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의의,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예절교육,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인사교육,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식사교육, 향후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실천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의의,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예절교육,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인사교육,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식사교육, 향후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실천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의의

Ⅱ.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예절교육
1. 들어오고 나갈 때의 바른자세
2. 물건을 다루는 바른 자세
1) 물건을 다루는 기본 자세
2) 물건을 줄 때의 바른 자세
3) 물건을 받을 때의 예절
3. 손님이 오셨을 때의 예절
1) 손님을 맞이할 때
2) 손님께 음식이나 차를 대접할 때
3) 손님 배웅할 때
4. 어른 앞에서의 바른 자세

Ⅲ.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인사교육

Ⅳ.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식사교육
1. 동기 유발 과정
2. 운동 재생 과정
1) 일반적인 식사
2) 어른과 같이 식사
3. 자기 강화 과정
4. 심상적표상과정
5. 인격화 과정
6. 지도상의 유의점

Ⅴ. 향후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실천 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음식을 덜어 놓는다.
· 골고루 맛있게 먹는다.
· 조용히 일어서서 나간다.
2) 어른과 같이 식사
· 어른은 아랫목에 모신다.
· 어른이 자리를 잡고 수저를 드신 다음에 수저를 든다.
· 자기 몫은 남기지 않고 먹는다.
· 물그릇은 두 손으로 공손히 드린다.
· 어른보다 먼저 식사가 끝나면 기다렸다가 일어서서 나온다.
· 식사 후에 이를 닦는다.
3. 자기 강화 과정
식사를 할 때 주의해야 할 일은 무엇 인가?
· 수저나 그릇 소리를 내지 않는다.
· 생선 가시나 찌꺼기는 다른 사람의 눈에 띄지 않게 다른 그릇에 담아 놓는다.
· 자기 입에 맞는 음식만 골라 먹지 않는다.
· 수저를 한 손에 같이 들고 식사를 하지 않는다.
4. 심상적표상과정
식사를 할 대 지켜야 할 일을 이야기 해 보자.
· “잘 먹었습니다.”라고 감사 표현을 한다.
· 어른보다 먼저 수저를 놓지 않는다.
· 재채기나 기침이 나오면 고개를 돌려 손이나 수건으로 가리고 한다.
· 식당에서 다른 사람과 같이 식사할 때는 먼저 상대방이 좋아하는 음식을 물어 본 다음 주문한다.
· 다른 사람들과 음식 먹는 속도를 맞춘다.
· 밥그릇과 국그릇을 손에 들고 먹지 않는다.
· 식사 중에 즐거운 대화를 가지는 것이 좋으며, 음식물을 입에 넣고 말하지 않는다.
5. 인격화 과정
자기의 식사 경험을 반성해 보고 올바른 식사 예절을 다짐해 봅시다.
· 식사하는 태도를 반성해 복 잘못된 것은 그때그때 고쳐 나간다.
· 올바른 식사 예절을 친구와 같이 이야기 해 보고 일기도 써 본다.
6. 지도상의 유의점
· 가정과의 연계 지도를 통하여 바른 식사 예절을 습관화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 식사 순서 및 방법을 반복 연습하는 기능적인 면도 주시하여 지도한다.
· 식사 예절의 중요성을 알고 식사의 습관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 즐거운 식사시간이 되도록 지도한다.
Ⅴ. 향후 가정생활지도(기본생활교육)의 실천 과제
생활교육에서 특별히 유의해야할 일반적인 사항
(1) 기본생활 교육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고, 따라서 가정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가정은 자녀에게 사람 되기를 가르치는 최초의 학교이자 부모형제로부터 좋은 성품과 행동을 훈련받는 최초의 수업 장소이다. ‘세살 버릇 여든 간다.’는 속담이 기본생활이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것을 시사한다면 ‘콩 심은 데 콩 나고 팥 심은 데 팥 난다’ 는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시사해준다고 할 수 있다.
(2) 기본 생활교육은 가정과 학교가 연계를 맺고 상호 협조할 때 결실을 맺을 수 있다. 교사와 학부모가 학교와 가정에서 일관성 있게 지도하기 위한 적절한 상호의사 전달 방식을 구안하여 활용해야 한다.
(3) 교사가 기본생활에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교사의 언행이나 태도가 어린이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는 말이다.
(4) 기본생활 교육은 특정 교과시간이나 학교의 제한된 활동만으로 성과를 거두기 어렵고 반복적인 지도가 필요하며, 모든 교과에 걸쳐 통합적,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5) 기본생활 교육은 다양한 자료와 활동을 통해 실시되어야 한다.
(6) 기본생활 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고 단계적으로 지도해야한다.
참고문헌
ⅰ. 류맹수, 한국가정의 연계교육을 통한 바른생활 습관지도, 서울교육 : 서울시교육과학연구원, 1993
ⅱ. 민영환, 가정과의 연계지도를 통한 기본생활습관형성에 관한 실천 연구, 현장연구, 여의도국민학교, 1994
ⅲ. 신가초등학교, 학교와 가정의 연계지도를 통한 에너지 절약 습관 형성, 2001
ⅳ. 학교법인 제철학원, 바른가정교육, 서울 : 교보문고, 1994
ⅴ. 한국평생교육기구, 평생교육과 가정교육, 서울 : 정민사, 1986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0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