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고대 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 사회의 형성
제2장. 고대의 정치와 그 변천
제3장. 고대의 사회와 경제
제4장. 고대 문화의 발달
제1장. 고대 사회의 형성
제2장. 고대의 정치와 그 변천
제3장. 고대의 사회와 경제
제4장. 고대 문화의 발달
본문내용
헌안왕(857-861)
48. 경문왕(861-875)
집사성의 비대화 → 왕권 제약
왕권강화 시도
-근시기구 : 중사성, 선교성
-문한기구 : 서서원, 숭문대
34. 효성왕(737-742)
35. 경덕왕(742-765)
왕권강화 시도
-중시→시중(747)
-유교교육강화(국학→태학; 박사교수)
-고유지명→한화(주군현)
한계 : 녹읍부활(757) → 관료전 폐지
석굴암, 불국사
49. 헌강왕(875-886)
50. 정강왕(886-887)
51. 진성여왕(-897)
전국적인 농민반란
52. 효공왕(897-912)
36. 혜공왕(765-780)
중대 5묘제(미추태종문무성덕경덕)
대공의난(768)→반왕파대두(김양상)
→김지정반란(780):혜공왕사망→김양상(선덕왕)등극
53. 신덕왕(912-917)
<박씨 3왕>
견훤에게 피살
54. 경명왕(917-924)
55. 경애왕(924-927)
고려에 투항
56. 경순왕(927-935)
3.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정치
6두품
녹진, 왕거인, 최치원 등 → 골품제 모순 인식 → 호족과 결탁 → 고려 개국에 참여
지방호족
통일 후 농업생산력의 증대 → 지방 경제력 상승
토착 촌주
대토지 집적 → 성군대 보유 → 성주장군
낙향 귀족
청주호족, 충주호족, 김해호족(김인광), 명주호족(김순식)
군진 세력
북진, 패강진, 청해진, 당성진, 혈구진
대외 무역
송악 작제건, 강주 왕봉규, 김해 이언모, 나주, 정주
지방군사력
견훤
초적 규합
기훤, 양길, 궁예
경제
경제체제 붕괴 →수취체제 문란 → 농촌경제 붕괴 →농민 반란
-면세전 확대, 녹읍 부활
-대토지 사유화 : 귀족, 사원
사상
유불선의 통합 →유불선풍수지리의 복합 : 최치원 4산비명, 훈요10조
불교
교종 : 화엄법상종 지속
선종 : 중심적 위치, 호족과 연합 →고려건국에 역할
말법사상, 미륵신앙 →궁예
도교
진골의 사치, 향락에 대한 반발 → 현실도피적
유교
정치이념으로서 대두, 아직 학문적 성숙(x)
농민반란
혜공왕
태후의 섭정 → 정치기강 해이 →반왕파 대두 ...
헌덕왕
서부지역 기근
-해적 (당왜) → 장보고 성장 배경
-초적 : 고달산적 수신 → 김범문의 난 가담
진성여왕
대토지 집적, 면제전 확대 →과도한 수취체제 → 전면적 농민 항쟁
4. 후삼국의 성립
후백제 (900 - 936)
후고구려 (901 - 904)
무진주(광주) 점령(889) → 완산주(전주)에 도읍(900)
호족 포섭에 실패 : 신라에 적대적, 경애왕 살해(927)
외교활동 : 오월, 후당, 거란, 왜
북진패강진 군진세력 규합 → ‘송악’
마진 (무태.904 - 911)
→ 철원(905), 무태→성책
태봉 (수덕만세.911 - 917)
수덕만세→정개(914)
광평성 - 병부대룡부(창부)수춘부(예부)봉빈부의형대(형부)원봉성
관제 : 9관등
대야성 함락(920) → 경주 공격(927) : 대구 공산전투 승리
고창전투 패배(930)
고려 (917)
대구 공산전투(927) : 대패
935, 경순왕 귀부
936, 견훤 탈출, 박영규 투항, 선산 일리산전투, 황산전투
제4절. 발해의 시대사
1. 발해 역사의 개관
1. 고왕 (대조영, 698-719, 천통)
고구려인
구당서, 신라고기, 제왕운기, 고려사
말갈수령
신당서, 통전
건국(698) : 중경 (동모산 → 영승유적)
진(698) → 발해(713)
2. 무왕 (대무예, 719-737, 인안)
북만주 장악 → 당, 흑수부 설치, 대문예 망명
당 견제 : 일본(727)-돌궐, 등주 공격(장문휴)
당의 대응 : 당-신라(733), 대문예의 공격
3. 문왕 (대흠무, 737-793, 대흥)
요동으로 영토 확장 (←당 안사의난)
- 중경(영승유적→현덕부) → 상경 용천부 → 동경 용원부
유신단행 : 황제, 전륜성왕
당과 국교수립 : 대당 유학생, 무역
주자감 설치
신라도 개설
5. 성왕 (대화여, 794-795, 중흥)
→ 상경 환도
10. 선왕 (대인수, 818-830, 건흥)
- 해동성국
대외 팽창
-송화강 유역, 말갈 모두 복속
-요하 진출, 요동 지배권 획득
-소고구려 편입
행정조직 정비
-5경 15부 62주
15. 애왕 (-926, 거란에 멸망)
거란 태조 공격(925.12) →멸망(926.1.14) → 동란국 설치
부흥운동
200여년 간 (정안국후발해국오사국흥요국대발해국)
발해사 인식
신라
양면적 (고구려/말갈)
고려
초기
고구려→발해→고려
서긍(고려도경)
후기
제외
삼국사기 : 제외
삼국유사 : 말갈족
조선
초기
동국통감 : 신라의 이웃국
후기
부정적
고구려 영토 상실
한백겸(동국지리지) 허목(동사) 안정복(동사강목)
적극적
적극적 편입
신경준(강계고동국문헌비고) 이긍익(연려실기술)
신라와 대등
이종휘(동사; 기전체최초) 홍석주(동사세가) 한치윤(해동역사)
남북국으로 표현
유득공(발해고) 김정호(대동지지)
한말
유적발굴(신채호, 장지연), 남북국답사(안확, 권덕규, 장도빈)
2. 발해의 정치사회
대외관계
당
대립 → 평화교류(문왕)
왜
신라 견제 위해 → 끝까지 우호
신라
친선
사신파견, 거란 공격(711)에 반응, 신라도
대립
당의 분열정책, 신라의 보수적 지배층, 신라-고구려간 적대감
통치구조
3성
정당성(상서성),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서성)
6부
충(이), 인(호), 인(예), 지(병), 예(형), 신(공)
7시
전중시(국왕), 종속시(왕족), 태상시(제사음악), 사빈시(사절), 사장시(무역재무), 사선시(주례선식), 대농시(창고)
-
중정대(어사대), 문적원(비서성), 주자감(국자감), 항백국(후궁환관)
지방제도
5경
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
15부(절도사도독) → 62주(자사) → 군현(현승) → 촌(촌장; 토착말갈인)
5道
영주도조공도, 신라도, 일본도, 거란도
군사제도
중앙
10위 - 좌우맹분위, 좌우웅위, 좌우비위, 남좌우위, 북좌우위
지방
절충부 (국민개병제)
사회계층
지배층
우성망족
大씨, 고장양두오이
→ 공후백자남
일반귀족
49개 성씨
1 ~ 9등급 관등
피지배층
무성(無性)농민, 말갈(대부분)
경제
산업
밭농사, 금속가공(철구리), 직물업, 도자기(삼채색, 가볍고 광택), 어업(숭어문어대게고래), 목축(솔빈부; 말)
무역
대
48. 경문왕(861-875)
집사성의 비대화 → 왕권 제약
왕권강화 시도
-근시기구 : 중사성, 선교성
-문한기구 : 서서원, 숭문대
34. 효성왕(737-742)
35. 경덕왕(742-765)
왕권강화 시도
-중시→시중(747)
-유교교육강화(국학→태학; 박사교수)
-고유지명→한화(주군현)
한계 : 녹읍부활(757) → 관료전 폐지
석굴암, 불국사
49. 헌강왕(875-886)
50. 정강왕(886-887)
51. 진성여왕(-897)
전국적인 농민반란
52. 효공왕(897-912)
36. 혜공왕(765-780)
중대 5묘제(미추태종문무성덕경덕)
대공의난(768)→반왕파대두(김양상)
→김지정반란(780):혜공왕사망→김양상(선덕왕)등극
53. 신덕왕(912-917)
<박씨 3왕>
견훤에게 피살
54. 경명왕(917-924)
55. 경애왕(924-927)
고려에 투항
56. 경순왕(927-935)
3.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정치
6두품
녹진, 왕거인, 최치원 등 → 골품제 모순 인식 → 호족과 결탁 → 고려 개국에 참여
지방호족
통일 후 농업생산력의 증대 → 지방 경제력 상승
토착 촌주
대토지 집적 → 성군대 보유 → 성주장군
낙향 귀족
청주호족, 충주호족, 김해호족(김인광), 명주호족(김순식)
군진 세력
북진, 패강진, 청해진, 당성진, 혈구진
대외 무역
송악 작제건, 강주 왕봉규, 김해 이언모, 나주, 정주
지방군사력
견훤
초적 규합
기훤, 양길, 궁예
경제
경제체제 붕괴 →수취체제 문란 → 농촌경제 붕괴 →농민 반란
-면세전 확대, 녹읍 부활
-대토지 사유화 : 귀족, 사원
사상
유불선의 통합 →유불선풍수지리의 복합 : 최치원 4산비명, 훈요10조
불교
교종 : 화엄법상종 지속
선종 : 중심적 위치, 호족과 연합 →고려건국에 역할
말법사상, 미륵신앙 →궁예
도교
진골의 사치, 향락에 대한 반발 → 현실도피적
유교
정치이념으로서 대두, 아직 학문적 성숙(x)
농민반란
혜공왕
태후의 섭정 → 정치기강 해이 →반왕파 대두 ...
헌덕왕
서부지역 기근
-해적 (당왜) → 장보고 성장 배경
-초적 : 고달산적 수신 → 김범문의 난 가담
진성여왕
대토지 집적, 면제전 확대 →과도한 수취체제 → 전면적 농민 항쟁
4. 후삼국의 성립
후백제 (900 - 936)
후고구려 (901 - 904)
무진주(광주) 점령(889) → 완산주(전주)에 도읍(900)
호족 포섭에 실패 : 신라에 적대적, 경애왕 살해(927)
외교활동 : 오월, 후당, 거란, 왜
북진패강진 군진세력 규합 → ‘송악’
마진 (무태.904 - 911)
→ 철원(905), 무태→성책
태봉 (수덕만세.911 - 917)
수덕만세→정개(914)
광평성 - 병부대룡부(창부)수춘부(예부)봉빈부의형대(형부)원봉성
관제 : 9관등
대야성 함락(920) → 경주 공격(927) : 대구 공산전투 승리
고창전투 패배(930)
고려 (917)
대구 공산전투(927) : 대패
935, 경순왕 귀부
936, 견훤 탈출, 박영규 투항, 선산 일리산전투, 황산전투
제4절. 발해의 시대사
1. 발해 역사의 개관
1. 고왕 (대조영, 698-719, 천통)
고구려인
구당서, 신라고기, 제왕운기, 고려사
말갈수령
신당서, 통전
건국(698) : 중경 (동모산 → 영승유적)
진(698) → 발해(713)
2. 무왕 (대무예, 719-737, 인안)
북만주 장악 → 당, 흑수부 설치, 대문예 망명
당 견제 : 일본(727)-돌궐, 등주 공격(장문휴)
당의 대응 : 당-신라(733), 대문예의 공격
3. 문왕 (대흠무, 737-793, 대흥)
요동으로 영토 확장 (←당 안사의난)
- 중경(영승유적→현덕부) → 상경 용천부 → 동경 용원부
유신단행 : 황제, 전륜성왕
당과 국교수립 : 대당 유학생, 무역
주자감 설치
신라도 개설
5. 성왕 (대화여, 794-795, 중흥)
→ 상경 환도
10. 선왕 (대인수, 818-830, 건흥)
- 해동성국
대외 팽창
-송화강 유역, 말갈 모두 복속
-요하 진출, 요동 지배권 획득
-소고구려 편입
행정조직 정비
-5경 15부 62주
15. 애왕 (-926, 거란에 멸망)
거란 태조 공격(925.12) →멸망(926.1.14) → 동란국 설치
부흥운동
200여년 간 (정안국후발해국오사국흥요국대발해국)
발해사 인식
신라
양면적 (고구려/말갈)
고려
초기
고구려→발해→고려
서긍(고려도경)
후기
제외
삼국사기 : 제외
삼국유사 : 말갈족
조선
초기
동국통감 : 신라의 이웃국
후기
부정적
고구려 영토 상실
한백겸(동국지리지) 허목(동사) 안정복(동사강목)
적극적
적극적 편입
신경준(강계고동국문헌비고) 이긍익(연려실기술)
신라와 대등
이종휘(동사; 기전체최초) 홍석주(동사세가) 한치윤(해동역사)
남북국으로 표현
유득공(발해고) 김정호(대동지지)
한말
유적발굴(신채호, 장지연), 남북국답사(안확, 권덕규, 장도빈)
2. 발해의 정치사회
대외관계
당
대립 → 평화교류(문왕)
왜
신라 견제 위해 → 끝까지 우호
신라
친선
사신파견, 거란 공격(711)에 반응, 신라도
대립
당의 분열정책, 신라의 보수적 지배층, 신라-고구려간 적대감
통치구조
3성
정당성(상서성), 선조성(문하성), 중대성(중서성)
6부
충(이), 인(호), 인(예), 지(병), 예(형), 신(공)
7시
전중시(국왕), 종속시(왕족), 태상시(제사음악), 사빈시(사절), 사장시(무역재무), 사선시(주례선식), 대농시(창고)
-
중정대(어사대), 문적원(비서성), 주자감(국자감), 항백국(후궁환관)
지방제도
5경
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
15부(절도사도독) → 62주(자사) → 군현(현승) → 촌(촌장; 토착말갈인)
5道
영주도조공도, 신라도, 일본도, 거란도
군사제도
중앙
10위 - 좌우맹분위, 좌우웅위, 좌우비위, 남좌우위, 북좌우위
지방
절충부 (국민개병제)
사회계층
지배층
우성망족
大씨, 고장양두오이
→ 공후백자남
일반귀족
49개 성씨
1 ~ 9등급 관등
피지배층
무성(無性)농민, 말갈(대부분)
경제
산업
밭농사, 금속가공(철구리), 직물업, 도자기(삼채색, 가볍고 광택), 어업(숭어문어대게고래), 목축(솔빈부; 말)
무역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