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개념과 도입배경
Ⅱ.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기본방향
Ⅲ.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단계
1. 게임의 유형을 이해하는 단계
2. 게임 이해 단계
3. 전술적 인식 단계
4. 의사 결정 단계
5. 수행 단계
Ⅳ.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전개와 실제
1. 게임의 선택 및 구성
2. 게임수행(게임하기)
3. 게임창조(게임 만들기)
Ⅴ.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적용모형
참고문헌
Ⅱ.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기본방향
Ⅲ.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단계
1. 게임의 유형을 이해하는 단계
2. 게임 이해 단계
3. 전술적 인식 단계
4. 의사 결정 단계
5. 수행 단계
Ⅳ.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전개와 실제
1. 게임의 선택 및 구성
2. 게임수행(게임하기)
3. 게임창조(게임 만들기)
Ⅴ.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적용모형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대하여 학교수준 혹은 국가적 기준에 기초하여 학생들의 수준을 분류한 단계이다(Turner와 Martinek, 1995; 최의창, 1996).
Ⅳ.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전개와 실제
1. 게임의 선택 및 구성
먼저, 교사들은 게임유형에 따라 가르칠 게임을 선택한다.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교사들이 정식 게임을 변형시키는 것과, 몇 개의 게임에서 기술이나 전략을 뽑아서 단순화된 게임형태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임이 어떻게 변형되었든지 간에 교사들은 게임 자체를 유지할 수 있는 간단한 규칙을 제공하고, 게임을 하면서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이해중심 게임수업의 4가지게임 유형 중 학년수준에 알맞은 게임을 선택하고 이를 일련의 단순한 게임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게임유형
영역침범형 게임
목표물맞히기형 게임
네트, 벽치기형 게임
필드/타격형 게임
예) 영역 침범형 게임 선택→축구형게임 선택→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일련의 간이 게임화
선택
학년의 수준에 맞는 게임 유형 선택
구성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순한 게임 구성
2. 게임수행(게임하기)
게임의 수행을 위해 학생들은 게임을 구성하는 중요 규칙과 부수적인 규칙들을 익히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규칙을 이해하는 것과 전략과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며 변형되거나 단순화된 게임을 실제로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간단한 기능을 사용해서 할 수 있는 게임을 먼저 하고 나서 복잡한 전략을 사용하는 게임으로 이행해 나가는 것이다.
이때, 교사들은 규칙과 게임장소, 인원 등에 따라 전략과 전술을 조정해야 한다. 또 가끔 활동 중간 중간에 적절한 질문을 하면서 학생들이 전략을 수정해 가도록 안내해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능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을 것이다. 기능이 너무 서툴러서 게임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는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던 훈련과 연습을 통해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기본적인 전략과 전술을 습득하면 곧바로 교사는 게임의 인원수를 늘리고 규칙도 수정하거나 보완하면서 점점 더 복잡한 질문을 해 나감으로써 게임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이해 중심 수업 형태를 지향하는 교사는 능력이 뒤떨어지는 아이들을 생각할 줄 알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조건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움직임이 나아지는 것을 기대하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점점 향상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게임의 규칙 이해하기
중요규칙 및 부수규칙의 이해
게임 수행하기
단순화된 게임 / 변형된 게임
전략과 전술의 이해
전략과 전술의 이해
단순 게임→복잡 게임
게임 수행하기의 예)영역침범형 게임(축구형 게임)
단계
활동 내용
단순게임
실행
(규칙이해)
활동1. 조별로 공 이어주기(15m×15m 경기장)
-경기장내에 조원들이 둥그렇게 선다.
-각 조들에게 공을 이어 준다.
-공을 받은 사람은 공을 2번 이내(발에 접촉하는 수)에 다른 사람 에게 연결한다.
반성
적절한 공 이어주기의 방법에 대해 의논하기 및 필요시 공 이어주기 연습하기.
발전
(단순변용게임)
활동2. 1대 다수 공 뺏기(20m×20m 경기장)
-1명이 술래가 된다.
-술래가 아닌 나머지 사람은 5발 이내에 다른 사람에게 공을 패스 한다.
-위의 규칙을 어기거나, 경기장 밖으로 공을 찬 경우, 공을 빼앗긴 경우는 술래가 된다.
반성
효과적인 공 뺏기 전술에 대해 의논한다.
심화
(복잡변용게임)
활동1. 바둑축구 하기(30m×30m 경기장)
-오른 쪽 그림과 같은 경기장에 한명씩 들어간다.
-정해진 칸 안에서 만 공 몰기와 뺏기를 하며, 다음 칸으로 넘어가면 더 이상
Ⅳ. 체육과 이해중심게임수업(이해중심게임학습)의 전개와 실제
1. 게임의 선택 및 구성
먼저, 교사들은 게임유형에 따라 가르칠 게임을 선택한다.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교사들이 정식 게임을 변형시키는 것과, 몇 개의 게임에서 기술이나 전략을 뽑아서 단순화된 게임형태로 재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임이 어떻게 변형되었든지 간에 교사들은 게임 자체를 유지할 수 있는 간단한 규칙을 제공하고, 게임을 하면서 학생들이 사고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사용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 단계에서 교사는 이해중심 게임수업의 4가지게임 유형 중 학년수준에 알맞은 게임을 선택하고 이를 일련의 단순한 게임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게임유형
영역침범형 게임
목표물맞히기형 게임
네트, 벽치기형 게임
필드/타격형 게임
예) 영역 침범형 게임 선택→축구형게임 선택→학생의 수준에 알맞은 일련의 간이 게임화
선택
학년의 수준에 맞는 게임 유형 선택
구성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단순한 게임 구성
2. 게임수행(게임하기)
게임의 수행을 위해 학생들은 게임을 구성하는 중요 규칙과 부수적인 규칙들을 익히게 된다. 또한, 학생들은 규칙을 이해하는 것과 전략과 전술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우며 변형되거나 단순화된 게임을 실제로 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간단한 기능을 사용해서 할 수 있는 게임을 먼저 하고 나서 복잡한 전략을 사용하는 게임으로 이행해 나가는 것이다.
이때, 교사들은 규칙과 게임장소, 인원 등에 따라 전략과 전술을 조정해야 한다. 또 가끔 활동 중간 중간에 적절한 질문을 하면서 학생들이 전략을 수정해 가도록 안내해 주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기능을 가르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을 것이다. 기능이 너무 서툴러서 게임이 제대로 되지 않을 때는 전통적으로 사용해 왔던 훈련과 연습을 통해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기본적인 전략과 전술을 습득하면 곧바로 교사는 게임의 인원수를 늘리고 규칙도 수정하거나 보완하면서 점점 더 복잡한 질문을 해 나감으로써 게임의 수준을 높일 수 있다.
이해 중심 수업 형태를 지향하는 교사는 능력이 뒤떨어지는 아이들을 생각할 줄 알며, 계속적으로 새로운 조건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의 움직임이 나아지는 것을 기대하고, 다양한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점점 향상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게임의 규칙 이해하기
중요규칙 및 부수규칙의 이해
게임 수행하기
단순화된 게임 / 변형된 게임
전략과 전술의 이해
전략과 전술의 이해
단순 게임→복잡 게임
게임 수행하기의 예)영역침범형 게임(축구형 게임)
단계
활동 내용
단순게임
실행
(규칙이해)
활동1. 조별로 공 이어주기(15m×15m 경기장)
-경기장내에 조원들이 둥그렇게 선다.
-각 조들에게 공을 이어 준다.
-공을 받은 사람은 공을 2번 이내(발에 접촉하는 수)에 다른 사람 에게 연결한다.
반성
적절한 공 이어주기의 방법에 대해 의논하기 및 필요시 공 이어주기 연습하기.
발전
(단순변용게임)
활동2. 1대 다수 공 뺏기(20m×20m 경기장)
-1명이 술래가 된다.
-술래가 아닌 나머지 사람은 5발 이내에 다른 사람에게 공을 패스 한다.
-위의 규칙을 어기거나, 경기장 밖으로 공을 찬 경우, 공을 빼앗긴 경우는 술래가 된다.
반성
효과적인 공 뺏기 전술에 대해 의논한다.
심화
(복잡변용게임)
활동1. 바둑축구 하기(30m×30m 경기장)
-오른 쪽 그림과 같은 경기장에 한명씩 들어간다.
-정해진 칸 안에서 만 공 몰기와 뺏기를 하며, 다음 칸으로 넘어가면 더 이상
추천자료
체육과 탐구중심학습(탐구중심수업)의 의의, 체육과 탐구중심학습(탐구중심수업)의 단계, 체...
수학학습(수학교육) 게임(놀이)활용의 개념, 수학학습(수학교육) 게임(놀이)활용의 장점, 종...
체육과수업(교육, 학습)의 목표와 지도내용, 체육과수업(교육, 학습)의 교과용 도서, 체육과...
수학수업(학습, 수학교육) 특성과 원리, 수학수업(학습, 수학교육) 기자재활용, 컴퓨터활용, ...
[학습평가][교육평가]영어과(교육)의 학습평가, 수학과(교육)의 학습평가, 과학과(교육)의 학...
[제7차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고등학교선택중심]제7차교육과정의 이해, 제7차교육과정의 국...
체육과학습(수업, 교육)의 필요성, 체육과학습(수업, 교육)의 영역, 체육과학습(수업, 교육)...
사회과 맞춤학습지도(교육지도), 수학과 극한개념학습지도(교육지도), 영어과 열린학습지도(...
아동중심유아교육을 설명하고 이에 입각한 유아교수학습방법을 설명
세계사 교육에서의 주제 중심 통합 학습
철학의 정의, 철학 방법, 철학 기본영역, 철학과 교육철학, 철학과 체육철학, 철학과 통치철...
05.체육수업모형 - 모형중심의 체육수업 & 8가지 체육수업 모형 [전공체육 임용준비 교과...
[교육학개론] 교과중심 교육과정(subject-centered curriculum)의 이해
[교육敎育학개론]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등장배경과 성격, 인간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