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글쓴이의 저술 동기................3
2. 책의 핵심내용 요약..............3
3. 책의 중심 개념과 그에 대한 설명....5
4. 책을 읽고 수업과 관련하여 배운 내용.....6
5. 책의 내용에 대한 비판 및 자신의 의견...7
2. 책의 핵심내용 요약..............3
3. 책의 중심 개념과 그에 대한 설명....5
4. 책을 읽고 수업과 관련하여 배운 내용.....6
5. 책의 내용에 대한 비판 및 자신의 의견...7
본문내용
추격은 후발자가 선발자의 경로를 어느 정도 따라가다 진로를 바꾸어 새로운 경로를 창출할 때 일어난다.
-OEM-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 해당 기업은 주로 생산 공정에 전념하고 전체적인 설계나 기술등은 외부 주문업체의 지시를 받아 납품하는 하도급 형태를 말한다.
-OEM함정- OEM방식에서는 바이어가 거래선, 제품 설계 및 상표 등의 주요 기술을 장악하는데 이러한 바이어와의 관계로 인해 낮은 단가 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저부가가치 영역에 기술 수준이 머무르게 되어 오랜 기술 노하우 축적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상품으로의 전환을 스스로 포기하게 되는 것을 뜻한다.
-OBM-자기 브랜드 확립 전략. 제품을 자체 상품 이름으로 시장에 판매하기 위한 자체 생산 방식.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 총요소 생산성 노동과 자본 투입을 가중 평균하여 얼마나 산출을 하느냐 하는 개념. 한국 기업의 TFP 추격 지수는 두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기업의 TFP, 일본 기업의 TFP)
-SSI(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 산업별 혁신 시스템.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의 특징으로부터 추격의 패턴과 성격을 분석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 도구. 지식기술 체제, 수요체제, 여러 주체들의 역할, 제도적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4. 책을 읽고 수업과 관련하여 배운 내용
‘기업 간 추격의 경제학’에서는 무역과 투자가 나라별로 이루어지면서 나라간의 격차가 줄어들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나라에 속하는 개별 기업들 역시 후발주자와 선발주자 간 격차가 줄어들어야 한다. 책에서는 정보통신 혁명과 세계화로 인해 이러한 선발주자와 후발주자 간 격차가 커진다고 설명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내가 mis시간에 배운 세계를 평평하게 하는 10가지 요인들-Flattener-로 인해 세계화가 진행 되어가는 과정과는 반대의 이야기이다. 세계가 평평하게 되는 요인 중 하나가 정보통신 혁명이었는데, 여기에선 반대로 설명하고 있어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을 생각해 보았다.
‘기업간 추격의 경제학’ 에서 기업은 영리를 취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기술이라든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공유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기업은 격차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격차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의 정보통신 혁명이 기업간 격차를 만드는 것이다. 책에서의 기업과 세계화에서의 기업의 차이점을 보면 물론 두 경우 모두 이윤창출을 해야하는 영리성을 갖고 있지만, 나라간 교역으로 인해 비용을 줄이고 협력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세계화의 부정적인 면으로 20대 80의 법칙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세계화 이전과 세계화 이후 각 나라의 삶은 더 윤택해지고 우리나라나 개발도상국들에겐 나라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5. 책의 내용에 대한 비판 및 자신의 의견
둘 이상의 조직이나 비교대상이 있는 것에는 언제나 선발과 후발이 존재한다. 후발조직이나 기업은 언제나 선발을
-OEM-주문자 상표 부착 방식. 해당 기업은 주로 생산 공정에 전념하고 전체적인 설계나 기술등은 외부 주문업체의 지시를 받아 납품하는 하도급 형태를 말한다.
-OEM함정- OEM방식에서는 바이어가 거래선, 제품 설계 및 상표 등의 주요 기술을 장악하는데 이러한 바이어와의 관계로 인해 낮은 단가 압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저부가가치 영역에 기술 수준이 머무르게 되어 오랜 기술 노하우 축적에도 불구하고 고부가가치상품으로의 전환을 스스로 포기하게 되는 것을 뜻한다.
-OBM-자기 브랜드 확립 전략. 제품을 자체 상품 이름으로 시장에 판매하기 위한 자체 생산 방식.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 총요소 생산성 노동과 자본 투입을 가중 평균하여 얼마나 산출을 하느냐 하는 개념. 한국 기업의 TFP 추격 지수는 두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한국기업의 TFP, 일본 기업의 TFP)
-SSI(Sectoral System of Innovation) - 산업별 혁신 시스템. 해당 기업이 속해 있는 산업의 특징으로부터 추격의 패턴과 성격을 분석할 수 있게 하고 보다 체계적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분석 도구. 지식기술 체제, 수요체제, 여러 주체들의 역할, 제도적 요인으로 구성되어있다.
4. 책을 읽고 수업과 관련하여 배운 내용
‘기업 간 추격의 경제학’에서는 무역과 투자가 나라별로 이루어지면서 나라간의 격차가 줄어들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나라에 속하는 개별 기업들 역시 후발주자와 선발주자 간 격차가 줄어들어야 한다. 책에서는 정보통신 혁명과 세계화로 인해 이러한 선발주자와 후발주자 간 격차가 커진다고 설명하는데 이러한 주장은 내가 mis시간에 배운 세계를 평평하게 하는 10가지 요인들-Flattener-로 인해 세계화가 진행 되어가는 과정과는 반대의 이야기이다. 세계가 평평하게 되는 요인 중 하나가 정보통신 혁명이었는데, 여기에선 반대로 설명하고 있어 공통점도 있지만 차이점을 생각해 보았다.
‘기업간 추격의 경제학’ 에서 기업은 영리를 취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기술이라든지 기업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공유할 필요성이 없다. 따라서 기업은 격차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격차를 만들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의 정보통신 혁명이 기업간 격차를 만드는 것이다. 책에서의 기업과 세계화에서의 기업의 차이점을 보면 물론 두 경우 모두 이윤창출을 해야하는 영리성을 갖고 있지만, 나라간 교역으로 인해 비용을 줄이고 협력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생각했다. 물론 세계화의 부정적인 면으로 20대 80의 법칙이 적용되기도 하지만 세계화 이전과 세계화 이후 각 나라의 삶은 더 윤택해지고 우리나라나 개발도상국들에겐 나라간 격차를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5. 책의 내용에 대한 비판 및 자신의 의견
둘 이상의 조직이나 비교대상이 있는 것에는 언제나 선발과 후발이 존재한다. 후발조직이나 기업은 언제나 선발을
추천자료
[국제경영] 기업의 국제 경영 전략
통신·방송 기업 대형화 가속된다
[다국적 기업 경영론]도요타 코리아의 한국 시장 진출 사례
[벤처비즈니스] 중국투자기업 설립의 타당성 검토 및 창업절차
유한 킴벌리 기업 분석
CJ 홈쇼핑 기업 분석 연구
[마케팅] 기업 마케팅 사례분석 [현대카드의 차별화 마케팅]
[강원랜드] 기업조사, swot분석, 마케팅 전략, 장단점, 외국사례, 향후 방안
마케팅 환경 분석 기업
조직 진단 (대상기업 - 프리챌)
듀오 DUO 마케팅전략분석과 기업분석및 듀오 미래 마케팅전략 제안
[삼성전자 기업분석, 스마트폰시장 현황] 삼성전자 스마트폰 판매전략-애플과 비교분석 보고서
카카오톡-스마트폰과 SNS,카카오톡기업분석,카카오톡성공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