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RS,GPS,ITS용어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IS,RS,GPS,ITS용어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GIS 정의

● GIS 중요성, 필요성

● 특성 및 기능

● GIS의 구성요소

● GIS의 데이터 표현방식

● GIS 구축밎 공간 분석법(단계별)

● GIS의 필요성

■ RS(Remote Sensing)

● 원 격 탐 사

● 원격탐사는 센서에서 사용하는 송신원에 따라 분류

● 원격탐사 자료의 특징은 해상도에 따라 분류

● 플랫폼 및 위성의 종류

● 원격탐사 위성의 이용현황

● 원격탐사의 유용성

● 원격탐사와 GIS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 GPS의 특징

● GPS의 위치결정 원리

● GPS의 배치

● GPS 관측정확도

● GPS의 활용 및 응용분야

■ ITS(inetlligent treansport systems)

● ITS 서비스의 분류

● ITS의 필요성 및 목표

본문내용

속성자료를 결합 함으로써 공간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계획이나 정책 수립을 위한 시나리오의 분석, 의사결정 모형의 운영, 변화의 탐지 및 분석기능 등을 제공.
즉, 다양한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가지고 있는 수많은 데이터 파일에서 필요한 도형이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각종 복잡하고 종합적인 정보를 분석처리할 수 있는 것이 바로 GIS의 핵심 기능이다.
○ 조직내의 연계운영
성공적인 GIS의 운용을 위해서는 일정한 조직 내에서 나름대로 구성을 가지고 운영되어야 한다.
GIS는 본질상 독립적인 운용보다는 특정 조직 내에서 일정한 구조를 가지고 부서간이나 기관간의 연계를 전제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운용됨이 바람직하다.
○ 학제간의 연계
GIS의 원할한 사용을 위해서는 여러 다른 학문에 대한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는 학제간의 연계가 이루어져하 함.
1. 테이터 베이스 구축 단계 : 지리학, 원격탐사, 측지학, 측량 및 사진 측량학, 범지구 위치체계(GPS)
2. 관리 단계 : 전산학 관련 학문.
3. 정보분석 단계 : 통계학, 수학, 토목공학, 지리학.
4. 정보제공 단계 : 컴퓨터 지도학, 멀티미디어 분야
● GIS의 구성요소
1. 공간 및 속성 데이터 베이스 : 지도 및 관련 정보를 디지털 형태를 모아놓은 것으로 지표면 특징의 지리 적 분포를 기록한 공간적 데이터 베이스와 이들 특징의 성격이나 성질을 기록하고 있는 속성 데이터 베이스
2. 지도 출력 시스템 : 데이터 베이스내의 특정 원소를 선택하여 화면이나 프린터 플로터등 하드카피 장치상 에 지도 출력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3. 지도 디지 타아징 시스템 : 기존 지도상에 나타나 있는 정보를 수치 형태의 정보(디지털 형태)로 변환하는 시스템
4.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 : 전통적으로도 DBMS는 속성 자료를 입력, 관리,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를 이용하면 표형태의 정보 및 통계량 같은 속성 자료를 입력 시킬수 있고 표를 얻 기 위한 특수한 표나 통계표를 도출해 낼수 있는 시스템
5. 지리적 분석 시스템 : 전통적인 데이터 베이스 질의 기능을 보다 더 강화시킨 것으로써 실제 공간적 특성 (개발입지)에 기초한 자표 분석 기능을 가진 시스템
6. 이미지 처리 시스템 : 원격탐사를 통한 위성영상의 화상을 읽거나 전문적인 통계분석을 수행할수 있는 기 능의 시스템
GIS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이해하고 그 운영측면에서 보면 GIS는 특별한 목적을 위해 지표공간으로부터 공간정보를 수집저장하고 변환하여 표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컴퓨터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집합체로서 지리 정보시스템이 좋은 기능을 발휘할수 있기 위해서는 지리정보 테이터 베이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그리고 이를 잘 운영할수 있는 인적자원 이 네가지 구성요소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특히 공간 분석과 모델링과 같은 복잡한 분석을 수행할 때 경험적 판단력을 갖춘 인력요소는 GIS의 중요한 부분이 된다.
1. 하드웨어(Hardware)
입력장비 : 공간자료와 속성자료등의 입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기 위한 장비(디지타이져, 스캐 너, 키보드등)
처리장비 : 일반적으로 GIS는 컴퓨터상에서 운영되는 정보시스템을 의미하기 때문에 반드시 PC, Workstation 같은 컴퓨터는 있어야 하며 목적에 맞는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출력장비 : 처리장비에서 분석한 결과등을 가시화 하기 위해 출력하는 장비(프린터, 플로터, 레이져 칼라 프린터)
2. 소프트웨어(Software)
자신이 하고자 하는 업무에 적합한 소프트웨어를 선정하는 것이 GIS를 성공적으로 이끌수 있는 기본(ARC/INFO, ArcGIS)
3. 자료(Data)
소프트웨어에서 요구하는 형태의 잘 가공된 자료를 제공해주어야 함
4. 운영자(Operator)
데이터 가공을 통해서 목적에 맞는 데이터를 입수해서 데이터를 가지고 소프트웨어에 의한 분석과 응용시스템 개발은 운영자에 의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자는 소프트웨어를 두루 알고 있으며 컴퓨터의 전반적인 내용도 알고 각종 기자재도 잘 다룰줄 알아야 한다.
● GIS의 데이터 표현방식
○ 벡터(Vector) : 지표 특징의 경계나 궤적이 일련의 점이고 이들을 여러개의 직선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지 표의 특징을 도형적으로 함
○ 래스터(Raster) : 지표특징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지 않고 그 대신 연구지역을 아주작은 격자 셀(cell)메쉬 로 분할하여 지표조건이나 속성을 기입하는 방식
● GIS 구축

키워드

GIS,   RS,   GPS,   ITS용어정리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9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