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의 흐름_0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시의 흐름_0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1
1. 1910년대와 현대시의 정착 ……………………… 1
2. 1920년대의 시 ……………………………………… 2
3. 1930년대의 시 ……………………………………… 3
4. 1940년대 전반기 시 ……………………………… 4
5. 1950년대, 전쟁과 분단의 시 …………………… 4
6. 1960년대의 시 ……………………………………… 5
7. 1970년대의 시 ……………………………………… 6
8. 1980년대의 시 ……………………………………… 7
Ⅲ. 결론 ……………………………………………………………………… 8
Ⅳ. 참고문헌 ………………………………………………………………… 8

본문내용

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시인으로 김억과 주요한, 황석우 같은 시인들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모두 근대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로, 이전의 시를 대신할 새로운 시의 모습을 찾는 데 골몰했다. 김소월의 스승으로 유명한 김억은 우리 전통과 새로운 운율을 잘 조화시킨 훌륭한 시들을 썼다. 또 <불놀이>의 작가 주요한은 고전시가의 형식을 파괴하고 현대적인 시를 정착시키는 데 애를 썼으며, 황석우는 서구의 상징주의를 받아들여 이미지를 중시한 시를 썼다.
2. 1920년대의 시
1920년대는 우리 시사(詩史)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현대시의 기본 방향이 이때 정해졌기 때문이다. 그이후의 시들은 사실상 이 시기의 시들을 계승하고 발전시킨 것들이라 할 수 있다.
1920년대의 현대시의 밑그림을 그릴 수 있었던 이유는, 먼저 이 시기에 많은 훌륭한 시인들이 등장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김소월, 한용운, 이상화, 김동환 같은 시인들이 모두 1920년대에 주로 활동했다. 이들은 대부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태어나, 어릴 때부터 고전시가와는 다른 새로운 시들을 접하며 자라났다. 또 일부는 외국 유학 등을 통해 새로운 문화에 깊이 젖어들기도 했다. 그러한 바탕 위해서 현대시의 수준을 한 차원 높일 수 있었으며, 이후의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 하나의 이유는, 이 시기에 많은 동인지와 잡지가 출판됐다는 점이다. 1919년에 창간된 ≪창조≫를 기점으로 ≪폐허≫(1920) ≪장미촌≫(1921) ≪백조≫(1922) 같은 동인지와 ≪계벽≫(1920) ≪조선문단≫(1924) 같은 잡지들이 속속 창간됐다. 이러한 잡지나 동인지가 오래 가지는 못했지만, 그래도 이러한 무대가 있었기에 시인들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었다.
1920년대 특징적인 흐름을 둘씩 짝지어 살펴보면, 먼저 개인의 낭만주의적 고민을 드러낸 1920년대 초기 시와 사회주의의 관점에서 이데올로기를 강조한 중후기 시를 짝지어 볼 수 있다. ≪폐허≫와≪백조≫를 중심으로 한 오상순, 홍사용, 이상화, 박영희, 변영로 같은 시인들이 전자에 속하고 ‘신경향파’와 카프(KAPF)의 일원으로 알려진 김기진, 임화 같은 시인들이 후자에 속한다. 전자는<월광으로 짠 병실>(박영희) <나의 침실로>(이상화) 등의 작품에 잘 나타난 것처럼 슬픔과 허무의 감정을 눈물로 섞어 노래하였다. 그에 비해 후자는 <한 개의 불빛>(김기진)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이상화)등의 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제에 수탈당하는 노동자와 농민의 아픔을 주로 노래하였다.
한편 시의 문학성을 중시하여 언어와 이미지 등을 강조한 시와 시의 사상성을 중시하여 주제를 강조한 시도 짝지어볼 수 있다. 전자에는 주로 초기 모더니즘 시인들이 속하며, 대표적인 시인으로 이장희와 정지용을 꼽을 수 있다. <봄은 고양이로다>(이장희)에서 볼 수 있는 꿈꾸는 듯한 이미지나 <카페 프란스>(정지용)에서 볼 수 있는 새로운 언어 실험은, ‘새로운 시’를 추구하던 당시의 흐름을 엿보게 한다. 후자의 예로는 한용운을 들 수 있는데, 주로 불교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추월적인 주제를 노래했다. 승려이자 사상가인 한용운이 <알 수 없어요><님의 침묵>등에서 보여준 심오한 주제는 우리 시의 최고봉이라 할 만하다.
다른 한편에서는 우리 시의 전통을 강조하는 시인들이 등장했는데,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김소월과 이은상, 이병기, 정인보 같은 시인들을 들 수 있다. 그즐 중 김소월은 전통 정서와 운율을 현대적으로 재구성하는 데 노력을 기울였다. <진달래꽃>이나 <접동새> 같은 작품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이들 작품에는 수천 년 동안 쌓아온 우리 시의

키워드

현대시,   ,   신경림,   조태일,   김지하,   박인환,   김경린,   신시론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29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31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