 그 성격이 바뀌었던 것 같다. 이 때가 대개 통일 신라 전후인 것 같다. 그 이전의 지석묘나 다양한 묘제의 왕릉도 산을 숭배한 것과 무관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특정 종족의 산악 숭배는 산천 숭배의 하나로서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각 제사를 지냄으로써 자신의 종족으로 구성된 왕실의 안녕과 왕조의 안정을 기원하였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할 것 같으면, 신라는 제지를 마련하여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중에서 상당히 큰제사를 지낸 오악은 토함산, 지리산, 계룡산, 태백산, 팔공산 등이었다. 조선조에서도 지리산, 삼각산, 송악산, 비백산 등을 악으로 정하여, 그리고 치악산, 계룡산, 죽령산, 우불산, 주흘산, 금성산, 목면산, 오관산, 우이산, 감악산, 의관령 등을 명산으로 정하여 제사를 지냈다. 신라의 오악(五岳)이 시대에 따라 변하여 왔는데, 조선 고종 때(1899년)는 금강산을 동악, 지리산을 남악, 삼각산을 중악, 묘향산을 서악, 백두산을 북악으로 정하여 천자로서 사전을 갖추어 제사지냈다.
왕조에서 산천에 대하여 제사를 지내고 왕도를 선정하기도 하였지만, 특정 씨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풍수지리의 관념이 특정 부족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내용으로 발전하여 갔다고 본다. 다시 말해 왕족이나 귀족을 중심으로 유행한 풍수지리의 관념이 향총의 호족이나 사대부에게도 널리 수용되었던 것이다. 조선조에 와서는 풍수지리가 사대부의 교양이 된 듯하다. 그러나 풍수지리의 밑바닥에 흐르는 논리는 고대인의 자연과 사회에 대한 세계관에서 출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산을 생명력을 가진 유기체로 간주해 보아 사람에게 기운이 있는 것과 같이 지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계절과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여 살아가고자 한 우리 선조의 생활 태도와 소박한 철학이 풍수지리의 기본 논리였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자 한 소박한 염원이 풍수지리에 배여 있고 이는 \'형국론\'으로 표출되어 있다. 형국론은 중국의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것과 차이점이 많은 우리 풍수지리의 고유한 면이다. 이는 이른바 \'형기론\'으로 불리어지는데, \'이기론\'과 달리 자연 현상에 빗대어서 산을 해석하고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기론의 바탕이 된 음양오행설보다는 산을 직접 의인화하고 의물화하는 것보다 손쉽기 때문에 형기론이 먼저 성립되었고, 나중에 이기론으로 체계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욱 설득력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고대인의 자연관과 세계관이 중국에서는 이기론으로 더욱 발전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태산 준령보다는 자그마한 들을 낀 구릉지가 많기 때문에 형기론으로 발전하였는지도 모른다.
Ⅵ.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정감록
1. 연역
정감록은 풍수지리 및 음양오행설을 근본으로 한 일종의 예언서로서 이씨 조선의 흥망과 정씨가 나라를 이룰 때까지를 예언하였다는 도참의 일종이다. 이 정감록이 나타난 년대는 확실하지 않고 다만 이조중엽에는 이미 일부계급층에서는 크게 믿어져 있었다. 이 정감록으로 인하여 일신을 망치고 가산을 탕진한자가 많았다하고 아직도 정감록을 믿고 계룡산에 정도령이 나라를 세울 것이라 하며 이미 이곳에 옮겨 사는 사람도 많다. 이 정감록의 저자 또한 확실하지 않고 당시의 조정에 원한을 품고 모반할 뜻이 있는 어느 야심자가 지었으리라고 하기도 하며 또는 고려 말엽으로부터 이조중엽사이에 생존하였던 사람 중에 특히 풍수 및 음양에 능통하였던 도선, 무학, 남사고 등등(풍수사 참조)을 저자라고 하기도 한다.
원래부터 정감록이 인본이 아니고 필사로 유포되는 과정에서 원저자 아닌 사람에 의하여 오자나 탈자도 있게 되며 또 참삭 혹은 보필을 하여 책마다 조금씩 내용을 달리하여 오늘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고 또 책마다 진본이니 원본이니 하는 글자를 붙이고 있어 어느 것이 원본인지 분간하기 어렵다. 따라서 표제를 비결, 정감록, 유산록, 미비록, 운기위책, 감인록, 비지론 등으로 한 것도 있다.
보통 정감록이라면 「비결」「동국력대본관음양결」 「력대왕도본관수」 「삼한산림비기」등을 일괄 범칭한 것이다.
2. 감결원문
한강공이 봉지완산백하여 유자삼인하니 장일 림이니 조사하고 차일심이요 삼일연이니 무정공으로 동유팔도산수기절라. 상김강산하여 죽장망혜로 등비 태하야 상고위구 천지음양이 선위주장이로다. 심이 구 산수지법이 기이절승이로다. 정이 구 자곤륜으로 내맥이 지백두산하야 원기가 지천평양이나 평양은 기과천년지운이요 이천송악하야 오백년지지나 첨승 관희가 작난하야 지기쇠패하고 천운부색하면 운이천한양하리라 이기략에 일 천과미정충신사하니 건곤장야명이라 남도문용인하거오 수도백우주도성이니라 심이 구 내맥이 운이김강하야 지천태백(재안동), 소백(재순여)하야 산천이 종기하고 입어계산하니 정씨 팔백년지지요원맥은 가 산이 조씨 천년지지요 전주는 범씨 육백년지지요지어송악하야 왕씨 부흥지지요 여미상하여 부가야운운이다.
일반적으로는 가장 손쉬운 음양분금법을 많이 쓰고 있으나 (2)(3)번의 오행상생분금법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본다.
Ⅴ. 풍수지리(풍수지리학)의 체계화
풍수지리의 관념이 고대인의 산악 신앙과 무관하지 않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며, \'삼국유사\'에 환인과 풍백 등을 거느리고 태백산에 신단수를 정했다는 기록에서도 풍수의 시원을 짐작하게 한다. 당시의 도읍이란 청동기나 철제를 독점한 종족이 후진적인 주위의 종족을 지배하기 위한 중심지였으므로, 특정 종족의 산악 숭배와 도읍 선정에 풍수지리가 작용하였다고 본다.
그러나 그 후 철제 도구의 보급에 따라 인구가 증가하고 종족적인 우위보다는 씨족간의 경쟁으로 사회가 변화하게 됨에 따라, 특정 씨족들이 거주한 향촌의 중심지를 선정하거나 혹은 특정 씨족의 현조를 안장하는 묘지 선정으로 그 성격이 바뀌었던 것 같다. 이 때가 대개 통일 신라 전후인 것 같다. 그 이전의 지석묘나 다양한 묘제의 왕릉도 산을 숭배한 것과 무관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특정 종족의 산악 숭배는 산천 숭배의 하나로서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각 제사를 지냄으로써 자신의 종족으로 구성된 왕실의 안녕과 왕조의 안정을 기원하였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할 것 같으면, 신라는 제지를 마련하여 명산대천에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중에서 상당히 큰제사를 지낸 오악은 토함산, 지리산, 계룡산, 태백산, 팔공산 등이었다. 조선조에서도 지리산, 삼각산, 송악산, 비백산 등을 악으로 정하여, 그리고 치악산, 계룡산, 죽령산, 우불산, 주흘산, 금성산, 목면산, 오관산, 우이산, 감악산, 의관령 등을 명산으로 정하여 제사를 지냈다. 신라의 오악(五岳)이 시대에 따라 변하여 왔는데, 조선 고종 때(1899년)는 금강산을 동악, 지리산을 남악, 삼각산을 중악, 묘향산을 서악, 백두산을 북악으로 정하여 천자로서 사전을 갖추어 제사지냈다.
왕조에서 산천에 대하여 제사를 지내고 왕도를 선정하기도 하였지만, 특정 씨족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풍수지리의 관념이 특정 부족의 거주지를 중심으로 한, 보다 정교하고 복잡한 내용으로 발전하여 갔다고 본다. 다시 말해 왕족이나 귀족을 중심으로 유행한 풍수지리의 관념이 향총의 호족이나 사대부에게도 널리 수용되었던 것이다. 조선조에 와서는 풍수지리가 사대부의 교양이 된 듯하다. 그러나 풍수지리의 밑바닥에 흐르는 논리는 고대인의 자연과 사회에 대한 세계관에서 출발하고 있다. 무엇보다 산을 생명력을 가진 유기체로 간주해 보아 사람에게 기운이 있는 것과 같이 지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특히, 계절과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여 살아가고자 한 우리 선조의 생활 태도와 소박한 철학이 풍수지리의 기본 논리였다.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가고자 한 소박한 염원이 풍수지리에 배여 있고 이는 \'형국론\'으로 표출되어 있다. 형국론은 중국의 풍수지리에서 말하는 것과 차이점이 많은 우리 풍수지리의 고유한 면이다. 이는 이른바 \'형기론\'으로 불리어지는데, \'이기론\'과 달리 자연 현상에 빗대어서 산을 해석하고 있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이기론의 바탕이 된 음양오행설보다는 산을 직접 의인화하고 의물화하는 것보다 손쉽기 때문에 형기론이 먼저 성립되었고, 나중에 이기론으로 체계화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욱 설득력 있다. 그렇지 않으면 고대인의 자연관과 세계관이 중국에서는 이기론으로 더욱 발전하였고 우리 나라에서는 태산 준령보다는 자그마한 들을 낀 구릉지가 많기 때문에 형기론으로 발전하였는지도 모른다.
Ⅵ. 풍수지리(풍수지리학)와 정감록
1. 연역
정감록은 풍수지리 및 음양오행설을 근본으로 한 일종의 예언서로서 이씨 조선의 흥망과 정씨가 나라를 이룰 때까지를 예언하였다는 도참의 일종이다. 이 정감록이 나타난 년대는 확실하지 않고 다만 이조중엽에는 이미 일부계급층에서는 크게 믿어져 있었다. 이 정감록으로 인하여 일신을 망치고 가산을 탕진한자가 많았다하고 아직도 정감록을 믿고 계룡산에 정도령이 나라를 세울 것이라 하며 이미 이곳에 옮겨 사는 사람도 많다. 이 정감록의 저자 또한 확실하지 않고 당시의 조정에 원한을 품고 모반할 뜻이 있는 어느 야심자가 지었으리라고 하기도 하며 또는 고려 말엽으로부터 이조중엽사이에 생존하였던 사람 중에 특히 풍수 및 음양에 능통하였던 도선, 무학, 남사고 등등(풍수사 참조)을 저자라고 하기도 한다.
원래부터 정감록이 인본이 아니고 필사로 유포되는 과정에서 원저자 아닌 사람에 의하여 오자나 탈자도 있게 되며 또 참삭 혹은 보필을 하여 책마다 조금씩 내용을 달리하여 오늘에 전해져 내려오고 있고 또 책마다 진본이니 원본이니 하는 글자를 붙이고 있어 어느 것이 원본인지 분간하기 어렵다. 따라서 표제를 비결, 정감록, 유산록, 미비록, 운기위책, 감인록, 비지론 등으로 한 것도 있다.
보통 정감록이라면 「비결」「동국력대본관음양결」 「력대왕도본관수」 「삼한산림비기」등을 일괄 범칭한 것이다.
2. 감결원문
한강공이 봉지완산백하여 유자삼인하니 장일 림이니 조사하고 차일심이요 삼일연이니 무정공으로 동유팔도산수기절라. 상김강산하여 죽장망혜로 등비 태하야 상고위구 천지음양이 선위주장이로다. 심이 구 산수지법이 기이절승이로다. 정이 구 자곤륜으로 내맥이 지백두산하야 원기가 지천평양이나 평양은 기과천년지운이요 이천송악하야 오백년지지나 첨승 관희가 작난하야 지기쇠패하고 천운부색하면 운이천한양하리라 이기략에 일 천과미정충신사하니 건곤장야명이라 남도문용인하거오 수도백우주도성이니라 심이 구 내맥이 운이김강하야 지천태백(재안동), 소백(재순여)하야 산천이 종기하고 입어계산하니 정씨 팔백년지지요원맥은 가 산이 조씨 천년지지요 전주는 범씨 육백년지지요지어송악하야 왕씨 부흥지지요 여미상하여 부가야운운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