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1 실험의 목적
5.4 사용기기 및 부품
5.5 실험 내용
5.6 연습 문제
5.4 사용기기 및 부품
5.5 실험 내용
5.6 연습 문제
본문내용
기록하라.
<그림. 멀티미터로 측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오실로스코프에서도 약 5V의 전압강하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 파형을 얻었다.>
3) DMM으로 CH1과 CH2가 연결된 지점, 즉 7805의 입력과 출력의 직류전압을 각각 측정하고 기록하라.
입력 직류전압
출력 직류전압
<그림.입력 직류전압이 10.95V, 출력 직류전압이 5.01V로 측정되었다. 약 5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2)의 파형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5.5.4 IC 7805의 전달특성 측정
1) [그림 5.6] 회로를 구성하여 전달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원 15V를 1V step으로 0V에서 15V까지 증가시켜 가면서, DMM으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각각 측정한다. 그 수치를 [표 5.2]에 기록한다.
2) [표 5.2]의 수치를 이용해서, 출력전압 대 입력전압을 평면상에 그리면 그 결과 그래프가 IC 7805의 전달특성(dropout)이다. 그려진 그 특성으로부터 7V 이상의 입력전압에서 IC 7805가 정상출력 5V를 유지함을 확인하기 바란다.
입력전압[V]
출력전압[V]
1
0
2
0.001
3
1.757
4
2.698
5
3.701
6
4.63
7
5.03
8
5.03
9
5.03
10
5.03
11
5.03
12
5.03
13
5.03
14
5.03
15
5.03
- 입력전압이 6V일 때까지는 출력전압이 비례하였지만 입력전압이 7V일 때부터 출력전압이 5.03V으로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5.6 연습 문제
1) 식 (5.1)로부터 식 (5.2)의 결과를 유도하라.
☞
∴
2) [그림 5.1]의 정류회로에서, 입력전압의 크기가 다이오드 전압강하보다 훨씬 크다는 가정하에서 식 (5.3)이 유도되었다. 그 가정이 배제될 경우, 식 (5.3)에 대응되는 식을 유도하라.
☞
가 아주 작다면
3) 식 (5.4)를 유도하라.
☞
4) 관계식 ()반파 =()전파를 유도하라.
5) 식 (5.9)를 유도하라.
☞
6) 다이오드 1N4004dml 규격집에는 서지전류에 대한 정격이 주어져 있다. 그 수치를 사용하여서 [그림 5.4]에 보인 보호저항 의 수치를 결졍하라. 그 수치를 근거로 해, [그림 5.4]에서 사용된 =10Ω이 올바른 수치인지를 검증하라.
☞ 다이오드를 보면 서지전류의 정격은 30A이다. 커패시터가 있는 회로에서 =20V를 인가하면 커패시터에 전하를 축적하기위해서 무한대의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저항 R이 전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 I < 30A, R=10Ω, 20V/10Ω=2A
7) IC 7805의 규격집과 내부 회로를 보기 바란다. 그 자료로부터 IC 780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왜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2V 이상 높아야 하는 지를 설명하라. 즉 출력전압이 5V인 경우, 입력전압은 7V 이상이 되어야 한다. 회로 동작 관점에서 왜 이 조건이 필요한지를 설명하면 된다.
☞ 정류할 때 필요한 전압이 2V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5V의 출력전압을 얻으려면 입력전압은 최소 7V가 되어야한다.
<그림. 멀티미터로 측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오실로스코프에서도 약 5V의 전압강하가 일어난 것으로 보이는 파형을 얻었다.>
3) DMM으로 CH1과 CH2가 연결된 지점, 즉 7805의 입력과 출력의 직류전압을 각각 측정하고 기록하라.
입력 직류전압
출력 직류전압
<그림.입력 직류전압이 10.95V, 출력 직류전압이 5.01V로 측정되었다. 약 5V의 전압 강하가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2)의 파형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5.5.4 IC 7805의 전달특성 측정
1) [그림 5.6] 회로를 구성하여 전달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원 15V를 1V step으로 0V에서 15V까지 증가시켜 가면서, DMM으로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각각 측정한다. 그 수치를 [표 5.2]에 기록한다.
2) [표 5.2]의 수치를 이용해서, 출력전압 대 입력전압을 평면상에 그리면 그 결과 그래프가 IC 7805의 전달특성(dropout)이다. 그려진 그 특성으로부터 7V 이상의 입력전압에서 IC 7805가 정상출력 5V를 유지함을 확인하기 바란다.
입력전압[V]
출력전압[V]
1
0
2
0.001
3
1.757
4
2.698
5
3.701
6
4.63
7
5.03
8
5.03
9
5.03
10
5.03
11
5.03
12
5.03
13
5.03
14
5.03
15
5.03
- 입력전압이 6V일 때까지는 출력전압이 비례하였지만 입력전압이 7V일 때부터 출력전압이 5.03V으로 고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5.6 연습 문제
1) 식 (5.1)로부터 식 (5.2)의 결과를 유도하라.
☞
∴
2) [그림 5.1]의 정류회로에서, 입력전압의 크기가 다이오드 전압강하보다 훨씬 크다는 가정하에서 식 (5.3)이 유도되었다. 그 가정이 배제될 경우, 식 (5.3)에 대응되는 식을 유도하라.
☞
가 아주 작다면
3) 식 (5.4)를 유도하라.
☞
4) 관계식 ()반파 =()전파를 유도하라.
5) 식 (5.9)를 유도하라.
☞
6) 다이오드 1N4004dml 규격집에는 서지전류에 대한 정격이 주어져 있다. 그 수치를 사용하여서 [그림 5.4]에 보인 보호저항 의 수치를 결졍하라. 그 수치를 근거로 해, [그림 5.4]에서 사용된 =10Ω이 올바른 수치인지를 검증하라.
☞ 다이오드를 보면 서지전류의 정격은 30A이다. 커패시터가 있는 회로에서 =20V를 인가하면 커패시터에 전하를 축적하기위해서 무한대의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저항 R이 전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 I < 30A, R=10Ω, 20V/10Ω=2A
7) IC 7805의 규격집과 내부 회로를 보기 바란다. 그 자료로부터 IC 7805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왜 입력전압이 출력전압보다 2V 이상 높아야 하는 지를 설명하라. 즉 출력전압이 5V인 경우, 입력전압은 7V 이상이 되어야 한다. 회로 동작 관점에서 왜 이 조건이 필요한지를 설명하면 된다.
☞ 정류할 때 필요한 전압이 2V라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5V의 출력전압을 얻으려면 입력전압은 최소 7V가 되어야한다.
추천자료
[재료공학실험] 상변태 실험
[기계공학실험] 터빈성능실험
[기계공학실험] 제트반동 실험
[환경공학실험] 총인(아르코르빈산 환원법) 실험
[기계공학실험]도립진자실험
[공학실험] 스릿버너 화염의 특성 및 온도 측정 실험
[기계공학실험] 피로실험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
[재료공학실험보고서a+자료] 열처리 실험
[기계공학실험] 유동가시화 실험
[기계공학실험] 풍동실험
[전자공학실험] 741OPAMP 회로해석 실험
[최신디지털공학실험] 제10판 실험11.가산기(Adder)와 크기비교기(Magnitude Comparator) 만...
[기계공학실험 A] 크리프 실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