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욕창간호
(1)욕창의 단계
①1단계
②2단계
③3단계
④4단계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2.상처간호
(1)상처 치유의 과정
(2)상처 치유의 지연 및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3)상처치유의 최적의 조건
(4)처치의 원칙
(5)감염된 상처의 관리
(6)상처배양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부합조건
(7)드레싱
‣목적
‣준비물품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종류
(8)상처세척
①단계 및 근거
②상처세척제의 종류
3.상처배액간호
(1)상처배액제품의 종류
①헤모백
②j-p 흡인백
③펜로즈 배액관
(2)배액상처간호(펜로즈 배액관 삽입부위)
①단계 및 근거
(3)상처배액체계의 유지(헤모백, j-p 흡인백)
①목적
②준비물품
③단계 및 근거
(1)욕창의 단계
①1단계
②2단계
③3단계
④4단계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2.상처간호
(1)상처 치유의 과정
(2)상처 치유의 지연 및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3)상처치유의 최적의 조건
(4)처치의 원칙
(5)감염된 상처의 관리
(6)상처배양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부합조건
(7)드레싱
‣목적
‣준비물품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종류
(8)상처세척
①단계 및 근거
②상처세척제의 종류
3.상처배액간호
(1)상처배액제품의 종류
①헤모백
②j-p 흡인백
③펜로즈 배액관
(2)배액상처간호(펜로즈 배액관 삽입부위)
①단계 및 근거
(3)상처배액체계의 유지(헤모백, j-p 흡인백)
①목적
②준비물품
③단계 및 근거
본문내용
③3단계
④4단계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2.상처간호
(1)상처 치유의 과정
(2)상처 치유의 지연 및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3)상처치유의 최적의 조건
(4)처치의 원칙
(5)감염된 상처의 관리
(6)상처배양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부합조건
(7)드레싱
목적
준비물품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종류
(8)상처세척
①단계 및 근거
②상처세척제의 종류
3.상처배액간호
(1)상처배액제품의 종류
①헤모백
②j-p 흡인백
③펜로즈 배액관
(2)배액상처간호(펜로즈 배액관 삽입부위)
①단계 및 근거
(3)상처배액체계의 유지(헤모백, j-p 흡인백)
①목적
②준비물품
③단계 및 근거
욕창 및 상처간호에 대해서
1.욕창간호
-욕창은 압력, 응전력, 마찰이나 습기등의 외적 요인과 영양결핍이나 나이, 조직관류장애 등의 내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생할 수 있고 욕창관리의 예방은 치료보다 더욱 중요하다.
-호발부위는 뼈가 돌출되어 있거나 체중이 부하되는 곳으로 천골, 미골, 대전자, 좌골, 골반, 발꿈치, 팔꿈치, 척추, 무릎, 귀, 후두부 등이며 특히 부동환자의 지속적인 체중부하가 되는 곳을 사정해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1)욕창의 단계
①1단계
-손상되지 않은 피부 위에 손으로 눌렀을 때 창백해지지 않는 홍반, 피부궤양을 알리는 병변, 어두어진 피부, 피부변색, 온감, 부종, 경화등 징후가 나타남
②2단계
-진피를 포함한 일부의 두꺼운 피부 손실, 궤양은 표면적이며, 찰과상, 물집, 얕게 파인 분화구 모양의 파임들을 볼 수 있다.
③3단계
-피하조직은 손상, 괴사를 포함한 두꺼운 피부 손실이 확대되지만 근막까지 손실되지 않으며 궤양은 깊이 파이고 근접조직의 손상이 있을 수도 없을 수 도 있다.
④4단계
-광범위한 손상, 조직, 괴사, 근육, 뼈, 결체조직 손상을 포함한 완전한 두꺼운 피부손실이 있다.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적어도 하루에 한번이상 피부를 사정한다.(피부 사정은 위험을 줄일 중재계획과 중재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온수와 순한 청결제로 피부를 닦는다.(뜨거운 용액과 비누는 건조하게 만들고 자극적이다.)
-목욕 후 moisturizer를 뿌리고 발적된 뼈 돌출부위를 마사지해서는 안된다.(피부건조를 예방하고 마사지는 조직손상의 원인이 된다.)
-환경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한다.(40%미만의 저 습도는 피부를 건조시킨다.)
-실금을 관리한다.(실금으로 인한 습기에 노출된 피부는 보다 상해우려가 높다.)
-체위를 변경한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하기
대전자가 직접 닿는 측위보다 30℃ 측위를 취한다.
15분마다 체중을 다른 부위에 싣는다.
필요하다면 베게를 사용한다.(직적적 마찰을 예방한다.)
-변색, 얼룩진 부위를 촉진하며 피부온도변화는 검게 착색된 피부를 갖는 환자들에게 욕창 1단계의 중요한 초기 징후이다.
-변색부위 지속시간을 모니터링한다.
-특별한 체위를요구하는 상황을 제외하고 침대머리는 30˚ 미만으로 올린다.
-공간을 지지하고 보호할 기구를 사용한다.
-관절범위 운동과 보행을 격려한다.
-환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체중변화, 혈중 알부민 수치, 총 백혈구 수치가 포함되며 3달마다 사정하고 비타민과 미네랄결핍징후를 관찰한다.
-욕창위험요인과 예방에 대해 환자를 교육한다.
단계
상태
드레싱
COMMENT
기대결과
고려사항
1
정상
none film,
adherent hydrocolloid
시작정 사정기능
상처나는 것으로부터 보호
시각적 사정불가능
진피손상없이 7~14일 걸림
수분공급
영양공급
감압 매트리스나 쿠션사용
2
청결
composite film
hydrocolloid
hydrogel sheet
폐쇄성으로 봉한 드레싱일 경우 7일마다 교환, 흡수성으로거즈나 adherent film으로 이차 드레싱 해야 함
상피세포 재생과 상피세포 성장으로 치유
실금관리
3
청결
hydrocolloid
hydrogel foam
exudate absorbers
calcium alginate
wound pastes
gauge
growth factors
1/4인치 두게로 거즈나 hydrocolloid로 덮기 2차드레싱을 통해 변형되면 교환 거즈나 hydocolloid로 덮기 생리식염수사용
거즈사용
육아조직형성과 상피세포 재생으로 치유
전기자극
감압 요구 사정
4
청결
hydrogel
hydrocolloid plus
hydrocolloid
calcium alginate
gauze
growth pastes
상처부위 치유하는 데 중요
손상된
④4단계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2.상처간호
(1)상처 치유의 과정
(2)상처 치유의 지연 및 감염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
(3)상처치유의 최적의 조건
(4)처치의 원칙
(5)감염된 상처의 관리
(6)상처배양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부합조건
(7)드레싱
목적
준비물품
①단계 및 근거
②드레싱의 종류
(8)상처세척
①단계 및 근거
②상처세척제의 종류
3.상처배액간호
(1)상처배액제품의 종류
①헤모백
②j-p 흡인백
③펜로즈 배액관
(2)배액상처간호(펜로즈 배액관 삽입부위)
①단계 및 근거
(3)상처배액체계의 유지(헤모백, j-p 흡인백)
①목적
②준비물품
③단계 및 근거
욕창 및 상처간호에 대해서
1.욕창간호
-욕창은 압력, 응전력, 마찰이나 습기등의 외적 요인과 영양결핍이나 나이, 조직관류장애 등의 내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발생할 수 있고 욕창관리의 예방은 치료보다 더욱 중요하다.
-호발부위는 뼈가 돌출되어 있거나 체중이 부하되는 곳으로 천골, 미골, 대전자, 좌골, 골반, 발꿈치, 팔꿈치, 척추, 무릎, 귀, 후두부 등이며 특히 부동환자의 지속적인 체중부하가 되는 곳을 사정해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1)욕창의 단계
①1단계
-손상되지 않은 피부 위에 손으로 눌렀을 때 창백해지지 않는 홍반, 피부궤양을 알리는 병변, 어두어진 피부, 피부변색, 온감, 부종, 경화등 징후가 나타남
②2단계
-진피를 포함한 일부의 두꺼운 피부 손실, 궤양은 표면적이며, 찰과상, 물집, 얕게 파인 분화구 모양의 파임들을 볼 수 있다.
③3단계
-피하조직은 손상, 괴사를 포함한 두꺼운 피부 손실이 확대되지만 근막까지 손실되지 않으며 궤양은 깊이 파이고 근접조직의 손상이 있을 수도 없을 수 도 있다.
④4단계
-광범위한 손상, 조직, 괴사, 근육, 뼈, 결체조직 손상을 포함한 완전한 두꺼운 피부손실이 있다.
(2)욕창간호
①단계 및 근거
-적어도 하루에 한번이상 피부를 사정한다.(피부 사정은 위험을 줄일 중재계획과 중재결과를 평가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온수와 순한 청결제로 피부를 닦는다.(뜨거운 용액과 비누는 건조하게 만들고 자극적이다.)
-목욕 후 moisturizer를 뿌리고 발적된 뼈 돌출부위를 마사지해서는 안된다.(피부건조를 예방하고 마사지는 조직손상의 원인이 된다.)
-환경에 적당한 습도를 유지한다.(40%미만의 저 습도는 피부를 건조시킨다.)
-실금을 관리한다.(실금으로 인한 습기에 노출된 피부는 보다 상해우려가 높다.)
-체위를 변경한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하기
대전자가 직접 닿는 측위보다 30℃ 측위를 취한다.
15분마다 체중을 다른 부위에 싣는다.
필요하다면 베게를 사용한다.(직적적 마찰을 예방한다.)
-변색, 얼룩진 부위를 촉진하며 피부온도변화는 검게 착색된 피부를 갖는 환자들에게 욕창 1단계의 중요한 초기 징후이다.
-변색부위 지속시간을 모니터링한다.
-특별한 체위를요구하는 상황을 제외하고 침대머리는 30˚ 미만으로 올린다.
-공간을 지지하고 보호할 기구를 사용한다.
-관절범위 운동과 보행을 격려한다.
-환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하고 체중변화, 혈중 알부민 수치, 총 백혈구 수치가 포함되며 3달마다 사정하고 비타민과 미네랄결핍징후를 관찰한다.
-욕창위험요인과 예방에 대해 환자를 교육한다.
단계
상태
드레싱
COMMENT
기대결과
고려사항
1
정상
none film,
adherent hydrocolloid
시작정 사정기능
상처나는 것으로부터 보호
시각적 사정불가능
진피손상없이 7~14일 걸림
수분공급
영양공급
감압 매트리스나 쿠션사용
2
청결
composite film
hydrocolloid
hydrogel sheet
폐쇄성으로 봉한 드레싱일 경우 7일마다 교환, 흡수성으로거즈나 adherent film으로 이차 드레싱 해야 함
상피세포 재생과 상피세포 성장으로 치유
실금관리
3
청결
hydrocolloid
hydrogel foam
exudate absorbers
calcium alginate
wound pastes
gauge
growth factors
1/4인치 두게로 거즈나 hydrocolloid로 덮기 2차드레싱을 통해 변형되면 교환 거즈나 hydocolloid로 덮기 생리식염수사용
거즈사용
육아조직형성과 상피세포 재생으로 치유
전기자극
감압 요구 사정
4
청결
hydrogel
hydrocolloid plus
hydrocolloid
calcium alginate
gauze
growth pastes
상처부위 치유하는 데 중요
손상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