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결혼예비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Ⅲ.결혼예비집단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Ⅳ.결론
Ⅱ.결혼예비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Ⅲ.결혼예비집단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
Ⅳ.결론
본문내용
ARE II를 한국의 가치관과 생활양식에 맞게 수정한 도구(12가지 영역의 130문항)를 갖고, 전문가가 도움을 주는 것인데, PREPARE II(Premarital Personal & Relationship Evaluation)는 Olson과 그의 동료들이 1986년에 개발한 것으로 결혼예비부부들의 관계의 장점과 문제영역을 측정하여 커플간 대화를 촉진하고 관계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과학적으로 개발된 진단도구이다.
2) 대집단 프로그램
학교 또는 기관에서의 일반화된 강의중심의 교육프로그램으로 대학강좌의 경우 대부분의 미국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와 미국발달상담학회(AACD;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의 결혼과 가족상담(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영역은 급속히 각 대학에서 강좌를 개설하게 된다. Gradding과 그의 동료들에 연구에 의하면, 274개 대학 상담학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상담학과와 같이 다른 학과에서도 다음의 강좌가 거의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S.T,Gladding & et al.,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in Counselor Education ; 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and Development, 1987, vol.66, pp.90-92.
강 좌 (Course)
결혼과 가족관계(Marriage and Family Relations), 가족건강과 병리학(Family Health and Pathology), 인간의 성(Human Sexuality), 결혼상담(Marriage Counseling),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결혼과 가족상담의 연구(Research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성 치료(Sex Therapy), 가족관계증진(Family Enrichment), 구조적/전략적 가족치료(Structural/Strategic Family Therapy), 초(超)세대적 가족치료(Transgenerational Family Therapy),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결혼과 가족상담에 있어서의 전문적/윤리적 주제들(Professional/Ethical Issues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특정집단을 위한 가족치료(Family Therapy/Special Population), 결혼과 가족상담의 실습(Practicum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결혼과 가족상담의 수련(Internship in Marriage/ Family Counseling), 이혼상담(Divorce Counseling).
한국 대학의 경우 실시되고 있으나 소수이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의 ‘성, 결혼, 가정’ 강좌는 3, 4학년 대상 2학점의 선택과목으로 강좌의 목적은 원만한 가정의 지혜를 배우는 것이다. 내용으로 로맨스, 대화, 경청하기, 자애, 마음의 상처, 신뢰, 느낌, 사랑은 결심이다, 무언의 대화, 성생활, 용서 등을 다룬다. 교수학습방법은 각 주제에 대해 교수가 개설적으로 강의하고, 초청부부의 경험담발표, 그룹토의, 전체 의견모음 등의 방법도 보충한다. H대학교의 경우 필수 2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인성교과목의 하나로 ‘가족 및 부부의 심리와 성장’이 개설되어 있다. 주요내용으로 자신의 발견, 성숙한 사랑,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혼과 성사, 갈등과 성장, 부부의 성 등을 다루며, 강의와 자기진단, 심리검사도 병행한다.
3) 집단 프로그램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은 교수(instructive)가 주가 되는 프로그램, 촉진자의 의해 이끌어지는 커플 집단의 상호작용(the supervised group interaction of several couples)으로서 커플그룹단위의 기술훈련(skill training couples\' groups) 또는 집단 안에서의 커플단위의 토의(couples\' discussions in small groups)가 주가 되는 프로그램이 있으나 대부분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계강화(Relationship Enhancement), 미네소타 의사소통(Minnesota Communication) 그리고 관계증진(Enrichment) 프로그램 등이 있다.(여기서 관계증진프로그램은 Association of Couples for Marriage Enrichment에서 개발된 것으로, Enrichment에 대해 관계강화, 개선, 풍요로운 관계로 번역하기도 하나 발달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증진으로 번역한다.)
SE대에서 집단 프로그램으로 진행 중인 ‘사랑과 결혼’은 다음의 주제를 갖고 진행된다. 1) 사랑이란 2) 질투 3) 싸움 4) 잘하는 사랑 5) 사랑하는 사람과 이야기하는 법 6) 육체접촉 7) 결혼이란 8) 배우자 선택 9) 직장이냐 내조냐 등이다.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정민자와 손선옥의 ‘결혼 전 관계 강화 프로그램’ 정민자, 손선옥, “결혼 전 관계강화 프로그램 모형개발”,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994, 제4권 2호, pp.91-115
은 15시간에 걸친 1박 2일 동안 속함과 자율, 바람직한 가치관 확립,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성 역할, 성 지식을 강의, 토론, 발표, 시청각교육, 역할극으로 다루는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다.
그 외 대학상담소,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가족상담소, 그리고 종교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김혜석, “결혼 준비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0, pp. 131-136 참조.
.
< 표 2 > 국내의 결혼 및 성교육 현황표
기관, 프로그램명
목 적
주요내용
대 상
방 법
K대 사회
교육원의 신부대학
결혼적령기미혼
여성들의 교양함양
결혼관, 정신위생, 인간관계 등
결혼적령기
미혼여성
강의, 토의, 웍
2) 대집단 프로그램
학교 또는 기관에서의 일반화된 강의중심의 교육프로그램으로 대학강좌의 경우 대부분의 미국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다. 1980년대에 들어와 미국발달상담학회(AACD;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의 결혼과 가족상담(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영역은 급속히 각 대학에서 강좌를 개설하게 된다. Gradding과 그의 동료들에 연구에 의하면, 274개 대학 상담학과 학과장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상담학과와 같이 다른 학과에서도 다음의 강좌가 거의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S.T,Gladding & et al.,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in Counselor Education ; National Trends and Implications”, Journal of Counselingand Development, 1987, vol.66, pp.90-92.
강 좌 (Course)
결혼과 가족관계(Marriage and Family Relations), 가족건강과 병리학(Family Health and Pathology), 인간의 성(Human Sexuality), 결혼상담(Marriage Counseling), 가족상담(Family Counseling), 결혼과 가족상담의 연구(Research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성 치료(Sex Therapy), 가족관계증진(Family Enrichment), 구조적/전략적 가족치료(Structural/Strategic Family Therapy), 초(超)세대적 가족치료(Transgenerational Family Therapy), 부모교육(Parent Education), 결혼과 가족상담에 있어서의 전문적/윤리적 주제들(Professional/Ethical Issues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특정집단을 위한 가족치료(Family Therapy/Special Population), 결혼과 가족상담의 실습(Practicum in Marriage/Family Counseling), 결혼과 가족상담의 수련(Internship in Marriage/ Family Counseling), 이혼상담(Divorce Counseling).
한국 대학의 경우 실시되고 있으나 소수이다. 서강대학교 종교학과의 ‘성, 결혼, 가정’ 강좌는 3, 4학년 대상 2학점의 선택과목으로 강좌의 목적은 원만한 가정의 지혜를 배우는 것이다. 내용으로 로맨스, 대화, 경청하기, 자애, 마음의 상처, 신뢰, 느낌, 사랑은 결심이다, 무언의 대화, 성생활, 용서 등을 다룬다. 교수학습방법은 각 주제에 대해 교수가 개설적으로 강의하고, 초청부부의 경험담발표, 그룹토의, 전체 의견모음 등의 방법도 보충한다. H대학교의 경우 필수 2학점을 이수해야 하는 인성교과목의 하나로 ‘가족 및 부부의 심리와 성장’이 개설되어 있다. 주요내용으로 자신의 발견, 성숙한 사랑, 배우자 선택과 결혼, 결혼과 성사, 갈등과 성장, 부부의 성 등을 다루며, 강의와 자기진단, 심리검사도 병행한다.
3) 집단 프로그램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들은 교수(instructive)가 주가 되는 프로그램, 촉진자의 의해 이끌어지는 커플 집단의 상호작용(the supervised group interaction of several couples)으로서 커플그룹단위의 기술훈련(skill training couples\' groups) 또는 집단 안에서의 커플단위의 토의(couples\' discussions in small groups)가 주가 되는 프로그램이 있으나 대부분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관계강화(Relationship Enhancement), 미네소타 의사소통(Minnesota Communication) 그리고 관계증진(Enrichment) 프로그램 등이 있다.(여기서 관계증진프로그램은 Association of Couples for Marriage Enrichment에서 개발된 것으로, Enrichment에 대해 관계강화, 개선, 풍요로운 관계로 번역하기도 하나 발달적인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관계증진으로 번역한다.)
SE대에서 집단 프로그램으로 진행 중인 ‘사랑과 결혼’은 다음의 주제를 갖고 진행된다. 1) 사랑이란 2) 질투 3) 싸움 4) 잘하는 사랑 5) 사랑하는 사람과 이야기하는 법 6) 육체접촉 7) 결혼이란 8) 배우자 선택 9) 직장이냐 내조냐 등이다.
아직 보편화되지는 않았지만 정민자와 손선옥의 ‘결혼 전 관계 강화 프로그램’ 정민자, 손선옥, “결혼 전 관계강화 프로그램 모형개발”, 울산대학교 자연과학논문집, 1994, 제4권 2호, pp.91-115
은 15시간에 걸친 1박 2일 동안 속함과 자율, 바람직한 가치관 확립, 의사소통 기술 익히기, 성 역할, 성 지식을 강의, 토론, 발표, 시청각교육, 역할극으로 다루는 국내에서 개발된 프로그램 중의 하나이다.
그 외 대학상담소, 대학 부설 사회교육원, 가족상담소, 그리고 종교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김혜석, “결혼 준비 성인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1990, pp. 131-136 참조.
.
< 표 2 > 국내의 결혼 및 성교육 현황표
기관, 프로그램명
목 적
주요내용
대 상
방 법
K대 사회
교육원의 신부대학
결혼적령기미혼
여성들의 교양함양
결혼관, 정신위생, 인간관계 등
결혼적령기
미혼여성
강의, 토의, 웍
키워드
추천자료
결혼준비교육의 실제와 방법
이혼의 원인과 대책
사회복지 실습보고서
결혼 준비 프로그램
현대사회에서 가족상담및 치료의 필요성을 담고있는 신문기사를 5개정도 스크랩하고
다문화가족자녀 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정책적 지원방안
[가족상담및치료,가족관계]최근_우리사회에서_알려지고_있는_다양한_가족문제에_대하여_대중...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청소년 보도자료와 청소년 문화에 대한 나의 생각
[A+] 경력개발제도(CDP)와 실천기법 - 자기신고제도, 직능자격제도, 평가센터제도, 평가센터...
가족상담및치료4공통) 한국의 가족家族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
[가족상담및치료]한국의 가족상담 및 치료의 발달사를 정리한 뒤, 한국 가족의 특성에 근거해...
성북구 건강 가정 지원 센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