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교(기독교)의 독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神(신)론과 세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치유와 용서, 그리스도교(기독교)와 임마누엘 칸트, 그리스도교(기독교)와 도덕종교, 그리스도교(기독교) 관련 제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독특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神(신)론과 세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치유와 용서, 그리스도교(기독교)와 임마누엘 칸트, 그리스도교(기독교)와 도덕종교, 그리스도교(기독교) 관련 제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그리스도교(기독교)의 독특성

Ⅲ. 그리스도교(기독교)의 神(신)론
1. 하나님의 존재
2. 하나님을 알 수 있는 길
3. 하나님의 본성
1) 하나님의 영성
2) 하나님의 인격성
3) 삼위일체의 교리
4. 하나님의 속성
1) 자연적인 속성
2) 도덕적인 본성
5. 하나님의 일
6. 하나님과 우리와의 관계

Ⅳ.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세계관

Ⅴ.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치유와 용서

Ⅵ. 그리스도교(기독교)와 임마누엘 칸트

Ⅶ. 그리스도교(기독교)와 도덕종교

Ⅷ. 그리스도교(기독교) 관련 제언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기에서 그리하는 것 같다. 첫째는 단순한 호기심이란 동기이다. 일반적으로는 이것이 어떤 질문을 하고 탐구를 해 나가는 일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동인이다. 여유와 호기심이 없이는 실용적이지 않은 연구나 탐구는 이루어지기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호기심 그 자체에 이끌려 가면 우리는 끝없는 방황을 할 뿐, 어떤 진전이나 유의미한 열매를 내기가 어려울 것이다. 물론 이 세상에서 아주 놀라운 발견을 하거나 굉장한 것을 이룬 이들은 다 이 호기심 자체에 의해서 움직여 나갔음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그러므로 우리는 어떤 뛰어난 분들의 호기심에 가득 찬 시도들에 대해 개방적이어야 하고 그런 시도의 여지를 항상 열어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리스도인들이 그들의 세계관을 외현화시킬 때 그것이 그저 호기심에 이끌려 하는 작업이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이상의 어떤 본유적인 동기가 여기에 작용해야만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세계관을 외현화할 때 그들이 가지는 또 하나의 이유는 이 세계 내에서 그들이 느끼는 불안(anxiety or dread)과 연관되어 있다. 이 세상 안에 내 던져진 존재(das Geworfenheit)로 자신을 느낄 때 가지게 되는 그런 불안 가운데서 사람들은 여러 자지 안전 장치와 안전 보장을 마련하려고 하게 된다. 그런 안전 보장에 대한 추구 중의 하나가 이 세계의 정체를 확인하고 그 안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확인해서 안심하려는 것이다. 그러나 그 모든 불안과 염려를 다 하나님과 그리스도께 맡긴 그리스도인들에게는 이런 동기가 작용하여 그들의 세계관을 외현화시켜 보려는 것이 있을 수 없는 일이 되며, 그들의 존재 방식과 일치하지 않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리스도인들은 왜 그들의 세계관을 명확히 하는 일을 해야 하는가? 그 첫째 이유는 그리스도인은 자신들의 존재뿐만이 아니라, 이 세계와 그 과정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하고 바르게 반응해야 하는 일에로도 부름을 받았기 때문이다. 신약 성경이 그리스도인들에게 요구하는 일 가운데 하나는 \"깊이 생각하라\"는 것이다. 자신이 이전에 어떤 존재들이었으며, 이제 그리스도인이 된 후에 어떤 사람들이 되었으며, 따라서 하나님과 세계와 자신들과 다른 사람들과, 다른 피조물들에 대해서 어떤 관계를 유지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깊이 생각하라고 하는 것이다.
이런 요구에 의하면 그리스도인이 자신들의 세계관을 잘 표현해 내는 일은 자신의 그리스도인 됨의 중요한 한 측면이기도 한 것이다. 그리스도인은 아무 생각 없이 사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요구하시는 바를 인지적인 측면에서도 잘 드러내도록 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세계관을 진술해 보려는 노력도 우리가 사는 이 세계에 대한 하나님의 진리를 바로 알고 드러내려는 노력의 일환인 것이다. 이것이 기독교 세계관의 이론적 동기(theoretical motive)라고 할 수 있다.
둘째로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들의 세계관을 명확히 해 보려고 하는 이유는 이 세계가 바로 그들이 관련하여 살고 활동해야 하는 세계이기 때문이다. 즉, 세계 안에서의 실천과 활동이라는 실천적 동기(practical motive)가 작용해서 그리스도인들은 그들의 세계관을 외현화하려고 하는 것이다. 그래서 아더 홈즈는 \"세계관은 행동의 지침으로서도 필요하다\"고 말한다. 또 이와 연관된 세계관의 필요성으로 \"사유와 삶을 통일시키기 위해서, 선한 생활을 정의하고 인생의 희망과 목적을 찾도록 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도 말하고 있다. 아마도 이와 비슷한 이유에서 월터스는 \"나는 세계관이란 우리 삶의 인도자의 기능을 한다고 믿는다.\"고 말한 듯하다.
브라이언 월쉬와 리쳐드 미들톤도 자신들이 기독교 세계관에 대한 강의를 하고 이에 대한 책을 쓰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표현하고 있다: \"우리의 목표는 성경에 충실하면서 동시에 세속 사회에서 그리스도인으로서 순종의 삶을 살도록 유도하는 통일된 기독교 세계관을 학생들이 계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었다.\" 왜냐 하면, 그들에 의하면, \"하나의 세계관은 그 세계관을 가진 사람이 세상에서(in the World) 지향해 나갈 세계의 모델(model of the world)을 제공\"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 세상 안에서의 제대로 된 실천, 바른 실천(orthopraxis)을 위한 이론적 작업으로 기독교적 세계관을 명확히 드러내며 표현해 보려고 하는 것이다. 왜냐 하면 \"기독교 사상의 영향력은 기업과 정치, 문학과 예술, 학문과 교육, 가정과 삶 전체의 도덕적 성격, 그리고 온 세상의 모든 부분에까지 미쳐야만\"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독교 세계관을 외현화하는 이 작업은 철저히 이론적이며 실천적인 것이다. 마치 이상적인 신학이 동시에 아주 이론적이며 아주 실천적인 학문이듯이 말이다. 이론적 관심과 실천적 관심이 동시에 작용하지 않으면 참된 그 무엇을 결코 내어놓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독교 세계관을 명확히 표현해 내는 일에 있어서도 철저히 이론적이려고 해야만 하며, 동시에 실천적인 관심을 반영해야만 한다.
기독교 세계관의 이런 실천적 성격에서 나오는 또 하나의 이유로 이 문제투성이의 어려운 시대에 현대 정신의 혼란 상황 가운데서 그리스도인들은 자신들을 위해 그리고 이 혼란에 빠진 동료 인간들을 위해 참으로 정합적이고 바른 세계관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과 사명을 그 어느 때 보다 더 심각하게 느껴야 한다는 점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오늘날 유행처럼 번져 가는 포스트 모던적 상황 가운데에서는 이런 상황과 시대적 요청이 기독교 세계관을 명확히 현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Ⅴ.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치유와 용서
치유와 용서는 인과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치유는 용서의 결과이다. 그러나 아무에게나 치유가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여겨야 할 것은 믿음이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무조건적으로 용서하시기 때문이다.
예수시대의 치유란 지금과는 의미가 달랐다. 그 당시의 병은 자신의 죄에서 연유한다고 여겨졌고, 마귀나 악령이 몸에 달라붙어서 병이 발생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병을 고친다는 것은 마귀를 내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