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현대적수업방법
1. 과정적 접근
1) 특성
2) 장단점
2. 발견적 접근
1) 특성
2) 장단점
3) 발견적 접근의 수업방법
3. 탐구 및 문제해결적 접근
1) 특성
2) 유형
3) 장단점
4. 실험실 수업기법
1) 특성
2) 장단점
5. 시뮬레이션 게임
1) 특성
2) 적용
6.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의의
2) 협동학습의 특징
3) 접근방법
4) 협동기술
7. 열린교육
1) 열린교육의 정의
2) 열린교육의 수업 원리
3) 열린교육의 수업 형태
Ⅱ. 전통적수업방법
1. 강의법(lecture method)
1) 강의법의 특징
2) 강의법의 장단점
3) 강의식의 수업모형
4) 강의식 수업의 단계
5) 발문의 목적과 기법
6) 판서의 기능과 요령
2. 토의법
1) 특징
2) 토의의 유형
3) 토의법의 단계
4) 장단점
3. 시범
1) 시범의 특성
2) 시범의 장·단점
3) 시범의 방법
4. 구안법(project method)
1) 구안법의 특성
2) 구안법의 장단점
3) 구안법의 실행 단계
Ⅲ. 인터넷활용수업방법
1. 정보검색
2. 전자우편
3. 온라인 강의
4. 개별학습
1) Interactive Frog Dissection
2) 유니텔
3) Edunet
4) Kidnet
5. 협동학습
1) I*EARN(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ource Network)
2) Kids as Scientist
3) Kids Net
4) School Link
6. 수업 단계별 인터넷
1) 수업계획
2) 보충 및 심화 학습자료 제시
3) 학습자료 제시
4) 평가정보제시
5) 학생작품 게시: 텍스트, 멀티미디어
Ⅳ. 창의성신장수업방법
1. 교육과정 및 교과별 지도를 위한 자료 개발
2. 체험위주 프로그램 운영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재량활동의 융통성 있는 운영
4. 1교사 1교과 1수업연구·발표 실시
Ⅴ. 개별화수업방법
1. 준비 학습
1) 소리 구별하기 게임 1
2) 소리 구별하기 게임 2
2. 본시 학습
3. 후속 학습
1) 단원의 주제와 관련이 되는 큰 의미의 과제가 지속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2) 본 차시의 형성 평가나 수행평가의 과제가 제시될 수 있다
3)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아동의 취향이나 수준에 맞는 과제를 선택할 수 있게 준비한다
4)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속활동은 교사가 학습 과정에서 확인하기보다는 먼저 끝난 아동끼리 혹은 같은 종류의 활동은 선택한 아동끼리 학습한 결과를 확인해주는 자율적인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참고문헌
1. 과정적 접근
1) 특성
2) 장단점
2. 발견적 접근
1) 특성
2) 장단점
3) 발견적 접근의 수업방법
3. 탐구 및 문제해결적 접근
1) 특성
2) 유형
3) 장단점
4. 실험실 수업기법
1) 특성
2) 장단점
5. 시뮬레이션 게임
1) 특성
2) 적용
6. 협동학습
1) 협동학습의 의의
2) 협동학습의 특징
3) 접근방법
4) 협동기술
7. 열린교육
1) 열린교육의 정의
2) 열린교육의 수업 원리
3) 열린교육의 수업 형태
Ⅱ. 전통적수업방법
1. 강의법(lecture method)
1) 강의법의 특징
2) 강의법의 장단점
3) 강의식의 수업모형
4) 강의식 수업의 단계
5) 발문의 목적과 기법
6) 판서의 기능과 요령
2. 토의법
1) 특징
2) 토의의 유형
3) 토의법의 단계
4) 장단점
3. 시범
1) 시범의 특성
2) 시범의 장·단점
3) 시범의 방법
4. 구안법(project method)
1) 구안법의 특성
2) 구안법의 장단점
3) 구안법의 실행 단계
Ⅲ. 인터넷활용수업방법
1. 정보검색
2. 전자우편
3. 온라인 강의
4. 개별학습
1) Interactive Frog Dissection
2) 유니텔
3) Edunet
4) Kidnet
5. 협동학습
1) I*EARN(International Education And Resource Network)
2) Kids as Scientist
3) Kids Net
4) School Link
6. 수업 단계별 인터넷
1) 수업계획
2) 보충 및 심화 학습자료 제시
3) 학습자료 제시
4) 평가정보제시
5) 학생작품 게시: 텍스트, 멀티미디어
Ⅳ. 창의성신장수업방법
1. 교육과정 및 교과별 지도를 위한 자료 개발
2. 체험위주 프로그램 운영
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재량활동의 융통성 있는 운영
4. 1교사 1교과 1수업연구·발표 실시
Ⅴ. 개별화수업방법
1. 준비 학습
1) 소리 구별하기 게임 1
2) 소리 구별하기 게임 2
2. 본시 학습
3. 후속 학습
1) 단원의 주제와 관련이 되는 큰 의미의 과제가 지속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2) 본 차시의 형성 평가나 수행평가의 과제가 제시될 수 있다
3)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아동의 취향이나 수준에 맞는 과제를 선택할 수 있게 준비한다
4)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속활동은 교사가 학습 과정에서 확인하기보다는 먼저 끝난 아동끼리 혹은 같은 종류의 활동은 선택한 아동끼리 학습한 결과를 확인해주는 자율적인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참고문헌
본문내용
습이 진행되며 교사는 학습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활동을 제공한다.
(1) 학습 활동 중 의사 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학년 이상의 아동에게는 처음부터 끝까지 개별 활동만을 하게 하는 것보다는 개별활동 → 모둠 활동 → 개별활동의 형태를 취하거나, 모둠활동 → 개별활동 → 모둠활동으로의 진행도 선택적으로 필요하며 이 때 아동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기본학습 훈련이 미리 이루어져야 한다.
(2) 개별 활동에서는 아동의 능력과 관심의 정도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특히 국어과의 경우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속하는 영역이므로 수준에 따라 학습 단계를 달리하기는 어렵고 보충과 심화 형태의 후속 활동을 통하여 선택의 폭이 넓힐 수 있는 내용을 준비한다.
(3)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활동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컴퓨터에 의존한 학습보다는 자료를 검색하거나 정리하는 과정이나 보고용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작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4) 아동이 활동을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다른 조의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작은 소리로 속삭이는 태도를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하고 관찰한다.
(5) 교사는 아동의 개별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시에 특별한 이유 없이 작업에 관여하여 지시, 규제, 지나친 설명 등으로 아동들의 상상력을 차단하거나 활동의 맥이 끊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아동을 관찰하는 일이 중요하다.
(가) 개별 활동시 - 아동의 학습 및 행동 성향 관찰
(나) 모둠 활동시 - 모둠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역할 분담에 따른 활동 과정 관찰
(다) 전체 활동시 -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과의 상호작용 관찰
(6) 교사는 한가지의 자료를 가지고 아동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자료를 개발 적용한다.(해보기 2)
(가) 상상하여 이야기 만들기(기억놀이 게임)
① 교사가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아동들이 가져온 털실을 묶어서 10줄쯤 연결한다.
② 동그랗게 말린 털실 덩어리를 교사는 마디가 나올 때까지 돌리면서 이야기를 전개해 한다. 모둠 대항의 경우는 모둠별로 1명씩 나오게 하여 일렬로 세운 후에 이야기를 진행한다.
③ 이 때 다소 소란해지는 경우엔 먼저 풀었던 실을 가리키며 그 부분의 내용을 말해보게 하고 모둠 대항인 경우는 알아 맞추면 부가점을 못 알아 맞추는 경우에는 감점을 주어 활동에 열중할 수 있게 한다.
④ 규칙은 아동들과 상의하여 직접 정해야 잘 지킬 수 있다.
⑤ 주인공을 죽게 만들면 게임이 종료된다.
(나) 어려운 낱말 퍼즐 만들기(주의집중 게임)
① 아동의 활동을 종료시킬 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게 되는 데 먼저 활동이 끝난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모눈칠판을 준비한 다음 오늘 수업과 관련이 있는 첫 단어를 적어준다.
② 아동들은 가로와 세로에 들어갈 낱말을 만들고 낱말 뜻을 설명하게 한다.
③ 교사의 의도에 따라 한자어가 나올 때는 2점, 흉내내는 말이 나올 때는 1점을 주어 아동들이 게임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④ 번호는 교사가 미리 정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적어가는 것도 방법이 된다.
(7)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점검하는 과정이므로 단위시간에 꼭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하며, 교사는 아동들이 학습한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단선 진화 장비 등을 활용하여 정리 할 필요가 있다.
3. 후속 학습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본시 활동 중의 한 과정으로 먼저 학습 과제를 해결한 개인이나 모둠 아동에게 주어지는 심화나 보충 활동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동들의 흥미나 관심 정도에 따라 선택의 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대부분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단원의 주제와 관련이 되는 큰 의미의 과제가 지속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가) 이야기 읽고 문제카드 만들기
(나) 같은 종류의 글 쓰기(설명문, 논설문, 시, 산문, 일기)
(다) 짧은 읽을거리 읽고 문제 해결하기
2) 본 차시의 형성 평가나 수행평가의 과제가 제시될 수 있다
(가) 교과서의 지시문 해결하기
(나) 학습지 해결하기
3)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아동의 취향이나 수준에 맞는 과제를 선택할 수 있게 준비한다
(가) 장기 과제의 경우(조사 및 보고서 작성)
- 월별 프로젝트 해결하기 : 다른 과목과 연계된 내용일 수 있다.
(나) 한 가지 종류에 내용이 다양한 경우(동시, 필독도서)
- 아동 스스로 순서를 정하여 학습한 결과를 확인 받게 한다.
4)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속활동은 교사가 학습 과정에서 확인하기보다는 먼저 끝난 아동끼리 혹은 같은 종류의 활동은 선택한 아동끼리 학습한 결과를 확인해주는 자율적인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가) 빈 사각판은 매트 코팅지로 코팅(연필로 답을 적고 지울 수 있음)을 하여 1회용 학습지보다는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준비한다.
(나) 2인 1조가 되어 가로와 세로의 역할을 정한 후 뒷면에 제시된 문제를 읽으면 상대방이 해당하는 답을 기록한다. 이 때 정답을 확인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다음 문제로 진행하도록 규칙을 정한다.
(다) 틀린 답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시한 쪽에서 힌트를 주거나 설명을 해 주거나 사전 등의 자료를 확인하여 정답을 알고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게 한다.
(라)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는 두 사람이 협조하여 또 다른 문제판을 만들도록 하는데 앞면에는 문제판을 뒷면에는 설명판을 준비하여 만든 아동의 이름을 기록하게 한다.
참고문헌
ⅰ. 류영옥, 수준별 자율장학 지원을 통한 좋은 수업 만들기, 전국현장교육연구보고서, 2002
ⅱ. 박성익, 수업방법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1992
ⅲ. 박성익, 탐구수업모형, 수업모형의 이론과 적용,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1996
ⅳ. 신향근 외,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수준별수업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프로시딩 제 7권
ⅴ. 심웅기·강숙희,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ⅵ. J. M. Keller, 송상호 역,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1) 학습 활동 중 의사 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학년 이상의 아동에게는 처음부터 끝까지 개별 활동만을 하게 하는 것보다는 개별활동 → 모둠 활동 → 개별활동의 형태를 취하거나, 모둠활동 → 개별활동 → 모둠활동으로의 진행도 선택적으로 필요하며 이 때 아동들의 의사소통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기본학습 훈련이 미리 이루어져야 한다.
(2) 개별 활동에서는 아동의 능력과 관심의 정도에 따라 내용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준비되어야 한다.
특히 국어과의 경우 심화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에 속하는 영역이므로 수준에 따라 학습 단계를 달리하기는 어렵고 보충과 심화 형태의 후속 활동을 통하여 선택의 폭이 넓힐 수 있는 내용을 준비한다.
(3)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 활동의 경우에는 처음부터 끝까지 컴퓨터에 의존한 학습보다는 자료를 검색하거나 정리하는 과정이나 보고용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작성하는 데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4) 아동이 활동을 할 때에는 기본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다른 조의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작은 소리로 속삭이는 태도를 유지할 수 있게 지도하고 관찰한다.
(5) 교사는 아동의 개별 활동이나 모둠별 활동시에 특별한 이유 없이 작업에 관여하여 지시, 규제, 지나친 설명 등으로 아동들의 상상력을 차단하거나 활동의 맥이 끊이지 않도록 주의하며 특정한 주제를 가지고 아동을 관찰하는 일이 중요하다.
(가) 개별 활동시 - 아동의 학습 및 행동 성향 관찰
(나) 모둠 활동시 - 모둠 아동과의 상호작용 및 역할 분담에 따른 활동 과정 관찰
(다) 전체 활동시 - 교사와의 상호작용, 아동과의 상호작용 관찰
(6) 교사는 한가지의 자료를 가지고 아동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가져오는 자료를 개발 적용한다.(해보기 2)
(가) 상상하여 이야기 만들기(기억놀이 게임)
① 교사가 이야기를 시작하기 전에 아동들이 가져온 털실을 묶어서 10줄쯤 연결한다.
② 동그랗게 말린 털실 덩어리를 교사는 마디가 나올 때까지 돌리면서 이야기를 전개해 한다. 모둠 대항의 경우는 모둠별로 1명씩 나오게 하여 일렬로 세운 후에 이야기를 진행한다.
③ 이 때 다소 소란해지는 경우엔 먼저 풀었던 실을 가리키며 그 부분의 내용을 말해보게 하고 모둠 대항인 경우는 알아 맞추면 부가점을 못 알아 맞추는 경우에는 감점을 주어 활동에 열중할 수 있게 한다.
④ 규칙은 아동들과 상의하여 직접 정해야 잘 지킬 수 있다.
⑤ 주인공을 죽게 만들면 게임이 종료된다.
(나) 어려운 낱말 퍼즐 만들기(주의집중 게임)
① 아동의 활동을 종료시킬 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하여 주위를 환기시키게 되는 데 먼저 활동이 끝난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사가 모눈칠판을 준비한 다음 오늘 수업과 관련이 있는 첫 단어를 적어준다.
② 아동들은 가로와 세로에 들어갈 낱말을 만들고 낱말 뜻을 설명하게 한다.
③ 교사의 의도에 따라 한자어가 나올 때는 2점, 흉내내는 말이 나올 때는 1점을 주어 아동들이 게임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④ 번호는 교사가 미리 정할 수도 있으나 상황에 따라 그때그때 적어가는 것도 방법이 된다.
(7)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확인하고 점검하는 과정이므로 단위시간에 꼭 알아야 할 내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도록 유도하며, 교사는 아동들이 학습한 결과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교단선 진화 장비 등을 활용하여 정리 할 필요가 있다.
3. 후속 학습
학습 활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본시 활동 중의 한 과정으로 먼저 학습 과제를 해결한 개인이나 모둠 아동에게 주어지는 심화나 보충 활동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동들의 흥미나 관심 정도에 따라 선택의 폭이 달라질 수 있으며 대부분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1) 단원의 주제와 관련이 되는 큰 의미의 과제가 지속적으로 주어질 수 있다
(가) 이야기 읽고 문제카드 만들기
(나) 같은 종류의 글 쓰기(설명문, 논설문, 시, 산문, 일기)
(다) 짧은 읽을거리 읽고 문제 해결하기
2) 본 차시의 형성 평가나 수행평가의 과제가 제시될 수 있다
(가) 교과서의 지시문 해결하기
(나) 학습지 해결하기
3) 여러 가지 활동 중에서 아동의 취향이나 수준에 맞는 과제를 선택할 수 있게 준비한다
(가) 장기 과제의 경우(조사 및 보고서 작성)
- 월별 프로젝트 해결하기 : 다른 과목과 연계된 내용일 수 있다.
(나) 한 가지 종류에 내용이 다양한 경우(동시, 필독도서)
- 아동 스스로 순서를 정하여 학습한 결과를 확인 받게 한다.
4)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후속활동은 교사가 학습 과정에서 확인하기보다는 먼저 끝난 아동끼리 혹은 같은 종류의 활동은 선택한 아동끼리 학습한 결과를 확인해주는 자율적인 활동이 전개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가) 빈 사각판은 매트 코팅지로 코팅(연필로 답을 적고 지울 수 있음)을 하여 1회용 학습지보다는 반영구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준비한다.
(나) 2인 1조가 되어 가로와 세로의 역할을 정한 후 뒷면에 제시된 문제를 읽으면 상대방이 해당하는 답을 기록한다. 이 때 정답을 확인하여 오류를 정정한 후 다음 문제로 진행하도록 규칙을 정한다.
(다) 틀린 답에 대해서는 문제를 제시한 쪽에서 힌트를 주거나 설명을 해 주거나 사전 등의 자료를 확인하여 정답을 알고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게 한다.
(라) 문제를 해결한 다음에는 두 사람이 협조하여 또 다른 문제판을 만들도록 하는데 앞면에는 문제판을 뒷면에는 설명판을 준비하여 만든 아동의 이름을 기록하게 한다.
참고문헌
ⅰ. 류영옥, 수준별 자율장학 지원을 통한 좋은 수업 만들기, 전국현장교육연구보고서, 2002
ⅱ. 박성익, 수업방법탐구, 서울 : 교육과학사, 1992
ⅲ. 박성익, 탐구수업모형, 수업모형의 이론과 적용,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원, 1996
ⅳ. 신향근 외,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수준별수업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 프로시딩 제 7권
ⅴ. 심웅기·강숙희, 인터넷을 이용한 수업개선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ⅵ. J. M. Keller, 송상호 역, 매력적인 수업설계, 교육과학사, 1999
추천자료
좋은 수업 방법
교육학 수업 방법론
교수방법의 유형 고찰과 LOGO프로그래밍(로고프로그래밍)의 개념, LOGO프로그래밍(로고프로그...
[교육학과]평생교육방법 평가 프로젝트 -독서 논술 수업-
[교육학과]평생교육 학습 지도안 및 평생교육방법 평가 프로젝트 -독서 논술 수업-
공통사회 교육론-등고선 수업 방법에 대하여
[체육과교육][운동기능학습]체육과(체육교육) 기능수업(운동기능학습) 단계, 체육과(체육교육...
수업으로 단련한다 (노구찌 요시히로 저 / 한형식 역) 4. 발표기술을 향상시키는 단련 방법
[예습][예습의 의의][예습의 과정][예습의 실제][예습의 지도방법][예습의 학습지활용방법][...
학습동기유발의 의미와 기능, 학습동기유발의 사례, 학습동기유발 방법(내발적 학습동기유발,...
체육수업계획안, 체육과학습지도안, 체육과수업, 교수학습 과정안, 체육수업프로그램과 평가...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목표,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정보화, 과학과학습(교육, 수업) 진로...
영유아교수방법-강의에서 다루어진 효과적(효율적)인 발문 방법에 기초하여 만 4-5세 학급에...
수준별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STS(과학기술사회)수업이 학업성취도와 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