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정보기술과 경영혁신 최종정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주대학교>정보기술과 경영혁신 최종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스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어야 하고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베이스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데이터 모델링 기술
데이터모델링이란 사용자요구에 맞는 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데이터웨어하우스를 구축하는 절차와 방법을 말한다.
1.온라인분석처리(OLAP)
조직의 업무처리 시점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빠르고 신속하게 처리하여 데이터베이스로 저장 및 관리하는 온라인업무처리(OLTP: on-line transaction processing)와는 달리 업무처리과정에서 구축된 데이터를 경영에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통합의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축하는 작업이다.
@데이터웨어하우징 기법 및 도구
OLTP
OLAP
워크플로우 기반(업무 프로세스 중심)
사용자의 분석 수행 기반(주제 중심)
트랜잭션 처리(입력 조회 삭제 수정)
운영자 계층 시스템
보고서 분석 계획 (조회 제한적 입력/수정 분석가 및 의사결정자 계층 시스템)
2차원, 정규화
다차원, 계층구조
상세 데이터, 중복성 배제
요약 정보, 중복성 수용
소량의 데이터 처리,
활용 패턴 단순, 고른 시간대 분포
시스템 자원 사용량 예측 용이
대량의 데이터 처리
활용 패턴 다양, 시간대 불규칙 분포
시스템 자원 사용량 예측 어려움
구축 후 데이터 축적 중심
전통적 개발 주시
시스템 구축 후 유지보수 단순
구축 후 데이터 축적 및 스키마 변경
반복 확장 개발 주기
시스템 구축 후 유지보수 전략 필요
사용자 중심 응용프로그램 (4GL)
Customizing 용이
정형화된 보고서/변경 어려움
단순한 화면 조작
전용 도구(OFF-the Shelf, Out-of-Box)
Customizing 제한적
동적인 비정형 분석/변경 용이
EUC(END USER Computing) 활성화 필요
2.차원모델링
데이터웨어하우스의 모델링 방법 충 하나로서 추출된 업무처리 사항이 담긴 정보를 설정해 두고 이를 사용자의 요구관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측면의 추출방법에 따라 접근하는 방식
3.데이터마트
조직의 업무분야를 세분하여 경영에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저장소를 데이터마트라 한다.
4,데이터마이닝
조직에서 저장하여 관리하고 있는 대량의 데이터로부터 경영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추출하는 작업
5.데이터웨어하우스의 메타데이터(Metadata)
이는 데이터의 내용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로서 데이터웨어하우스에서의 메타데이터는 데이터웨어하우스 구축을 위하여 어떤 작업과정을 거치고 각 작업 과정별로 어떤 테이블 소스를 사용하는 가에 대한 정보와 구축된 데이터웨어하우스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고 이를 검색하기 위한 최적의 질의(Query)는 어떻게 해야 효율적인가를 알기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구성내역에 대한 데이터들이다.
10주차-2(식스시그마)
@개요
*혁신이란 ‘새로운 것’을 의미한다.
*혁신적 경영풍토의 조성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새로운 아이디어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창조성
둘째, 참가자가 다양하게 행동할 수 있는 자율성
셋째, 정형화된 관성을 파괴할 수 있는 유연성
*경영혁신이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새로운 생각이나 방법으로 기존 업무를 다시 계획하고 실천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경영혁신 기법 중 6시그마는 모든 프로세스에 적용할 수 있는 전 방위 경영혁신 운동이다.
@6시그마의 정의
*가장 일반적인 의미에서 시그마(sigma)는 그리스 문자로서, 통계학에서 변동을 나타내는 여러 측도 가운데 하나인 표준편차를 나타낸다.
*이는 결함 없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 능력을 정량화 한 값이라고 말할 수 있다.
*6시그마는 기업 내의 모든 기능, 업무처리 프로세스를 개혁함으로써 제품과 서비스의 불량을 100만 개당 3,4이하로 줄려 기업 성과를 획기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경영기법이다.
@6시그마의 등장 1
*시그마는 표준편차라고 불리며 분포의 산포의 정도, 즉 에러나 미스의 발생 확률을 가리키는 통계용어이다.
*일부 기업들은 꾸준한 품질 혁신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했고, 이로 인해 상당한 수익과 시장 지위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의 대표적인 기업들로 모토롤라, Texas Instruments, Eastman Kodak, GE 등을 들 수 있다.
*6시그마의 원조는 모토롤라이다. 모토롤라는 1982년부터 품질 개선 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이것이 후에 6시그마로 알려지게 된 것이다.
*GE의 경우 회장의 전폭적인 지원 하에 전사적인 차원에서 6시그마 활동을 전개하였다.
GE는 2000년까지 6시그마 품질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6시그마의 등장 2
*통계적 기법을 사용한 품질관리는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shewhart, Demming, juran 등이 이미 이 개념을 정립하였으며 일본 기업들이 2차대전 후 품질에 관심을 가지면서 이 기법을 발전시켜 왔다. 그 후 Crosby는 무결점 (Zero Defects)개념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통계적인 공정 관리가 세인들의 이목을 끌게 된 것은 1980년대 모토롤라가 자사의 페이저, 셀룰러 폰 등의 생산을 개선하기 위하여 6시그마 원리를 체계화 하면서 부터이다.
@기존 품질 운동과의 차이
*6시그마는 통계적 사고를 바탕으로 하여 ‘경영 활동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하는 활동이라는 점이다.
*과거 QC, TQM등이 제조 중심의 사고 경향이 짙었던 반면 6시그마는 간접 부문을 포함한 경영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 혁신을 지향하고 있다.
*또한 불량에 대한 개념에서도 차이가 난다. QC나 TQM에서는 품질 관리의 목표가 고객에게 인도되는 ‘최종 생산품의 불량’을 줄이는 것이었다.
@6시그마가 성공하기 위한 조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조건을 갖추어야 한다.
첫째 최고경영자의 적극적인 관여다
둘째 인재 육성 체제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제품 관리 시스템의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지식 경영으로 승화해야 한다.
@6 Sigma 접근법
*체계적인 Process 개선을 위한 접근법으로서 최근 품질경영을 실천하는 데 있어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 경영혁신 기법으로 GE, SONY등 몇
  • 가격7,000
  • 페이지수81페이지
  • 등록일2011.05.07
  • 저작시기201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