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목차
Ⅰ. 단원명
Ⅱ. 단원연구
1. 단원의 개관
2. 학습계열
3. 단원의 학습목표
4. 이원분류표
Ⅲ. 단원의 지도 계획
1. 학습의 지도계획
2. 평가 목표의 상세화
3. 지도상의 유의점
Ⅳ. 교재연구
1. 학습과제 분석
2. 학습위계분석
3. 개념도
4. Gowin의 Vee Diagram
5. 용어 및 개념
6. 학습내용
7. 오개념 가능성이 있는 것
8. 학습내용에 따른 탐구요소
9. 학습내용과 실생활(STS)과의 관계
10. 문제해결
11. 미해결 과제
12. 읽을 거리
13. 과학자 소개
14. 평가 문항개발
Ⅴ. 순환학습 모형에 따른 본시학습 지도 계획
1. 학습모형의 선택과 선택이유
2. 소단원의 개념도
3. 본시학습 지도안
4. 지도내용 요약 정리
5. 실험 보고서
Ⅵ. 참고 문헌
Ⅱ. 단원연구
1. 단원의 개관
2. 학습계열
3. 단원의 학습목표
4. 이원분류표
Ⅲ. 단원의 지도 계획
1. 학습의 지도계획
2. 평가 목표의 상세화
3. 지도상의 유의점
Ⅳ. 교재연구
1. 학습과제 분석
2. 학습위계분석
3. 개념도
4. Gowin의 Vee Diagram
5. 용어 및 개념
6. 학습내용
7. 오개념 가능성이 있는 것
8. 학습내용에 따른 탐구요소
9. 학습내용과 실생활(STS)과의 관계
10. 문제해결
11. 미해결 과제
12. 읽을 거리
13. 과학자 소개
14. 평가 문항개발
Ⅴ. 순환학습 모형에 따른 본시학습 지도 계획
1. 학습모형의 선택과 선택이유
2. 소단원의 개념도
3. 본시학습 지도안
4. 지도내용 요약 정리
5. 실험 보고서
Ⅵ. 참고 문헌
본문내용
은 대표적인 업체이다. 전력 사정이 빠듯한 데 전기 사용량이 폭증하자 과부하로 변압기가 타 버리는 사고가 빈발하면서 한전의 변압기 발주량이 폭주하였다. 지난 27일까지의 발주량이 이미 지난해 연간 발주량인 5만 6천 대보다 훨씬 많은 6만 7천대를 기록하였다. D, J 등 23 개 변압기 업체가 최대로 가동하느라 즐거운 비명을 질렀다.
S, G, D 등 에어컨 업계는 80년만의 무더위인 올 여름 기상을 전혀 예측하지 못해 실무자들이 땅을 티고 후회했다는 후문이 전해 오고 있다. 에어컨은 무더위가 절정으로 치닫던 지난 달 15일 이전에 품절 되었는데, 각 회사는 부품 등 생산 준비를 미리 갖추지 못해 주문이 빗발쳐도 속수 무책이었다. 반면에 일기 예보를 잘 활용한 M사는 3천 대를 추가 생산해 재미를 보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일부 업체는 기상 예측 전담 팀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한편, 더위를 피해 카 에어컨을 쐬며 서늘한 곳을 찾아다니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자동차 판매량도 증가했다. 서울의 J중고차 시장에서는 지난 달 말부터 하루 거래량이 평소의 2배로 늘어났다고 한다.
이와같이 날씨는 경제 산업뿐만 아니라 농업, 상업, 공업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중에서도 농업은 날씨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가뭄과 홍수로 농작물이 말라 죽거나 침수되고, 저온 현상으로 농작물의 성장이 억제된다. 또한 파종이나 모내기 등 농사 일정이 날씨의 변화에 따라 좌우되기도 한다.
상업에 있어서 기온변화는 민감한 청량 음료, 냉난방기, 의복 등의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업에 있어서도 무더위는 근로자의 생산의욕을 저하시켜 불량품이 많게 하고 홍수나 폭설은 건축, 토목 공사를 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에어컨, 선풍기 등의 생산량 결정에도 영향을 준다.
이렇듯 날씨는 우리생활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미리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많은 이득이 따를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가정의 주요행사(결혼, 이사, 여행 등)의 계획, 혹한이 예상되는 경우 장독이나 수도를 싸서 동파 예방, 외출시 웃나, 우비를 준비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10. 문제해결
무심코 하늘을 보니 높은 곳에 면사포를 씌운 듯한 엷은 횐색 구름이 달을 가리고 테를 두른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나더니 얼마후에 비가 내렸다. 왜 그럴까?
해결) 햇빛이 그름을 이루는 얼음 알갱이 속으로 들어가 내부에서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햇무리나 달무리가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온난 전선이 다가온다는 증거이다 온난전선면이란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위로 비스듬히 서서히 상승할때 두 공기 사이에 생기는 경계면인데, 이 경계면에서는 높은 구름 즉 권층운부터 시작해서 점차 낮은 구름이 생기고 결국은 비구름(난층운)까지 생긴다. 따라서 높은 하늘에 권층운이 나타나고 햇무리나 달무리가 생기면 얼마 후에 비구름이 다가와 비를 내린다.
한편 무지개는 햇빛이 물방울 속을 지나면서 굴절하고 반사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햇빛이 물방울 속으로 들어가 반사하면 여러 가지 색깔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이 우리눈에 무지개로 보이는 것이다. ‘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이고 저녁 무지개는 맑을 징조’라는 말이 있는데, 무지개는 항상 햇빛 반대쪽에 생기고 날씨가 서에서 동으로 변해가기 때문이다.
11. 미해결 과제
지구 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후 변화에 대한 예방책으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 기체의 방출 억제 및 규제
↓
화석연료의 사용억제, 프레온 가스의 사용억제, 산업 활동 및 자동차의 배기 가스 등에 의한 오염 방지
↓
인류의 에너지 수급, 에너지 종류의 선정과 대체 에너지의 개발, 대체 물질 내지 산물질의 개발, 산업 구조의 변화에 수반되는 어려움.
1963년 1월 200년만에 유럽과 미국을 휩쓴 한파가 있었고,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쪽 지방에 1960년대 말부터 10년 이상 가뭄이 계속된 적도 있었다.
또 1982~1983년에 걸쳐 남미쪽에는 엄청난 폭우가 내렸고, 호주와 남아프리카에서는 역사상 최악의 가뭄이 계속되는 현상도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72년 여름의 무더위와 겨울의 한파, 1980년 여름의 이상 저온, 그리고 1994년 여름의 가뭄과 무더위 현상 등이 있었다.
특히 1994년 여름의 가뭄과 무더위 현상은 우리나라에만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 일본에서도 장마 기간이 극히 짧고 강우량이 적어서 많은 지역에서 제한 급수와 물 배급이 실시되었고, 중국 북부 지역도 극심한 가뭄으로 시달렸다. 또 인도에서도 가뭄과 함께 50년 만의 무더위가 닥쳐 260여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이상 기상 현상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지구상의 기압 배치의 이상 변동, 극지방의 얼음 면적의 변화, 대규모의 화산 분출, 동태평양 적도 근처 해수 온도의 상승(엘니뇨 현상), 화석 연료의 과다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 그리고 삼림 벌채나 공장주택 단지 개발에 따른 먼지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12. 읽을거리
◈ 도플러 레이더 ◈
태풍은 종종 1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사이에 크게 발달하여, 수분 안에 생명과 재산을 파괴하는 경우가 있다. 지사에서 기상 관측을 하는 사람들은 태풍이 도착하기 약 2분 전 정도에서 겨우 사람들에게 경고할 수 있다. 하지만, 도플러 레이더는 태풍을 약 20분전에 찾아낼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는 푹풍의 세기와 위치 그리고 바람의 속도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찾아낸다.
이러한 도플러 레이더는 계속 반복적으로 전파 펄스를 여러 방향으로 보내어 거의 160km 떨어져 있는 태풍으로부터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즉, 빗방울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고 폭풍우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감지해 낸다. 레이더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니는 빗방울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들ㅇ느 압축되어 보다 높은 주파수로 변동한다. 반면에, 레이더에서부터 멀러지는 빗방울에서 반사되는 전파는 점점 길어지고 낮은 주파수로 변동해 간다. 이렇나 주파수의 차이는 도플러 레이더의 스크린에 색깔로 나타나게 된다. 밝은 녹색은 레이더 가까이로 오는 바람을 나타내고,
S, G, D 등 에어컨 업계는 80년만의 무더위인 올 여름 기상을 전혀 예측하지 못해 실무자들이 땅을 티고 후회했다는 후문이 전해 오고 있다. 에어컨은 무더위가 절정으로 치닫던 지난 달 15일 이전에 품절 되었는데, 각 회사는 부품 등 생산 준비를 미리 갖추지 못해 주문이 빗발쳐도 속수 무책이었다. 반면에 일기 예보를 잘 활용한 M사는 3천 대를 추가 생산해 재미를 보기도 하였다. 이 때문에 일부 업체는 기상 예측 전담 팀을 신설하기도 하였다.
한편, 더위를 피해 카 에어컨을 쐬며 서늘한 곳을 찾아다니려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자동차 판매량도 증가했다. 서울의 J중고차 시장에서는 지난 달 말부터 하루 거래량이 평소의 2배로 늘어났다고 한다.
이와같이 날씨는 경제 산업뿐만 아니라 농업, 상업, 공업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이중에서도 농업은 날씨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가뭄과 홍수로 농작물이 말라 죽거나 침수되고, 저온 현상으로 농작물의 성장이 억제된다. 또한 파종이나 모내기 등 농사 일정이 날씨의 변화에 따라 좌우되기도 한다.
상업에 있어서 기온변화는 민감한 청량 음료, 냉난방기, 의복 등의 판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공업에 있어서도 무더위는 근로자의 생산의욕을 저하시켜 불량품이 많게 하고 홍수나 폭설은 건축, 토목 공사를 하지 못하게 한다. 또한 에어컨, 선풍기 등의 생산량 결정에도 영향을 준다.
이렇듯 날씨는 우리생활의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므로 미리 날씨를 예측할 수 있다면 우리에게 많은 이득이 따를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구체적인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가정의 주요행사(결혼, 이사, 여행 등)의 계획, 혹한이 예상되는 경우 장독이나 수도를 싸서 동파 예방, 외출시 웃나, 우비를 준비하는 것 등이 그것이다.
10. 문제해결
무심코 하늘을 보니 높은 곳에 면사포를 씌운 듯한 엷은 횐색 구름이 달을 가리고 테를 두른 것 같은 현상이 나타나더니 얼마후에 비가 내렸다. 왜 그럴까?
해결) 햇빛이 그름을 이루는 얼음 알갱이 속으로 들어가 내부에서 반사가 일어나기 때문에 햇무리나 달무리가 생기는 것이다. 이것은 온난 전선이 다가온다는 증거이다 온난전선면이란 따뜻한 공기가 찬공기위로 비스듬히 서서히 상승할때 두 공기 사이에 생기는 경계면인데, 이 경계면에서는 높은 구름 즉 권층운부터 시작해서 점차 낮은 구름이 생기고 결국은 비구름(난층운)까지 생긴다. 따라서 높은 하늘에 권층운이 나타나고 햇무리나 달무리가 생기면 얼마 후에 비구름이 다가와 비를 내린다.
한편 무지개는 햇빛이 물방울 속을 지나면서 굴절하고 반사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햇빛이 물방울 속으로 들어가 반사하면 여러 가지 색깔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이 우리눈에 무지개로 보이는 것이다. ‘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이고 저녁 무지개는 맑을 징조’라는 말이 있는데, 무지개는 항상 햇빛 반대쪽에 생기고 날씨가 서에서 동으로 변해가기 때문이다.
11. 미해결 과제
지구 온난화와 이에 따른 기후 변화에 대한 예방책으로 이산화탄소를 비롯한 온실 기체의 방출 억제 및 규제
↓
화석연료의 사용억제, 프레온 가스의 사용억제, 산업 활동 및 자동차의 배기 가스 등에 의한 오염 방지
↓
인류의 에너지 수급, 에너지 종류의 선정과 대체 에너지의 개발, 대체 물질 내지 산물질의 개발, 산업 구조의 변화에 수반되는 어려움.
1963년 1월 200년만에 유럽과 미국을 휩쓴 한파가 있었고,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쪽 지방에 1960년대 말부터 10년 이상 가뭄이 계속된 적도 있었다.
또 1982~1983년에 걸쳐 남미쪽에는 엄청난 폭우가 내렸고, 호주와 남아프리카에서는 역사상 최악의 가뭄이 계속되는 현상도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도 1972년 여름의 무더위와 겨울의 한파, 1980년 여름의 이상 저온, 그리고 1994년 여름의 가뭄과 무더위 현상 등이 있었다.
특히 1994년 여름의 가뭄과 무더위 현상은 우리나라에만 나타난 현상은 아니다. 일본에서도 장마 기간이 극히 짧고 강우량이 적어서 많은 지역에서 제한 급수와 물 배급이 실시되었고, 중국 북부 지역도 극심한 가뭄으로 시달렸다. 또 인도에서도 가뭄과 함께 50년 만의 무더위가 닥쳐 260여명이 사망하였다.
이와 같이 이상 기상 현상의 원인은 아직까지 확실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지구상의 기압 배치의 이상 변동, 극지방의 얼음 면적의 변화, 대규모의 화산 분출, 동태평양 적도 근처 해수 온도의 상승(엘니뇨 현상), 화석 연료의 과다 소비로 인한 이산화탄소의 증가, 그리고 삼림 벌채나 공장주택 단지 개발에 따른 먼지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본다.
12. 읽을거리
◈ 도플러 레이더 ◈
태풍은 종종 1시간이 채 걸리지 않는 사이에 크게 발달하여, 수분 안에 생명과 재산을 파괴하는 경우가 있다. 지사에서 기상 관측을 하는 사람들은 태풍이 도착하기 약 2분 전 정도에서 겨우 사람들에게 경고할 수 있다. 하지만, 도플러 레이더는 태풍을 약 20분전에 찾아낼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는 푹풍의 세기와 위치 그리고 바람의 속도와 방향으로 정확하게 찾아낸다.
이러한 도플러 레이더는 계속 반복적으로 전파 펄스를 여러 방향으로 보내어 거의 160km 떨어져 있는 태풍으로부터 반사된 전파를 수신한다. 즉, 빗방울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측정하고 폭풍우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감지해 낸다. 레이더가 있는 방향으로 움직니는 빗방울로부터 반사된 전파 신호들ㅇ느 압축되어 보다 높은 주파수로 변동한다. 반면에, 레이더에서부터 멀러지는 빗방울에서 반사되는 전파는 점점 길어지고 낮은 주파수로 변동해 간다. 이렇나 주파수의 차이는 도플러 레이더의 스크린에 색깔로 나타나게 된다. 밝은 녹색은 레이더 가까이로 오는 바람을 나타내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