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풍수지리설]풍수(풍수지리설)의 형태, 풍수(풍수지리설)의 용어, 풍수(풍수지리설)의 법술, 풍수(풍수지리설)의 적용, 풍수(풍수지리설)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설)와 양기, 풍수(풍수지리설)와 신앙 분석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풍수][풍수지리설]풍수(풍수지리설)의 형태, 풍수(풍수지리설)의 용어, 풍수(풍수지리설)의 법술, 풍수(풍수지리설)의 적용, 풍수(풍수지리설)와 풍수사, 풍수(풍수지리설)와 양기, 풍수(풍수지리설)와 신앙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풍수(풍수지리설)의 형태
1. 형태에 따른 영향
2. 길흉의 형태

Ⅱ. 풍수(풍수지리설)의 용어
1. 음택(陰宅)
2. 양기(陽基)
3. 용(龍)
4. 맥(脈), 절(節)
5. 혈(穴)
6. 사(砂)
7. 국(局)
8. 내룡(來龍)
9. 조산종산(祖山宗山)
10. 주산(主山), 후산(後山)
11. 입수(入水)
12. 두뇌(頭腦)
13. 성(城), 사성(砂城)
14. 청룡백호(靑龍白虎)
15. 명당(明堂)
16. 득(得:水口)
17. 지현(之玄)
18. 미사(眉砂)
19. 안산(案山)
20. 조대산(朝對山)
21. 5성(五星)
1) 목성(木星)의 산
2) 화성(火星)의 산
3) 토성(土星)의 산
4) 금성(金星)의 산
5) 수성(水星)의 산
22. 9성(九星)
23. 낙산(樂山)
24. 간룡심룡(看龍尋龍)
25. 형세(形勢)
26. 좌향(坐向)

Ⅲ. 풍수(풍수지리설)의 법술
1. 용
2. 장풍법
3. 득수법
4. 점혈법
5. 돌형혈
1) 대돌형
2) 겸형혈
3) 직겸
4) 곡겸
5) 장겸
6) 단겸
7) 겸
8) 유형혈
9) 장유
10) 단유
11) 대유, 소유
12) 쌍수유 삼수유

Ⅳ. 풍수(풍수지리설)의 적용

Ⅴ. 풍수(풍수지리설)와 풍수사

Ⅵ. 풍수(풍수지리설)와 양기

Ⅶ. 풍수(풍수지리설)와 신앙
1. 풍수
2. 제사
3. 무속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고 또 하나는 개인 가옥의 택지이다. 즉, 집단양기와 개인양기를 말하는 것이다. 그런데 개인적 양기는 집단적 양기에 비해 지역이 협소하기 때문에 이동이 용이 하나 집단양기는 한번 이것을 설정한 이상, 이전하기가 결코 쉽지 않다. 따라서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보다도 그 지방의 왕성함을 가져올 만한 시설, 쇠운을 막아 낼 시설을 하는 소극적 방책에 의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을 비보라 한다.
풍수상의 본질 즉 천지의 생기를 땅을 통해 받아 인생의 행복에 이바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음택, 양기도 동일하다. 양기는 1개의 가옥을 짓기 위해 생기가 축적되고 음양이 충화된 지세를 찾기 보다는 백. 천가(家)의 행복을 위한 곳이 길지이다. 따라서 길지 즉 혈이 응집된 것은 음택과 같이 사방 10보 내에 한(限)한 협소한 것이어서는 안 되고, 적어도 사방 수십, 수백, 수만보 등 많을수록 좋다. 또 양기는 땅의 생기를 직접 받기 보다는 주택을 지어서 간접적으로 받기 때문에 지형물의 형세가 중요하다.
예를 들어 고려의 수도 개성은 솟아오른 칼날 형태인 한양의 삼각산 때문에 멸망했다. 평양은 행주형(行舟形-떠나는 배)의 땅이기에 쇠닻을 대동강 속에 박아 앉혔으나 근래 그것을 끌어 올렸기에 대홍수를 만났다. 무학 대사는 한양에 궁성을 지을 때 이 지형이 학이 춤추는 형태이기 때문에 학의 날개 부분에 궁성을 축조한 후에 궁궐을 세웠다. 그러나 양기풍수도 음택에 비해 지형물의 형세에 중점을 둔 것이지 풍수의 원칙인 장풍득수를 중시했다. 규모가 크고 산수가 모여 중심을 이루는 땅으로 산이 멀리서 다가오고, 물이 깊이 에워싸는 곳이 양기의 대표적인 곳이라 했다.
이중환은 \'팔역지\'에서 양기풍수를 6가지 항목(수구, 야세, 산형, 수리, 조산조수)으로 구체적, 통괄적으로 언급했다. 수구(水口)에 관진(關鎭)이 있고 안으로 물을 넣을 수 있는 곳. 들이 넓어 터가 좋고 일월과 풍우를 잘 받는 곳. 산형이 특히 주산이 수려, 단정, 청명한 곳. 토색이 좋고 돌이 많고 샘이 깨끗한 곳. 산이 반드시 근원. 배수가 있는 곳. 멀리 보면 맑고 가까이 보면 밝은 산으로 한번 보면 즐겁고 싫지 않은 곳. 이 항목은 집터 뿐 아니라 무덤을 쓸 때도 이용된다.
Ⅶ. 풍수(풍수지리설)와 신앙
1. 풍수
죽은 이의 시체(유골)를 묻은 장소(땅: 생기)의 좋고 나쁨에 따라 그 자손에게 길흉의 영향관계가 있다는 것이다. 땅의 생기가 자손에게 미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요인은 별로 고려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서 죽은 자와의 생전의 인간관계나 죽은 자 자신의 인생관 또는 자녀의 효도의 정도 등은 일체 고려되지 않는다. 아무리 좋은 생애를 누렸다고 해도 묘자리를 잘못 쓰면 그 자손은 해를 입는다.
또 자손이 죽은 이가 살아있을 동안에 극진한 효도를 다했다고 하여도 묘자리를 잘못 쓰면 해를 입는다. 반대로 살아 생전에 불효하였다고 하여도 묘자리만 잘 쓰면 그 자손은 조상의 덕을 보게 된다. 죽은 이의 무덤을 파 가지고 목을 베어서라도 좋은 곳에 묻으면 자손은 덕을 입는다. 죽은 조상의 무덤을 잘못 건드리거나 목을 베는 등의 시체 모독은 유교식으로 말하면 불효일 것이다. 또 시체를 건드림으로써 부정하게 되고 탈이 나는 것은 흔히 있는 민간신앙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러한 불효나 탈을 초월하여 시체를 묻은 장소에서 자손에게 영향만을 미친다는 것이 풍수의 이론적 모델이다.
2. 제사
제사는 원칙적으로 산 자에 대한 효도의 연장이다. 부모를 봉양하는 의무처럼 제사는 자손의 의무이다. 죽은 조상의 시체를 가지고 자손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하여 장소를 찾는 것은 불효이다. 다만 죽은 이가 안주할 수 있는 곳을 찾는 것은 당연하다. 지나치게 효심이 강해서 \'심청이\'처럼 희생하는 것도 봉양을 포기한 것이니 불효가 된다. 이와 같이 중요한 봉양은 죽은 이에게도 제사를 통해서 계속된다.
부모로부터 재산을 상속한 것처럼 약간의 음덕을 기대하는 것은 도덕적인 레벨에서 가능하다. 그러나 조상이 전능한 신이 되어 자손의 생사화복을 주관하는 신이 되는 것은 아니다. 반대로 제사를 지내지 않았다고 자손이 탈이 난다든지 하는 것은 원래 제사의 원리는 아니다.
3. 무속
살아생전의 인간관계가 그대로 죽어서 지속되는 구조이다. 특히 무속에는 원한이 강한 귀신이 살아있는 사람에게 붙어서 탈이 나는 신앙이 있다. 이를 손진태는 \'악정령과의 관계\'라고 불렀다. 특히 미혼이나 불행한 사고 또는 강한 원한을 가진 사자의 원령이 인간에게 붙어서 한을 풀거나 불행한 상태를 벗어나려고 한다. 원령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조상이 수호신이 되어 \'도와주마.\'라고 자손에게 말해주는 관계에 있다. 즉 무속에서는 죽은 자가 살아생전의 인간관계를 지속적으로 가지면서 상호관계를 한다는 것이다.
풍수는 독립하지 않고 유교, 무속신앙과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풍수나 유교, 무속신앙은 모두 부모 또는 부모의 시체를 존중하고 사랑을 바탕으로 출발한 신앙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그 강조점이 다를 뿐이다. 그것은 사회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인간의 보편적인 심성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지나치게 혈족 중심이 되거나 자기 중심이 되는 등에서 피해가 생기게 되었다. 결국 한국사회, 문화의 한 속성임은 부정할 수 없다. 풍수는 한국 사회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강한 부계제 사회이며 혈족 중심의 행복 추구관이 지나쳐서 반사회적인 면까지 있으나, 추구하는 행복관이 있다. 즉 자손이 번성하고, 사회적 지위가 높아지고, 부유하게 사는 것이고, 질병 없이 삶을 살아가겠다는 의지가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서 이러한 것을 묘지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 것이 풍수신앙이다.
참고문헌
김두규 : 우리 풍수 이야기, 북하우스, 2003
류주희 :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中, 풍수는 과연 미신인가
윤홍기 : 왜 풍수는 중요한 연구주제인가?, 대한지리학회지 제36권4호, 2001
차태규 저 : 한국풍수학개론, 연문출판사, 2000
최창조 外 : 풍수, 그 삶의 지리, 생명의 지리, 푸른나무, 1993
최창조 : 한국의 풍수지리, 민음사, 1988
홍순영 : 나도 풍수가 될 수 있다, 화산문화
  • 가격7,5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1.05.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