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체육교육의실태및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특수체육교육의실태및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특수체육교육의 운영실태
1) 주당 체육교육 실시 횟수
2) 주당 체육교육 실시 시간
3) 체육교육의 형태
4) 체육교육 담당교사
5) 체육교육과 관련된 영역
6) 전체교육활동에서 체육교육이 차지하는 비율



2. 개선방안
1) 체육교육의 활성화 방안
2)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3) 체육교육의 운영 형태
4) 체육교육이 전체교육활동에서 차지하는 비율
5) 효과적인 체육교육 프로그램 작성 방법

본문내용

빈도(명)
백분율(%)
다른 영역으로부터 독립된 체육교육
61
27.0
다른 영역과 통합된 체육교육
146
64.6
기타
19
8.4

226
100
질문에 응답한 장애유아 교사들의 64.6%가 다른 영역과 통합된 체육교육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다른 영역으로부터 독립된 체육교육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는 27%였고, 통합적인 체육교육과 독립된 체육교육을 병행하고 있다고 답한 교사도 기타에 9.3%나 있었다. 이는 많은 수의 장애유아 교사들이 독립적인 체육교육을 실시하기 보다는 영역의 구분 없이 통합적인 수업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 체육교육 담당교사
다른 영역으로부터 독립된 체육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답한 교사들 중에서 장애유아 체육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조사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장애유아의 체육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 대해 조사한 결과 38.7%로서 담임교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체육전담 교사가 36.3%를 나타내었다. 외부강사는 13.7%로 조사되었다. 기타에는 11.3%가 응답을 하였는데 특정교사가 지도하는 것보다는 담임과 체육전담교사 또는 담임과 외부강사가 함께 지도하고 있다고 하였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담임 교사
31
38.7
체육전담 교사
29
36.3
외부 강사
11
13.7
기타
9
11.3

80
100
5) 체육교육과 관련된 영역
다른 영역과 통합된 체육교육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들 중에서 장애유아의 체육교육과 관련되고 있는 영역에 대해 알아 보았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언어생활
7
4.2
사회생활
64
38.8
표현생활
91
55.2
탐구생활
3
1.8

165
100
체육영역과 관련된 영역으로는 55.2%로서 표현생활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사회생활로 38.8%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장애유아의 체육교육은 표현생활과 사회생활영역과의 통합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신체의 움직임이 많은 영역과 통합되고 있다는 것을 나태내는 것이다. 이밖에도 언어생활과 탐구생활에서도 체육교육이 통합되어 이루어지기는 하나 각각 4.2%와 1.8%로 극수수만이 통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전체교육활동에서 체육교육이 차지하는 비율
전체 교육활동에서 다른 영역과 통합된 체육교육이 차지하는 비율에 대해 알아 보았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10% 이하
14
8.5
10 ~ 20%
52
31.5
20 ~ 30%
57
34.6
30% 이상
42
25.4

165
100
장애유아들의 체육교육이 전체교육활동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에 대해 응답한 것을 살펴보면 10% 이하가 8.5%, 10%에서 20%가 31.5%, 20%에서 30%가 34.5%, 30% 이상이 25.4%를 나타내고 있다.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유치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체육교육은 통합 또는 독립적인 형태의 체육교육이 전체교육활동에서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20%에서 30%가 가장 많다고 응답하여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 중에서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개선방안
1) 체육교육의 활성화 방안
체육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구분
빈도(명)
백분율(%)
특수체육 전담교사 배치
92
40.7
장애유아 담당교사의 연수
71
31.4
체육시설 설비 용구 지원
42
18.6
각 영역별 프로그램의 연계
20
8.9
기타
1
0.4

226
100
장애유아 체육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특수체육 전담교사의 배치가 40.7%로 가장 많이 답했다. 그 다음으로는 장애유아 담당교사의 연수로 31.4%를 나타내었다. 비록 장애를 가졌다고 하지만 좀 더 전문적인 지식과 능력을 갖춘 교사가 체육교육을 실시한다면 보다 더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체육시설 설비 용구의 지원이 있어야 한다가 18.6%이고, 각 영역별 프로그램이 연계되어야 한다가 8.9%이며, 기타로는 보조교사가 있어야 한다가 0.4% 있었다.
2)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
장애유아 체육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교사의 전문성이 신장되기 위해서는 응담한 교사의 91.2%가 연수라고 답했다. 관련서적은 2.2%, 동호회는 5.3%, 컴퓨터 활용은 0.9%를 나타내었고 기타의 의견으로 동료장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응답한 교사의 대부분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 연수가 필요하다고 답했는데 이는 장애유아 체육교육관련 전문가로부터 에

키워드

특수체육,   아동,   장애,   체육,   스포츠,   교육,   활동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2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1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