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슈미트_트리거(예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40.슈미트_트리거(예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실험 목적

실험 이론

슈미트 트리거

OP 앰프 슈미터 트리거

이장발진기

실험 과정

본문내용

S1을 닫고, 회로에 전원을 연결한다. 정현파발생기의 주파수를 1000㎐로, 출력을 10Vp-p로 맞춘다.
2. 오실로스코프를 Vin에 의해 외부 트리거/동기시킨다.
3. 오실로스코프로 발생기출력단의 정현파를 관찰하여 표 40-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파형의 위치를 잡아서 두 개의 파형관찰이 가능하도록 오실로스코프를 조정한다.
4. 출력파형(Q2의 컬렉터)을 관찰한다. 입력과의 위상을 적절히 하여서, 피크-피크 진폭과 양의 펄스폭을 측정하여 표 40-1에 기록한다.
5. 정현파발생기의 주파수를 4Vp-p로 감소시켜서 과정 4번을 반복한다.
6. 정현파발생기의 주파수를 2500㎐로 증가시켜서 과정 4번을 반복한다.
7. 그림 40-5의 회로에 10㏀의 저항(R)을 연결한다.
8. 오실로스코프로 출력을 관찰한다. 출력이 양으로 갈 때까지 입력전압을 조정한다.
9. 출력이 음으로 갈 때까지 입력전압을 천천히 조정한다. 입력전압을 측정한다. 이 값을 표 40-2의 UTP 아래에 기록한다.
10. 출력이 양으로 바뀌도록 다시 입력을 천천히 조정한다. 입력전압을 측정하여 LTP 아래에 기록한다.
11. 10㏀의 저항(R)을 사용하여 그림 40-6의 회로를 연결한다. 신호발생기를 1㎑로 맞춘다. 슈미트 트리거의 출력단에 구형파가 나타날 때까지 신호크기를 증가시킨다.
12. 구형파발생이 멈출 때까지 신호크기를 천천히 감소시킨다.
13. 이 입력정현파의 첨두-첨두값을 측정한다. 이 값을 표 40-2의 Vin 아래에 기록한다.
14. 1㏀의 저항(R)을 사용하여 과정 11에서 13까지를 반복한다.
OP 앰프 이장발진기
15. 표 40-3에 기록된 각 커패시터 값에 대해 그림 40-7의 회로에서 발생하는 출력신호의 주파수를 계산한다. 이 값을 표 40-3의 fcalc 아래에 기록한다.
16. 0.022㎌의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그림 40-7의 회로를 연결한다.
17. 오실로스코프로 출력을 관찰한다. 신호는 구형파에 가까워야 한다. 피크-피크값을 측정한다. 이 값을 표 40-3의 Vout 아래에 기록한다.
18. 출력주파수를 측정한다. 이 주파수를 표 40-3의 fmeas 아래에 기록한다.
19. 핀 2에 나타나는 신호를 오실로스코프로 관찰한다. 이 신호는 지수함수적인 파형이어야 한다. 첨두-첨두값을 측정한다. 이 값을 Vin 아래에 기록한다.
20. 표 40-3에 보이는 다른 커패시터값에 대해서 과정 17에서 19까지를 반복한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1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