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교수 매체의 개념
Ⅱ.교수 매체의 특성
1. 수업적 특성
2. 기능적 특성
Ⅲ.교수 매체의 종류와 기능
1. 교수매체의 종류
2. 교수매체의 기능과 제작과정
Ⅰ. 머리말
Ⅱ.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WBI의 구축 필요성
Ⅲ. WBI의 원리와 교육매체로서의 활용
Ⅳ. WBI 모형 개발
Ⅴ. WBI를 이용한 수업설계
Ⅵ. WBI제작의 활성화 방안
Ⅶ. 마무리
<참고 문헌>
Ⅱ.교수 매체의 특성
1. 수업적 특성
2. 기능적 특성
Ⅲ.교수 매체의 종류와 기능
1. 교수매체의 종류
2. 교수매체의 기능과 제작과정
Ⅰ. 머리말
Ⅱ.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와 WBI의 구축 필요성
Ⅲ. WBI의 원리와 교육매체로서의 활용
Ⅳ. WBI 모형 개발
Ⅴ. WBI를 이용한 수업설계
Ⅵ. WBI제작의 활성화 방안
Ⅶ. 마무리
<참고 문헌>
본문내용
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웹의 이러한 특성을 교육현장에 잘 접목시킬 수만 있다면, 우리교육의 지향점인 학습자의 창의성, 다양성, 자율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을 것이다.
Ⅳ. WBI 모형 개발
수업설계는 특정의 학습내용과 특정의 학습자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적의 교수방법이 무엇인가를 결정해 나가는 과정이다. 교실마다 컴퓨터와 프로젝트 텔레비젼, 비디오, 실물투시기가 제공되는 이때, 전통적인 교수방법은 매체를 이용한 효율적이고 재미있는 수업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WBI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습자, 학습내용, 교수매체, 학습환경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특히 교수매체와 학습환경이 매우 중시된다. 왜냐하면 웹을 이용한 교수매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가상의 교실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웹을 활용한 수업모형은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교수매체의 제작단계인 <분석-설계-제작-평가-활용>을 응용하고 웹의 특징인 수정보완의 용이성을 살려 <분석-설계-제작-평가활용-업그레이드>단계에 따른 모형제작을 제안한다.
분석 -- 교육적 필요분석
학습자의 특성파악
환경분석 :
설계 -- 매체선택 : 웹(브라우즈)
내용구성 : 사이버강의실 명칭(함께하는 국어교실)
교과학습
수업게시판
자가진단방
과제제출방
자유토론방
채팅룸
참고자료실
검색엔진
담당교사 홈페이지
수업설계 구상 : 실제 수업활용과 연계, 수준별 코오스웨어
제작 -- 사이버강의실 그래픽 디자인
교과 내용의 하이터텍스트화
멀티미디어 자료의 엔코딩
plug-in 프로그램 구입 및 제작
담당교사 게시판 cgi 스크립트 제작
자가진단방 cgi 스크립트 제작
과제물 제출방 cgi 스크립트 제작
토론방 cgi 스크립트 제작
채팅룸 cgi 스크립트 제작
형성평가 cgi 스크립트 제작
단원 관련 사이트 링크
검색엔진 링트
HTML tag 붙이기
평가활용 -- 제작된 WBI의 평가 및 수정, 현장교육에 적용
업그레이드 -- 필요시 언제나 수정.
1. ≪분석 단계≫ : 교육적 필요분석, 학습자의 특성파악, 환경분석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1) 교육적 필요분석 : WBI를 수업에 적용했을 때 예견될 수 있는 수업효과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동기화를 분석한다.
2) 학습자의 특성파악 : 매체를 활용한 학습자에 대한 흥미도를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다.
3) 환경분석 : 웹서버와 멀티미디어교실이 구축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2. ≪설계 단계≫ : WBI제작의 청사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매체선택, 내용구성, 수업설계로 나누어 구상한다.
1) 매체 : 웹으로 정하고 필요한 브라우즈Browser를 선택한다.
2) 내용구성 : 실용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수업게시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할 내용이나 과제부여 등을 게시하도록 고안한다.
[자가진단방]은 학습자의 학습전 수준과 학습후의 성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한다.
[과제물제출방]은 학습자가 E-mail을 사용하지 않고 웹상에서 바로 관련자료를 업로드Upload할 수 있게 cgi스크립트를 이용해 제작한다.
[자유토론방]은 교사는 물론 학생들이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적을 수 있게 cgi스크립트를 이용해 제작한다.
[채팅룸]은 학생들끼리 인터넷 채팅을 즐길 수 있게 설계한다. 만약 수업분위기의 개선을 위해 교사-학생이 정해진 시간에 입장하여 가정에서 혹은 멀티미디어교실에서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토론한다면 또다른 학습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는 푸쉬push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서버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의 접근이 적은 시간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자료실]은 수업과 관련되는 자료파일이나 관련 사이트를 교사가 미리 링크해 놓고 학생들로 하여금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다.
[검색엔진]은 국내외 검색엔진을 한 곳에 모아 학생들이 편리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게 마련
[담당교사 홈페이지]는 교사의 개인 홈페이지이다. 이곳에는 교사의 교육관, 학급운영방침, 좌우명,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과 같은 다소 딱딱한 내용과 함께 개인적인 취미, 가족소개 등을 곁들여 학생들이 담당교사에 대해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다.
가능한 내용구성의 항목은 공식적 어투보다는 재미있고 친밀감이 드는 용어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수업게시판>→<학생에게 고함>, <과제제출방>→<숙제는 하기싫어>, <자유토론방>→<묻고 답하기>, <채팅룸>→<이바구 저바구>, <참고자료실>→<보물창고>, <검색엔진> →<등대지기>, <담당교사 홈페이지>→<선생님방 훔쳐보기>로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수업설계 구상 : 내용구성에서 짜놓은 계열화를 수준별 코오스웨어 기법을 이용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거나, 실제 수업적용 시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짠다.
3. ≪제작 단계≫ : ≪설계≫ 부분의 구상을 실제적인 작업을 통해 시각화하는 부분이다. 원칙적으로는 교수설계자가 만든 청사진에 따라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가 그래픽 디자인,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자료 엔코딩, cgi스크립트 제작, Java스크립트, HTML tag 붙이기 등을 해야한다. 그러나 WBI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자신의 강의실을 꾸미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굳이 비싼 경비를 지불하면서 제 3자에게 위탁할 필요는 없다.
1) 초기문서 작성 : 초기문서를 index.htm 이름으로 작성한 뒤 서버에 http-docs디펙토리 밑에 둔다.(서버의 환경에 따라 public_docs와 같이 다양한 이름이 있을 수 있다.)
2) 그래픽 디자인 : 사이버강의실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그래픽에 의한 시각화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초기화면은 강의실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 하고, 가능하면 이미지맵image map을 사용하여 다음 문서와 연결시킨다. 이때 초기화면에 프래임을 설치할 것인지의 유무를 결정하여 화면을 분할한다. 그래픽 툴로는 2D를 지원하는 포토
Ⅳ. WBI 모형 개발
수업설계는 특정의 학습내용과 특정의 학습자가 주어졌을 때, 학습자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최적의 교수방법이 무엇인가를 결정해 나가는 과정이다. 교실마다 컴퓨터와 프로젝트 텔레비젼, 비디오, 실물투시기가 제공되는 이때, 전통적인 교수방법은 매체를 이용한 효율적이고 재미있는 수업으로 바뀌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WBI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교사, 학습자, 학습내용, 교수매체, 학습환경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하는데 특히 교수매체와 학습환경이 매우 중시된다. 왜냐하면 웹을 이용한 교수매체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사이버공간에 가상의 교실이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웹을 활용한 수업모형은 아직 개발된 것이 없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교수매체의 제작단계인 <분석-설계-제작-평가-활용>을 응용하고 웹의 특징인 수정보완의 용이성을 살려 <분석-설계-제작-평가활용-업그레이드>단계에 따른 모형제작을 제안한다.
분석 -- 교육적 필요분석
학습자의 특성파악
환경분석 :
설계 -- 매체선택 : 웹(브라우즈)
내용구성 : 사이버강의실 명칭(함께하는 국어교실)
교과학습
수업게시판
자가진단방
과제제출방
자유토론방
채팅룸
참고자료실
검색엔진
담당교사 홈페이지
수업설계 구상 : 실제 수업활용과 연계, 수준별 코오스웨어
제작 -- 사이버강의실 그래픽 디자인
교과 내용의 하이터텍스트화
멀티미디어 자료의 엔코딩
plug-in 프로그램 구입 및 제작
담당교사 게시판 cgi 스크립트 제작
자가진단방 cgi 스크립트 제작
과제물 제출방 cgi 스크립트 제작
토론방 cgi 스크립트 제작
채팅룸 cgi 스크립트 제작
형성평가 cgi 스크립트 제작
단원 관련 사이트 링크
검색엔진 링트
HTML tag 붙이기
평가활용 -- 제작된 WBI의 평가 및 수정, 현장교육에 적용
업그레이드 -- 필요시 언제나 수정.
1. ≪분석 단계≫ : 교육적 필요분석, 학습자의 특성파악, 환경분석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1) 교육적 필요분석 : WBI를 수업에 적용했을 때 예견될 수 있는 수업효과와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동기화를 분석한다.
2) 학습자의 특성파악 : 매체를 활용한 학습자에 대한 흥미도를 미리 파악할 필요가 있다.
3) 환경분석 : 웹서버와 멀티미디어교실이 구축되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2. ≪설계 단계≫ : WBI제작의 청사진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매체선택, 내용구성, 수업설계로 나누어 구상한다.
1) 매체 : 웹으로 정하고 필요한 브라우즈Browser를 선택한다.
2) 내용구성 : 실용적인 면과 심미적인 면으로 나누어 검토한다.
[수업게시판]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할 내용이나 과제부여 등을 게시하도록 고안한다.
[자가진단방]은 학습자의 학습전 수준과 학습후의 성취도를 확인할 수 있도록 고안한다.
[과제물제출방]은 학습자가 E-mail을 사용하지 않고 웹상에서 바로 관련자료를 업로드Upload할 수 있게 cgi스크립트를 이용해 제작한다.
[자유토론방]은 교사는 물론 학생들이 주제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적을 수 있게 cgi스크립트를 이용해 제작한다.
[채팅룸]은 학생들끼리 인터넷 채팅을 즐길 수 있게 설계한다. 만약 수업분위기의 개선을 위해 교사-학생이 정해진 시간에 입장하여 가정에서 혹은 멀티미디어교실에서 정해진 주제를 가지고 토론한다면 또다른 학습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이는 푸쉬push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서버에 많은 부하를 줄 수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의 접근이 적은 시간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참고자료실]은 수업과 관련되는 자료파일이나 관련 사이트를 교사가 미리 링크해 놓고 학생들로 하여금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한다.
[검색엔진]은 국내외 검색엔진을 한 곳에 모아 학생들이 편리하게 정보검색을 할 수 있게 마련
[담당교사 홈페이지]는 교사의 개인 홈페이지이다. 이곳에는 교사의 교육관, 학급운영방침, 좌우명, 학생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과 같은 다소 딱딱한 내용과 함께 개인적인 취미, 가족소개 등을 곁들여 학생들이 담당교사에 대해 친밀감을 느낄 수 있게 구성한다.
가능한 내용구성의 항목은 공식적 어투보다는 재미있고 친밀감이 드는 용어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수업게시판>→<학생에게 고함>, <과제제출방>→<숙제는 하기싫어>, <자유토론방>→<묻고 답하기>, <채팅룸>→<이바구 저바구>, <참고자료실>→<보물창고>, <검색엔진> →<등대지기>, <담당교사 홈페이지>→<선생님방 훔쳐보기>로 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수업설계 구상 : 내용구성에서 짜놓은 계열화를 수준별 코오스웨어 기법을 이용해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거나, 실제 수업적용 시에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계획을 짠다.
3. ≪제작 단계≫ : ≪설계≫ 부분의 구상을 실제적인 작업을 통해 시각화하는 부분이다. 원칙적으로는 교수설계자가 만든 청사진에 따라 디자이너나 프로그래머가 그래픽 디자인,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자료 엔코딩, cgi스크립트 제작, Java스크립트, HTML tag 붙이기 등을 해야한다. 그러나 WBI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직접 자신의 강의실을 꾸미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굳이 비싼 경비를 지불하면서 제 3자에게 위탁할 필요는 없다.
1) 초기문서 작성 : 초기문서를 index.htm 이름으로 작성한 뒤 서버에 http-docs디펙토리 밑에 둔다.(서버의 환경에 따라 public_docs와 같이 다양한 이름이 있을 수 있다.)
2) 그래픽 디자인 : 사이버강의실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구현된다는 점에서 그래픽에 의한 시각화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초기화면은 강의실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디자인되어야 하고, 가능하면 이미지맵image map을 사용하여 다음 문서와 연결시킨다. 이때 초기화면에 프래임을 설치할 것인지의 유무를 결정하여 화면을 분할한다. 그래픽 툴로는 2D를 지원하는 포토
추천자료
교수 매체 활용
교수 매체 이해와 선정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수-학습 매체 활용 현황 및 유아들이 선호하는 교수 매체에 관한 연구
교수 매체의 개념, 교수 매체의 선정, 미디어 교육
교수 매체의 제작과 활용
강의식 교수기법(강의식 수업) 개념, 강의식 교수기법(강의식 수업) 특징, 강의식 교수기법(...
몬테소리PPT자료[교수매체제작및활용]
[교수매체제작및활용] 몬테소리 일생, 이론, 교육방법, 교구, 현재적의미
[교육공학]교수학습 매체
교수학습 상황, 특히 원격교육에서의 매체의 역할과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매체의 선정 ...
평생교육방법론-가상의 학습자, 기관, 학습 주제 등을 설정하고 이에 알맞은 교수방법과 매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