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스토리텔링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드라마 스토리텔링

Ⅰ. 한국 드라마, ‘한류’의 보고

<겨울연가>

Ⅱ. 역사의 복원, 활자의 입체화

<서동과 선화공주>
<동명성왕>
<일지매>

Ⅲ. 욕망의 대리 만족, 트렌디 드라마

<질투>
<꽃보다 남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통 사극과는 다른 현대
적 발랄함이 있다.
설화에서 소재를 취한 사극의 경우에는 대부분 퓨전 사극으로 제작되는
데, 이는 설화의 본래 특징 때문이기도 하다. 설화는 문헌에 기록된 시점이
있기는 하지만, 그 이야기의 시간적 배경이 정확하게 언제인지는 확인할
수가 없어서 정확하게 언제의 역사를 복원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퓨전 사
극으로 가게 되면 이러한 부담에서 벗어날 수가 있다. 설화에서 소재를 취
한 드라마는 퓨전 사극으로 만드는 편이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몰입을
이끌어 내기에 용이할 것이다. 정통 역사가 아닌 것을 역사인 양 꾸미려 드
는 것은 그야말로 코미디에서나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기 때문이다.
3) 욕망의 대리 만족, 트렌디 드라마
현대극 중에서 시청률이 높은 드라마는 대부분 트렌디 드라마들이다. 트
렌디 드라마는 시대적 흐름을 잘 반영하면서, 비교적 젊은 층을 주요 시청
자 층으로 설정하여 제작되는 드라마이다. 트렌디 드라마들은 대중적인 욕
망을 충실하게 반영해 냄으로써 대중적 호응을 이끌어 낸다.
최초의 한국 트렌디 드라마는 <질투>이다. 이 드라마는 1992년 6월 1일
부터 7월 21일까지 총 16부작으로 MBC에서 방영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최고 인기스타이던 최진실과 최수종이 주연을 맡아서 풋풋하고도 가은 저
린 젊은이들의 사랑을 아주 빠른 속도로 그려낸 드라마이다.
한국 트렌디 드라마의 역사에서 빼놓아서는 안 될 작품은 <별은 내 가슴
에>이다. 이 드라마는 1997년 3월 10일부터 4월 9일까지 총 16부작으로
MBC에서 방영되었다. 당시 최고의 인기를 누리던 최진실과 안재욱, 그리
고 당시로서는 신인이던 차인표가 함계 출연하여 공전의 히트를 기록하며,
차인표를 일약 스타덤에 올려 놓은 작품이기도 하다. <별은 내 가음에>는
특히 중국에서 높은 호응을 얻어서 초기 한류의 대표작이 되었다. 또한 안
재욱은 이 드라마를 통해 한류를 대표하는 스타가 되었다.
<질투>와 <별은 내 가슴에>는 두 작품 모두 젊은이들의 사랑을 그리고
있다. 두 작품은 모두 서로의 감정이 얽히고 설킨 세 남녀의 사랑 이야기이
다.
<질투>는 영호(최수종 분)를 사랑하는 하경(최진실 분), 영애(이응경 분)를
사랑하는 영호의 엇갈린 감정이 주를 이룬다. 그러다가 드라마 막바지에
이르면 영효가 진실로 사랑했던 사람은 하경이었음을 깨닫게 되면서 두 사
람은 서로의 사랑을 확인한다. 이 드라마는 잔디밭에서 두 사람이 서로 피
안고 리스를 나누는 장면을 보여 주면서 끝났다.
<별은 내 가승에>는 고아원에서 자라다가 아버지를 만나게 되어 아버지
집에서 살면서 새어머니와 의붓 남매에게 구박을 받는 연이(최진실 분)와,
남부러울 것 없이 자랐지만 아버지가 밖에서 낳아온 자식이라는 사실을 알
게 되면서 방황하는 민(안계욱 분), 자신의 첫사랑과 짧은 연이에게 호감을
느끼는 준희(차인표분) 세 인물의 갈등과 사랑을 그리고 있다. 여기에는 주
인공 연이가 고아원 출신이면서도 뛰어난 감각과 성실함으로 디자이너로
성공한다는 스토리가 결합되어 있다.
두 드라마는 세 명의 젊은이가 겪는 사랑 이야기와 이제 막 사회인이 된
젊은이들의 이야기가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20대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일과 사랑이라는 두 개의 주제를 하나의 스토리로 만들어 델 것이다.
최근의 트렌디 드라마로는 KBS 드라마 <꽃보다 남자>가 가장 높은 시청
률을 자랑했다. 이 드라마는 2009년 1월 5일에서 3월 31일까지 총 25부작
으로 KBS에서 방영되었다. 이 드라마는 방영되는 내내 시청률 고공 행진
을 하였으며 30%가 넘는 시청률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드라마 <꽃보다 남자>는 대중적인 욕망을 철저히 반영하고 있다. 인간에
게는 사랑을 받고자 하는 욕망이 내계해 있다. 대부분의 드라마는 사랑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그것이 본래는 역사극이라 하여도 그 길가지에
는 사랑 이야기가 설정되어 있다. <꽃보다 남자>에서 두 주인공인 구준표
와 금잔디는 그 어떤 시련에도 굴하지 않는 사랑을 나눈다. 글로벌 기업의
후계자인 대재벌의 아들과 경제적으로 여유롭지 못한 서민 집안의 딸이 나
누는 사랑 이야기이다. 이는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두 사람 사이에 놓였
던 대를 잇는 집안싸움보다 더 큰 장벽이다.
<꽃보다 남자>는 영원한 사랑에 대한 대중적 소망을 반영하고 있다. 어
머니의 끝없는 방해에도 불구하고 구준표(이민호 분)의 금잔디(구혜선 분)에
대한사랑은 결코 흔들리지 않는다. 금잔디 역시 구준표 어머니의 온갖 방
해에도 불구차고 구준표에 대한 사람의 감정은 굳건하다. 토비아스는 사랑
이야기를 하려면 그동안 있었던 수많은 러브 스토리와 경쟁해야 한다고
하였는데 이 드라마는 수많은 러브 스토리와 경쟁하여 승리한 셈이다.
<꽃보다 남자>는 스토리나 플롯 면에서는 비난을 많이 받았지만 남자 주
인공으로 출연했던 이민호는 이 작품으로 최고의 스타 자리에 올랐다. 스
타란"우상숭배와유사한 방식으로 숭배의 대상이 되는 특정 개인의 가공
작인 인물상(Personality image)과 그 인물상을 구현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인물"을 가리킨다. 이민호는 이 드라마를 통해 바로 그러한 의미에서의 스
타로 재탄생 하였다.
<질투>나 <별은 내 가슴에>가 그랬던 것처럼 <꽃보다 남자>도 시청률은
높았지만 많은 문제를 남겼다. 트렌디 드라마들은 대부분 젊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빠른 진행으로 보여 주고, 젊은 사람들의 최신 패션을 반영하거
나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인지 트렌디 드라마를 통해서는 스타가
쉽게 발생한다. <별은 내 가슴에>의 차인표나 <꽃보다 남자>의 이민호가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 바리스 야카보루 외, 황신웅 옮김. ‘스토리텔링의 기술’, 멘토르, 2008
- 장미영 외, ‘스토리텔링의 이해’. 글누림, 2007
- 박미엽 외, ‘언어와 대중매체’, 신아출판사, 2000
- 최혜실,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을 만나다’, 2006
-주우진 외, ‘인터넷 마케팅’, 경문사. 2006
- KBS 홈페이지(http://www.kbs.co.kr/)
- MBC 홈페이지(http://www.imbc.com/)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3,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5.27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04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