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1. 존엄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 3
본론
2. 불교의 생명관 3-4
3. 불교의 인간관 4-5
3.1 무아설에 나타난 인간관
3.2 연기설에 나타난 인간관
4. 존엄사에 대한 불교의 견해 5-6
4.1 교학적 입장
4.2 윤리적 입장
결론
5. 존엄사에 대한 불교적 대안 6
참고자료
1. 존엄사에 대한 불교의 입장 3
본론
2. 불교의 생명관 3-4
3. 불교의 인간관 4-5
3.1 무아설에 나타난 인간관
3.2 연기설에 나타난 인간관
4. 존엄사에 대한 불교의 견해 5-6
4.1 교학적 입장
4.2 윤리적 입장
결론
5. 존엄사에 대한 불교적 대안 6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른 업을 가중시키는 것이고, 생이나 사에 대한 다른 차원에서의 집착인 것이다. 결국 안락사의 논의에서 환자 당사자에게 필요한 것은 고통의 이완이나 고통의 해소를 먼저 말할 것이 아니라, 고통의 실체에 대한 올바른 성찰이 선행되어야 한다.
* 질의응답
1. 자살
불교적 입장 : 4대강 사업과 관련하여 분신자살을 한 한 스님과 같은 경우의 자살은 그 목적에 의해 정당화 할 수 있는 것인가? 만일 목적이 고귀하다고 하여 그 스님의 분신자살이 정당화 될 수 있다면 그 고귀한 목적을 결정짓는 기준과 무엇인가?
기독교적 입장 : 불교와 기독교에서는 공통적으로 살인을 하지마라고 하고 있다. 불교에서의 그 이유는 목숨은 소중한 것이고 작은 짐승이라도 살생을 하면 업이 깊어진다는 등의 이유이며, 기독교에서는 사람의 목숨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것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목숨을 함부로 할 자격이 없다는 것으로 이해가 되어 진다. 자기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을 살인이라고 할 수 있는 가? 살인과 자살의 명확한 의미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살인은 타인에게 극심한 피해를 끼쳐 목숨을 끊는 것이고 자살은 타인의 목숨을 끊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이다.
자살에 대한 철학적 찬성의 입장 : 유명인의 자살 뿐 만 아니라 일반인의 자살도 그 주변사람들에게 베르테르효과를 일으켜 수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살을 야기 시킨다. 글루미선데이 라는 헝가리 작곡가의 노래로 인한 여파로 1930년대의 헝가리는 자살율이 매우 높았던 시기이다. 1920년대의 경제대공황 이후 사회가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였다 는 것을 감안해 볼 때 현재의 경제위기로 인해 높은 실업률과 많은 문제들을 겪고 있는 현세대에게 자살 베르테르효과는 그들에게 돌파구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점으로 여겨진다. 발표자가 인정한 사회적인 문제에 따른 이러한 결과는 고려해보셨는지, 그리고 자살률이 높은 사회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과연 행복 한가 라는 의문점을 가져 보았다.
2. 존엄사
불교적 관점 : 스스로 존엄사에 대한 불교적 관점에 대해 조사하면서 불교의 교리와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 점을 발견하고 많은 의문을 가졌다. 생명존중이 불교의 가르침이라면 더 이상 치료가 무의미한 환자가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감수하고서도 생명존중이라는게 성립되는 것인가? 생명존중이라 함은 문자 그대로 한 생명을 존중하는 것인데 고통받는 한 생명이 그 고통 속에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불교의 아이러니한 교리를 지켜 고통을 준다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가?
존엄사반대 철학적입장 : 생명외경사상을 들어 왜 존엄사를 반대하는지를 설명하였고 존엄사에 의한 생명경시풍조 및 악용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이 된다. 하지만 만약 꼭 필요한 존엄사를 행하면서도 생명을 경시하지 않고 악용되지 않는 사회적 방편이 마련된다면 존엄사는 정당화 되는 것인가? 이는 마치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가 철학적인 이유가 아닌 사회제도적인 이유로 밖에 해석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참고자료
1. 참고문헌
반영규, 아함경으로 배우는 불교(서울: 솔바람, 2000)
최봉수 옮김, 업과 윤회(서울: 불광출판사, 1997)
Damien Keown, 허남결 역, 불교와 생명윤리학(서울: 불교시대사, 2000)
이동웅, 자연과학과 불교의 생명관, 정각도량 통권 50호(서울: 동국대 정각원, 1999, 10).
2. 법전
雜阿含經, (294)경(大正藏 2, p.83下.), “愚癡無聞凡夫無明覆. 愛緣繫得此識身. 內有此識身. 外有名色.”
雜阿含經권제12, (二九三)경(大正藏 2, p.83下)
雜阿含經, (294)경(大正藏 2, p.83下.)
大正藏
* 질의응답
1. 자살
불교적 입장 : 4대강 사업과 관련하여 분신자살을 한 한 스님과 같은 경우의 자살은 그 목적에 의해 정당화 할 수 있는 것인가? 만일 목적이 고귀하다고 하여 그 스님의 분신자살이 정당화 될 수 있다면 그 고귀한 목적을 결정짓는 기준과 무엇인가?
기독교적 입장 : 불교와 기독교에서는 공통적으로 살인을 하지마라고 하고 있다. 불교에서의 그 이유는 목숨은 소중한 것이고 작은 짐승이라도 살생을 하면 업이 깊어진다는 등의 이유이며, 기독교에서는 사람의 목숨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느님의 것이기 때문에 자기 자신의 목숨을 함부로 할 자격이 없다는 것으로 이해가 되어 진다. 자기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을 살인이라고 할 수 있는 가? 살인과 자살의 명확한 의미 구분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살인은 타인에게 극심한 피해를 끼쳐 목숨을 끊는 것이고 자살은 타인의 목숨을 끊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목숨을 끊는 것이다.
자살에 대한 철학적 찬성의 입장 : 유명인의 자살 뿐 만 아니라 일반인의 자살도 그 주변사람들에게 베르테르효과를 일으켜 수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자살을 야기 시킨다. 글루미선데이 라는 헝가리 작곡가의 노래로 인한 여파로 1930년대의 헝가리는 자살율이 매우 높았던 시기이다. 1920년대의 경제대공황 이후 사회가 경제적으로 힘든 시기였다 는 것을 감안해 볼 때 현재의 경제위기로 인해 높은 실업률과 많은 문제들을 겪고 있는 현세대에게 자살 베르테르효과는 그들에게 돌파구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점으로 여겨진다. 발표자가 인정한 사회적인 문제에 따른 이러한 결과는 고려해보셨는지, 그리고 자살률이 높은 사회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과연 행복 한가 라는 의문점을 가져 보았다.
2. 존엄사
불교적 관점 : 스스로 존엄사에 대한 불교적 관점에 대해 조사하면서 불교의 교리와 사상에 부합하지 않는 점을 발견하고 많은 의문을 가졌다. 생명존중이 불교의 가르침이라면 더 이상 치료가 무의미한 환자가 고통스럽게 죽음을 맞이하는 것을 감수하고서도 생명존중이라는게 성립되는 것인가? 생명존중이라 함은 문자 그대로 한 생명을 존중하는 것인데 고통받는 한 생명이 그 고통 속에 죽음을 맞이하는 순간까지 불교의 아이러니한 교리를 지켜 고통을 준다는 것이 과연 올바른 것인가?
존엄사반대 철학적입장 : 생명외경사상을 들어 왜 존엄사를 반대하는지를 설명하였고 존엄사에 의한 생명경시풍조 및 악용은 충분히 가능하다고 생각이 된다. 하지만 만약 꼭 필요한 존엄사를 행하면서도 생명을 경시하지 않고 악용되지 않는 사회적 방편이 마련된다면 존엄사는 정당화 되는 것인가? 이는 마치 존엄사를 반대하는 이유가 철학적인 이유가 아닌 사회제도적인 이유로 밖에 해석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참고자료
1. 참고문헌
반영규, 아함경으로 배우는 불교(서울: 솔바람, 2000)
최봉수 옮김, 업과 윤회(서울: 불광출판사, 1997)
Damien Keown, 허남결 역, 불교와 생명윤리학(서울: 불교시대사, 2000)
이동웅, 자연과학과 불교의 생명관, 정각도량 통권 50호(서울: 동국대 정각원, 1999, 10).
2. 법전
雜阿含經, (294)경(大正藏 2, p.83下.), “愚癡無聞凡夫無明覆. 愛緣繫得此識身. 內有此識身. 外有名色.”
雜阿含經권제12, (二九三)경(大正藏 2, p.83下)
雜阿含經, (294)경(大正藏 2, p.83下.)
大正藏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