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성역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대산소섭취량과 무산소성역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VO2max
1) 최대산소 섭취량
2) 최대 산소 섭취량 검사의 정확성
3) 최대 산소 섭취량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기준

2. 최대산소섭취량 측정
1) 산소섭취량 측정에 사용되는 운동부하 검사장비의 선택
2) 운동 부하 검사 대상의 분류
3) 최대 운동 부하 검사와 최대하 운동부하 검사

3. 엘리트선수들의 최대산소섭취량

4. 무산소성역치의 개념과 중요성
1) 무산소성 역치의 개념
2) 무산소성역치와 최대산소섭취량
3) 무산소성역치와 지구성 능력
4) 지구력 트레이닝의 강도로서 무산소성 역치

본문내용

중의 안전을 최적화하기 위해서 참여자가 갖고 있을지도 모를 잠재적인 위험요소와 다양한 심혈관계, 호흡기계 증상들을 검사해야 하며 운동 중에 악화될 수 있는 정형외과적인 손상과 같은 상태들도 검사해야 한다.
운동 부하 검사 전 피검자들의 분류는 1차적으로 질문지를 통해 위험성 및 안전성을 분류한다. 또한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소, 심혈관질환, 폐질환, 대사성질환 등을 나타내는 증상과 징후에 따라 검사 종류 및 검사 시 모니터링이 결정된다.
3) 최대 운동 부하 검사와 최대하 운동부하 검사
운동 부하 검사는 최대 운동부하 검사와 최대하 운동 부하 검사로 구분할 수 있다.
1) 최대 운동 부하 검사
최대 운동 부하 검사는 피검자가 최대로 능력을 발휘하도록 하는 검사방법이다.
최대 운동 부하 검사는 단계별로 약2-3분을 유지하고 각 운동단계에서 항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면서 각 운동단계를 점증적으로 높여가는 방법으로 하여 최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할 수 있다.
2) 최대하 운동 부하 검사
최대하 운동 부하 검사는 피검자가 최대 검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득보다 위험성이 더 클 경우에 사용할 수 있다. 최대하 운동 부하 검사는 피검자의 능력이 최대에 도달하기 전에 검사를 종료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는 반면에 최대 산소 섭취량 산출 추정식 등의 방법으로 최대 산소 섭취량을 추정하기 때문에 최대 운동 부하 검사 보다 정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최대하 운동 부하 검사는 필드테스트와 실험실 테스트로 구분할 수 있다.
필드테스트에는 1.6km 걷기 테스트, 12분 달리기 테스트, 하버드스텝테스트 등이 있다. 실험실테스트로는 저전거에르고미터 테스트, 트레드밀 테스트 등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대개 주어진 운동부하에 따른 심박수 반응에 기초하여 최대 산소 섭취량을 예측하게 된다.
3. 엘리트선수들의 최대산소섭취량
최대산소섭취량은 일반인들에게 있어서도 유산소적 지구력을 가늠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이다. 높은 VO2max수치를 가진 훈련되지 않은 일반인도 낮은 수치의 사람보다 지구력을 요하는 종목에서 좋은 성적을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 톱 엘리트 선수에게도 같은 결과가 나올까?
지구력을 요하는 종목에서 엘리트선수들은 일반인과 비교해서 놀라울 정도로 높은 VO2max수치를 가진 경우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그 수준에서는 다른 요소들이 승패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최고의 선수가 반드시 최고의 VO2max를 가진 것은 아니다는 것이다. 엘리트선수에게는 LT역치, 운동속도, 그리고 영양상태 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아래의 표는 정상급 선수들의 VO2max 수치이다. 참고로 일반인의 평균적 VO2max수치는 남자의 경우 44ml/kg/min, 여자의 경우는 39ml/kg/nin 정도이다.
다음은 국가대표급 선수들의 평균적 최대산소섭취능력을 나타낸 도표이다.
최대산소섭취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유산소적능력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는 아래의 6가지를 들 수 있다.
1. 유전자 : 최대산소섭취능력을 결정하는 데 있어 20-30% 는 유전적요인으로 타 고나야 한다.
2. 연령 : 25세를 넘음년 1년에 1%정도 VO2max가 감소한다. 그러나 실망할 필요 는 없다. 정기적인 운동을 통해 VO2max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3. 운동상태 : 훈련은 생활양식이나 운동습관에 따라 한사람의 VO2max를 20%까 지 변화시킬 수 있다고 한다.
4. 운동양식 : 한사람의 VO2max를 트레드밀, 사이클 그리고 수영장에서 측정했을 때 그 결과는 상당 다르게 나온다고 한다.
5. 성별 : 일반적으로 여자의 VO2max수치가 남자보다 15~30%낮게 나온다. 이는 몸무게를 감안한 것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5.23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