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심혈관계질환
(1)교감신경 흥분약(Sympathomimetics)
(2)교감신경 차단약(Sympathetic blocker)
(3)부교감신경 억제약(Parasympatholytics)
(4)알카리화 약물
(5)항협심증약(Antianginal agents)
(6)항고혈압약물(Antihypertensives)
(7)항부정맥약(Antiarrhythmics)
(8)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
2.호흡기계에 사용되는 약물
①Epinephrine 1:1000
②Trubutaline(Bricanyl)
③Metaproterenol(Alupent)
④Aminophylline
⑤Atropine Sulfate
⑥Ipratropium(Atrovent)
⑦Methylprednisolone(Solu-Medrol)
⑧근신경차단약(Neuromuscular blocker)
‣Succinylcholine
‣Pancronium
‣Vecuronium(Norcuron)
3.신경계에 사용되는 약물
①Dexamethasone
②Mannitol
4.독물처치에 사용되는 약물
(1)유기인제제 중독
(2)시안화합물 중독
(3)과용
①Naloxone
②physostigmine
③Flumazenil
Ⅲ.결론
Ⅱ.본론
1.심혈관계질환
(1)교감신경 흥분약(Sympathomimetics)
(2)교감신경 차단약(Sympathetic blocker)
(3)부교감신경 억제약(Parasympatholytics)
(4)알카리화 약물
(5)항협심증약(Antianginal agents)
(6)항고혈압약물(Antihypertensives)
(7)항부정맥약(Antiarrhythmics)
(8)강심배당체(Cardiac glycoside)
2.호흡기계에 사용되는 약물
①Epinephrine 1:1000
②Trubutaline(Bricanyl)
③Metaproterenol(Alupent)
④Aminophylline
⑤Atropine Sulfate
⑥Ipratropium(Atrovent)
⑦Methylprednisolone(Solu-Medrol)
⑧근신경차단약(Neuromuscular blocker)
‣Succinylcholine
‣Pancronium
‣Vecuronium(Norcuron)
3.신경계에 사용되는 약물
①Dexamethasone
②Mannitol
4.독물처치에 사용되는 약물
(1)유기인제제 중독
(2)시안화합물 중독
(3)과용
①Naloxone
②physostigmine
③Flumazenil
Ⅲ.결론
본문내용
른 심각한 상태에서 체내에 존재하는 산을 완충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인체의 정상 pH는 7.4로 저산소증은 혈중의 pH를 현저히 떨어뜨린다.
①Sodium Bicarbonate NaHO₃
-심정지를 동반하는 대사성 산성증을 완충하기 위해 투여되며, 신체로부터 약물의 배출을 높이기 위해 소변의 pH를 알카리화 하기 위해 투여되면 주로 삼환계 항우울약의 과용, phenobarbital 과용, 과칼륨혈증, 과환기 hyperventilation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산증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체중 kg당 1mgekdfid 투여한 후 10분마다 0.5mg 당량을 투여한다. 반드시 IV bolus로만 투여해야 한다.
(5)항협심증약(Antianginal agents)
①Nitroglycerin
-심장의 작업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 확장 작용이 있는 속효성 평활근 이완제로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허혈 심근의 관류를 개선시켜 심장 통증을 약화시킨다. 투여후 통증 감소는 1~3분내에 일어나며 치료효과는 20~30분 까지 지속된다.
용법 및 용량
-0.3, 0.4, 06mg을 설하로 투여하며 필요시 3~5분마다 반복할 수 있다.
부작용
-뇌혈관이완으로 두통이 가장 일반적이고 오심, 구토, 현기증, 쇠약, 저혈압, 빈맥 등
②질산염제제
Amyl nitrate
-성인 Inhalation 0.18~0.3ml amp PRN
Isosorbide dinitrate(Isoket)
성인 2.5~10mg gid
아동 5~10mg PRN
Isosorbide mononitrate(Imdur)
성인PO:SR 30~60mg qd morning
최대 240mg/day
③β-차단액
Atenolol
Metoprolol
Propranolol
④Ca channel blocker
Amlodipine(Norvasc)
Diltiazem
Nicardipine
Isradipine
Nifedipine
Verapamil
(6)항고혈압약물(Antihypertensives)
①Nifedipine(Adalat)
-말초혈관을 둘러싼 평활근의 이완작용으로 말초혈관 저항감소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감소를 가져온다.
용법 및 용량
-10~20mg을 경구, 설하로만 투여해야 한다.
②Sodium Nitroprusside(Nitropress)
-말초동맥, 정맥을 모두 이완시키는 약물로 혈압의 신속한 저하가 필요한 고혈압 위기에 사용한다.
용법 및 용량
-50mg의 약물을 500ml의 5% D/W에 가해 100ug/ml의 희석액을 제공한다. 초회량은 0.5~10ug/kg/min이며 일반적인 용량 범위는 0.5~8.0ug/kg/min으로 정맥 점적법으로 서서히 투여해야 하며 IV bolus로 투여해서는 안된다.
③Diazoxide(Hyperstat)
-말초동맥의 혈관이완을 일으키며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모두 감소시키는 약물로 rhgufd랍 위기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1~3mg/kg 을 5~15분 간격으로 반복해 정맥 투여하며 최고 150mg/kg까지 30초간 정맥투여할 수 있고 필요시 유지량을 4~24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④Hydralazine(Alazine)
-동맥계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동맥압 감소와 말초 저항감소, 심박출량의 증가를 일으키므로 신속히 혈압을 낮추거나 임신합병증 고혈압에 이용된다.
용법 및 용량
-20~40mg을 IV bolus로 서서히 투여하며 필요시 4~8시간 후 반복 투여할 수 있다. IM도 가능하고 계속적으로 혈압과 EKG를 측정해야 하며 치료 효과는 주사후 5~10분 이내에 나타난다.
(7)항부정맥약(Antiarrhythmics)
①Lidocaine(Xylocaine)
-심실의 탈분극과 자동성을 억제해 심장조직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속발성 기외수축을 억제하고 심실성 빈맥과 심실성 기외수축으로 인한 심실세동의 치료에 이용된다.
용법 및 용량
-성인은 4.3mg/kg이며 60~90분후 반복해 근육주사할 수 있고 IV bolus양은 50~100mg으로 5분내에 반복할 수 있다. 1시간이상 200~300mg 초과할 수 없고 유지 점적률은 1~4mg/min이다.
-70세이상의 환자, 간질환, 심부전, 서맥, 전도 장애가 잇는 환자에게는 50% 감소해야 한다.
부작용
-오심, 구토, 졸음, 발작, 혼동, 서맥, 저혈압, 호흡 정지 및 심장정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②Procainamide
-심실성 부정맥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용법 및 용량
-PVC나 심실성 빈맥의 치료시 100mg을 20mg/min의 속도로 매 5분마다 투여하고 부정맥이 억제되었거나 저혈압이 계속 나타날 시 QRS Complex가 원래보다 50%이상 넓어졌을 때, 총 17mg/kg의 약물이 투여되었을 때는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유지 주입속도는 2~4mg/min이며, IV bolus로 서서히 투여한 후 유지주입법으로 수행한다.
-1g의 Procainanide를 500mg의 5% D/S에 가해 2mg/ml의 희석액을 제조해 사용한다.
③Bretylium Tosylate
-α, β아드레날린성 효과와 직접적 심근효과를 내며 Lidocaine에 불응하는 심실세동, 심실성 빈맥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5mg/kg의 용량으로 IV bolus로 투여하며 부정맥이 계속 존재시 10mg/kg의 용량을5분 간격으로 재투여할 수 있으며 총용량은 30mg/kg을 넘어서는 안된다.
④Verapamil(Isoptin)
-Ca 이온 길항약으로 혈관 평활근으 이완을 일으키고 AV node를 통한 전도를 느리게 하는 작용이 있고 Adenosine에 불응인 속박성 심실성빈맥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2~5mg을 2~3분 간격으로 정맥투여하며 PSVT가 지속되고 초회량으로 어떤 부작용이 없다면 15~30분 후 5~10mg의 반복량을투여할 수 있고 총용량은 30분에 30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⑤Phenytoin(Dilantin)
용법 및 용량
-100mg을 5분에 걸쳐 최대부하량 1000mg까지 부정맥이 사라질 때까지 정맥투여한다. 5%D/W 같은 포도당 함유 용액으로 희석해서는 안되며 생리식염수나 비당류의 결정질액으로 희서
①Sodium Bicarbonate NaHO₃
-심정지를 동반하는 대사성 산성증을 완충하기 위해 투여되며, 신체로부터 약물의 배출을 높이기 위해 소변의 pH를 알카리화 하기 위해 투여되면 주로 삼환계 항우울약의 과용, phenobarbital 과용, 과칼륨혈증, 과환기 hyperventilation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산증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체중 kg당 1mgekdfid 투여한 후 10분마다 0.5mg 당량을 투여한다. 반드시 IV bolus로만 투여해야 한다.
(5)항협심증약(Antianginal agents)
①Nitroglycerin
-심장의 작업을 감소시키고 관상동맥 확장 작용이 있는 속효성 평활근 이완제로서 관상동맥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허혈 심근의 관류를 개선시켜 심장 통증을 약화시킨다. 투여후 통증 감소는 1~3분내에 일어나며 치료효과는 20~30분 까지 지속된다.
용법 및 용량
-0.3, 0.4, 06mg을 설하로 투여하며 필요시 3~5분마다 반복할 수 있다.
부작용
-뇌혈관이완으로 두통이 가장 일반적이고 오심, 구토, 현기증, 쇠약, 저혈압, 빈맥 등
②질산염제제
Amyl nitrate
-성인 Inhalation 0.18~0.3ml amp PRN
Isosorbide dinitrate(Isoket)
성인 2.5~10mg gid
아동 5~10mg PRN
Isosorbide mononitrate(Imdur)
성인PO:SR 30~60mg qd morning
최대 240mg/day
③β-차단액
Atenolol
Metoprolol
Propranolol
④Ca channel blocker
Amlodipine(Norvasc)
Diltiazem
Nicardipine
Isradipine
Nifedipine
Verapamil
(6)항고혈압약물(Antihypertensives)
①Nifedipine(Adalat)
-말초혈관을 둘러싼 평활근의 이완작용으로 말초혈관 저항감소와 수축기 및 확장기 혈압감소를 가져온다.
용법 및 용량
-10~20mg을 경구, 설하로만 투여해야 한다.
②Sodium Nitroprusside(Nitropress)
-말초동맥, 정맥을 모두 이완시키는 약물로 혈압의 신속한 저하가 필요한 고혈압 위기에 사용한다.
용법 및 용량
-50mg의 약물을 500ml의 5% D/W에 가해 100ug/ml의 희석액을 제공한다. 초회량은 0.5~10ug/kg/min이며 일반적인 용량 범위는 0.5~8.0ug/kg/min으로 정맥 점적법으로 서서히 투여해야 하며 IV bolus로 투여해서는 안된다.
③Diazoxide(Hyperstat)
-말초동맥의 혈관이완을 일으키며 수축기, 확장기, 혈압을 모두 감소시키는 약물로 rhgufd랍 위기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1~3mg/kg 을 5~15분 간격으로 반복해 정맥 투여하며 최고 150mg/kg까지 30초간 정맥투여할 수 있고 필요시 유지량을 4~24시간 간격으로 투여할 수 있다.
④Hydralazine(Alazine)
-동맥계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켜 동맥압 감소와 말초 저항감소, 심박출량의 증가를 일으키므로 신속히 혈압을 낮추거나 임신합병증 고혈압에 이용된다.
용법 및 용량
-20~40mg을 IV bolus로 서서히 투여하며 필요시 4~8시간 후 반복 투여할 수 있다. IM도 가능하고 계속적으로 혈압과 EKG를 측정해야 하며 치료 효과는 주사후 5~10분 이내에 나타난다.
(7)항부정맥약(Antiarrhythmics)
①Lidocaine(Xylocaine)
-심실의 탈분극과 자동성을 억제해 심장조직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속발성 기외수축을 억제하고 심실성 빈맥과 심실성 기외수축으로 인한 심실세동의 치료에 이용된다.
용법 및 용량
-성인은 4.3mg/kg이며 60~90분후 반복해 근육주사할 수 있고 IV bolus양은 50~100mg으로 5분내에 반복할 수 있다. 1시간이상 200~300mg 초과할 수 없고 유지 점적률은 1~4mg/min이다.
-70세이상의 환자, 간질환, 심부전, 서맥, 전도 장애가 잇는 환자에게는 50% 감소해야 한다.
부작용
-오심, 구토, 졸음, 발작, 혼동, 서맥, 저혈압, 호흡 정지 및 심장정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②Procainamide
-심실성 부정맥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용법 및 용량
-PVC나 심실성 빈맥의 치료시 100mg을 20mg/min의 속도로 매 5분마다 투여하고 부정맥이 억제되었거나 저혈압이 계속 나타날 시 QRS Complex가 원래보다 50%이상 넓어졌을 때, 총 17mg/kg의 약물이 투여되었을 때는 투여를 중지해야 한다.
-유지 주입속도는 2~4mg/min이며, IV bolus로 서서히 투여한 후 유지주입법으로 수행한다.
-1g의 Procainanide를 500mg의 5% D/S에 가해 2mg/ml의 희석액을 제조해 사용한다.
③Bretylium Tosylate
-α, β아드레날린성 효과와 직접적 심근효과를 내며 Lidocaine에 불응하는 심실세동, 심실성 빈맥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5mg/kg의 용량으로 IV bolus로 투여하며 부정맥이 계속 존재시 10mg/kg의 용량을5분 간격으로 재투여할 수 있으며 총용량은 30mg/kg을 넘어서는 안된다.
④Verapamil(Isoptin)
-Ca 이온 길항약으로 혈관 평활근으 이완을 일으키고 AV node를 통한 전도를 느리게 하는 작용이 있고 Adenosine에 불응인 속박성 심실성빈맥에 사용된다.
용법 및 용량
-2~5mg을 2~3분 간격으로 정맥투여하며 PSVT가 지속되고 초회량으로 어떤 부작용이 없다면 15~30분 후 5~10mg의 반복량을투여할 수 있고 총용량은 30분에 30mg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⑤Phenytoin(Dilantin)
용법 및 용량
-100mg을 5분에 걸쳐 최대부하량 1000mg까지 부정맥이 사라질 때까지 정맥투여한다. 5%D/W 같은 포도당 함유 용액으로 희석해서는 안되며 생리식염수나 비당류의 결정질액으로 희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