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마케팅으로본동아시아의한류열풍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화마케팅으로본동아시아의한류열풍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01년 문화산업 시장규모가 320억 달러(한화 41조 원)이었으나, 2007년에는 1,000억 달러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한다. 2003년 국민문화 소비는 전년에 비해 10% 성장하여 725억 달러에 이르렀다. 또 다른 예측에서는 중국의 문화산업 지출규모가 2000년에 미국의 2.4%에 불과하지만, 북경올림픽과 상해엑스포를 거치며 급속히 성장하여, 2025년에는 일본을 능가하고 2050년에는 미국과 유사한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중국의 문화산업의 현재는 상대적으로 미약하나 성장전망은 매우 큰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중국의 주변국 문화산업 현황을 표로 만들어 보면 <표 1>과 같다.
<표 1> 주변국 문화산업 현황
한국
일본
중국
대만
국내총생산(2002)*
4,767억$
39,934억$
12,371억$
2,815억$
1인당GDP(2002)*
10,006$
31,343$
963$
12,452$
문화산업 규모(2001)**
111억$
976억$
164억$
67억$
문화 산업 세계시장 점유율**
1.2%
10.4%
1,7%
0.7%
문화산업평균성장률전망(’02~’06)**
6.5%
2.3%
13.1%
5.2%
(2) 실질적 구매력 증대와 소비패턴의 변화
중국은 성장의 속도와 규모, 그리고 지속성에 있어 모두 신뢰할만한 수치를 보인다. 1976년 개혁개방 이후 24년 동안 연평균 9.2%의 성장을 지속해 왔으며, 명목 GDP는 세계 6위지만 실질 구매력은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 성장은 대단히 건실한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이며, IT 등 하이테크 분야로 핵심 산업의 중심을 이동하고 있다. 이러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한 중국의 실질적 구매력 증가는 그대로 그들의 문화소비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중국의 시골과 도시의 개인소득과 엥겔계수를 살펴보면, 소득의 증가에 비해 엥겔 지수는 감소하고 있어, 생활패턴의 선진화와 함께 문화소비의 증가를 예측케 한다(<표 2> 참조).
<표 2> 중국 농촌 및 도시 가정의 소득과 엥겔계수 변화
연도
농촌가정평균순수입
도시가정평균가용수입
농촌가정
도시가정
절대수치
(위안)
지수
(1978=100)
절대수치
(위안)
지수
(1978=100)
엥겔계수
(%)
엥겔계수
(%)
1993
921.6
346.9
2577.4
255.1
58.1
50.1
1995
1577.7
383.7
4283.0
290.3
58.6
49.9
1997
2090.1
436.4
5160.3
311.9
55.1
46.4
1999
2210.3
473.5
5854.0
360.6
52.6
41.9
2001
2366.4
503.8
6859.6
416.3
47.7
37.9
(3) 중국내 인프라 부재
이처럼 급성장 가도에 있는 중국의 문화시장이 그 실질에 있어 아직 그 시장을 충분히 채울 콘텐츠를 갖추지 못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 영화시장을 보면 할리우드 영화가 50% 이상의 점유율을 보인다. 만화영화의 경우에는 외부의존율이 더 높아, 일본과 미국의 것이 80%, 유럽홍콩대만산이 10%를 차지하고 중국은 10%에 지나지 않는다. 드라마의 경우에도 국내 제작 드라마보다 홍콩 것을 더 많이 본다. 국내 프로그램보다는 적지만, 대만, 한국, 싱가포르, 구미 그리고 일본의 드라마도 상당히 많이 보고 있다. 게임에 있어서도 일반 비디오 게임은 거의 일본이, 온라인 게임은 한국이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중국 사회가 개혁개방으로 가면서 사람들의 생활이 변화하는 만큼 새로운 오락의 요구에 부응하는 많은 새로운 선진적 내용과 형식의 문화 소비물을 필요로 하는 데 비해, 중국 내의 문화산업 생산기제가 이를 따르지 못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과거에는 대중음악이나 영화, TV 등에서 서구문화와 미리 접목하여 형성된 홍콩의 문화산업이 큰 자리를 차지하였으나, 1997년 홍콩의 중국 반환으로 스타들이 구미로 빠져나가고, 빈 자리가 큰 것도 하나의 이유이다. 중국 정부는 문화산업의 가치를 인식하고 각 분야에서 적극적인 개혁과 지원으로 문화산업 육성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거기에는 일정한 시간이 요구되며, 그 틈새시장을 1990년대 초반에는 일본이 담당하였으나, 1990년대 후반부터 우리가 진출하게 된 것이다. 일본의 영화산업 쇠퇴와 홍콩의 문화적 생동감 상실, 그리고 중국의 복제품 횡행에 따른 자생적 문화산업 부실화가 한류의 배경에 깔려있다.
4. 주요 한류상품에 대한 분석
2004년 초 중국의 중요 주간신문인 新週刊과 중국 최대 인터넷 포털인 sina.com이 인터넷상에서 진행한 “중국인의 외국인지도” 조사에서, 한국은 미국과 EU 다음으로 세 번째를 차지했다. 또한 조사에 참여한 사람들 중 한국의 TV 드라마를 본 적이 없는 사람은 3.69% 밖에 되지 않았다. 중국에서는 200개 이상의 TV 채널과 높은 TV 보급률로 인한 접촉 용이성과 재방송이 가능한 반복성으로 인해, 한국문화를 접촉하는데도 TV 매체가 그 대표적인 경로가 되어 왔다. 또한 TV 시청에는 다른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지 않는다는 점도 일반 대중에게 가장 접근이 용이한 매체로의 지위를 유지하게 하는 이유이다. 접촉시간과 빈도, 접촉대상의 연령별 성별 범위가 가장 넓다는 점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매체이다. 먼저 공연과 영화, TV, 라디오, 신문, 녹음(VCD, DVD 포함) 등 전통매체를 통해 형성된 음악, TV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의 영역이 한류의 중요내용이 될 것이다.
(1) 음 악
1) 음악 한류 현황
1998년 5월 H.O.T 음반이 발간되었고, 1999년 1월 클론 공연 이후 “한류”라는 말이 나왔고, 2000년 2월 H.O.T 北京 공연 성공 이후 이 말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H.O.T는 현란한 의상과 다이내믹한 댄스, 빠르고 힘찬 음악, 수려한 외모 등으로 중국 10대(지금 20대)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당시 중국은 劉德華, 娜英, 孫楠, 王菲 등 약 10년 전부터 활약해 온 발라드 가수 일색이어서, 10대들의 우상이 필요한 상황이었고, 한국 가수들이 시의적절하게 나타난 셈이다. 2002년까지 카세트와 CD 발행만 32종 114만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11.04.22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