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1. SPA의 정의와 특징
1) SPA의 정의
2) SPA의 특징
2. SPA 브랜드의 기본전략
Ⅱ. 본 론
1. 국내진출 글로벌 SPA 브랜드
1) 글로벌 SPA 브랜드별 요약
2. SPA브랜드의 성공사례
1) Zara
2) 유니클로
Ⅲ. 결 론
참고자료
1. SPA의 정의와 특징
1) SPA의 정의
2) SPA의 특징
2. SPA 브랜드의 기본전략
Ⅱ. 본 론
1. 국내진출 글로벌 SPA 브랜드
1) 글로벌 SPA 브랜드별 요약
2. SPA브랜드의 성공사례
1) Zara
2) 유니클로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동안 SPA 브랜드를 입점하지 않았던 신세계마저 같은 길을 걷게 되면서 SPA 브랜드 유치는 백화점 업계 공통화두가 되고 있다.
이와 관련 패션 전문가는 “신세계는 명품 백화점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그동안 SPA 브랜드에 관심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며 “그러나 패션 트렌드가 SPA 브랜드 중심으로 흘러가면서 신세계도 이들 고객을 유입하기 위한 전략으로 입점을 추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출처 http://www.etoday.co.kr 2010.11.10 기사>
1) 글로벌 SPA 브랜드 요약
○ GAP(미국)
한때 전세계 패스트패션의 선두주자로 최고의 자리를 지키며 국내시장 선보였으나
디테일을 선호하는 국내소비자에게 갭은 큰인기를 끌지 못했고 유니클로와 자라의
등장으로 주춤하고 있다.
○ H&M(스웨덴)
연매출 : 약 19조원
매장수 : 약 2,000여개
패션기업중 LVMH 이어 브랜드 가치 세계 2위
타 브랜드에 비해 낮은가격과 빠른 상품 회전률로 가장빠른 성장세를 기록중(명동 눈스퀘어 매장은 오픈당시 6억 5천만원 상당의 매출 추정, 타 SPA브랜드의 2배 가까운 매출 기록)
○ Zara(스페인)
연매출 : 약 17조원
매장수 : 약 1,500여개
H&M과 더불어 유럽에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는 스웨덴 브랜드 H&M보다 약 30%더 비싼가격으로 판매되지만 스타일이나 품질에서 차별화를 둠. 세일기간중에는 큰폭의 세일로 고객들을 사로잡음
○ 유니클로(일본)
연매출 : 약 9조원
매장수 : 약 900여개
비교적 평범한 디자인으로 누구나 입을 수 있게 만든것이
유니클로의 특징, 히트텍 등의 대박상품을 히트 시키며 전세계에 매장을 넓히는 중이다.
위에서 간단하게 알아본 글로벌 SPA 브랜드중 많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유니클로와 Zara의 기업분석 및 성공전략 대해서 아래에서 세부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2. SPA브랜드 성공사례(Zara / 유니클로)
1) Zara
(1) 기업소개
스페인 인디텍스 그룹의 「ZARA」는 자사 생산과 물류 시스템에 의한 위협적 QR과 밸류프라이스(VALUE PRICE)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으로 유럽 최고의 SPA기업으로 불린다. 아웃소싱이 주류를 이루는 미국과 일본의 SPA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전체 물량의 70%는 자국(스페인)이나 포르투칼에서 생산을 하고, 물량의 30%는 세계 각국에서 생산한다. 발생배경을 보면 「ZARA」는 이태리를 중심으로 한 유럽 섬유산업의 반동에서 발생하였다. 80년대 중반 이전 스페인의 섬유산업은 대부분 봉제 산업이었다. 그러나 1980년 중반 이후 이태리에서 봉제 산업까지 담당하면서 스페인 섬유 산업은 붕괴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스페인의 봉제조합은 브랜드를 만들게 되었고, 그 브랜드 네임이 「ZARA」이다.· 1975년 스페인 북서부 가리시아 지방에 「ZARA」 1호점 개설되었다.
<2008年 지역별 매출구성>
(2) 성공전략
○ 제품라인의 70%가 2 주에 한번씩 바뀐다
ZARA는 1980 년대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여 Inditex의 총매출의 73.3%(2002년 기준)
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아무런 광고 없이, 순 구두 효과, 눈에 띄는 매장 위치와 끊임없이 변하는 젊은이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의 출시로 이루어질 수 있음
ZARA 매장을 자주 방문하는 고객들은 쇼핑 경험에 의해 ZARA 매장에는 항상 새로운 제품들이 있고, 제품라인의 70%가 2주에 한번씩 바뀐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ZARA의 목적은 고객들의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계속해서 새로운 물건들을 출시하면서도 시장의 과포화 현상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기를 끌었던 기존의 디자인들에 칼라, 스타일, 재질에만 약간의 변화를 가미함으로써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패션 트렌드에 발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 디자이너 및 매장 매니저의 능동적 역할 - QR 시스템 구축
ZARA의 디자인 팀 중 55-60명은 매 시즌이 시작할 때마다 그 시즌에 출시될 제품들의 기준으로 쓰여질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반면에 약 20명의 디자이너들은 쇼핑거리와 나이트클럽, 바 등을 누비며 최신 트렌드를 구상한다.
한편, 매장 매니저들은 매출 통계를 중앙 창고에 있는 제품 입수 가능성과 비교하여 거기에 알맞은 수량을 주문함으로써 가치 사슬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소비자의 구매 Needs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컨셉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 빠른 업무과정(Fast Process)로 로우 코스트(Low Cost) 실현
속도를 중앙통제하고, 속도에 걸림돌이 되는 조직, 업무 및 사람은 개선시키거나 없애 버린다. 강한 제안이나 주장을 억제하고 트렌드 중시의 상품기획을 한다.
개성은 없어 보이지만 현장의 소리를 중시하고 4대 컬렉션 등을 카피하기도 해 다른 브랜드에 비해 트렌드를 다양하게 그리고 특히 빠르게 제시하고 있다.
○ ZARA의 Value Chain 기업활동에서 부가가치가생성되는 과정 마이클 포터가 내부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한 것으로 크게 지원부분과 운영부분으로 나누어짐. 운영부분은 조달로부터 시작되어, 생산, 판매에 이르는 직접적으로 고객들에게 전달되는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부분이며, 지원부분은 연구개발, 재무, 인사와 같이 직접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는 않더라도 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부분임. 인터넷의 등장으로 기업내부에서 이루어지던 가치사슬의 해체가 가속되면서 네트웍을 통한 아웃소싱이 활발해지고 있음. 그리고 외부에 존재하던 가치창출 부분도 종합적으로 보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기도 함.
ZARA의 기획에서 판매에 이르는 부가가치가 창조되는 과정은 매우 단순하고 수평적
이며 독립적이고 창조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치사슬은 ZARA가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의 소비자의 욕구를 즉시 파악하여
제품 생산으로 이루어지기까지의 공정을 빠르고 세련되게 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이다.
※ \'Zara\' 관련 기사
‘ 자라 ’, 무료
이와 관련 패션 전문가는 “신세계는 명품 백화점 이미지가 강하기 때문에 그동안 SPA 브랜드에 관심이 없었던 것이 사실이다”며 “그러나 패션 트렌드가 SPA 브랜드 중심으로 흘러가면서 신세계도 이들 고객을 유입하기 위한 전략으로 입점을 추진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출처 http://www.etoday.co.kr 2010.11.10 기사>
1) 글로벌 SPA 브랜드 요약
○ GAP(미국)
한때 전세계 패스트패션의 선두주자로 최고의 자리를 지키며 국내시장 선보였으나
디테일을 선호하는 국내소비자에게 갭은 큰인기를 끌지 못했고 유니클로와 자라의
등장으로 주춤하고 있다.
○ H&M(스웨덴)
연매출 : 약 19조원
매장수 : 약 2,000여개
패션기업중 LVMH 이어 브랜드 가치 세계 2위
타 브랜드에 비해 낮은가격과 빠른 상품 회전률로 가장빠른 성장세를 기록중(명동 눈스퀘어 매장은 오픈당시 6억 5천만원 상당의 매출 추정, 타 SPA브랜드의 2배 가까운 매출 기록)
○ Zara(스페인)
연매출 : 약 17조원
매장수 : 약 1,500여개
H&M과 더불어 유럽에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는 스웨덴 브랜드 H&M보다 약 30%더 비싼가격으로 판매되지만 스타일이나 품질에서 차별화를 둠. 세일기간중에는 큰폭의 세일로 고객들을 사로잡음
○ 유니클로(일본)
연매출 : 약 9조원
매장수 : 약 900여개
비교적 평범한 디자인으로 누구나 입을 수 있게 만든것이
유니클로의 특징, 히트텍 등의 대박상품을 히트 시키며 전세계에 매장을 넓히는 중이다.
위에서 간단하게 알아본 글로벌 SPA 브랜드중 많은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유니클로와 Zara의 기업분석 및 성공전략 대해서 아래에서 세부적으로 다루도록 하겠다.
2. SPA브랜드 성공사례(Zara / 유니클로)
1) Zara
(1) 기업소개
스페인 인디텍스 그룹의 「ZARA」는 자사 생산과 물류 시스템에 의한 위협적 QR과 밸류프라이스(VALUE PRICE)의 SCM(Supply Chain Management)으로 유럽 최고의 SPA기업으로 불린다. 아웃소싱이 주류를 이루는 미국과 일본의 SPA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전체 물량의 70%는 자국(스페인)이나 포르투칼에서 생산을 하고, 물량의 30%는 세계 각국에서 생산한다. 발생배경을 보면 「ZARA」는 이태리를 중심으로 한 유럽 섬유산업의 반동에서 발생하였다. 80년대 중반 이전 스페인의 섬유산업은 대부분 봉제 산업이었다. 그러나 1980년 중반 이후 이태리에서 봉제 산업까지 담당하면서 스페인 섬유 산업은 붕괴 위기에 직면했다. 이에 스페인의 봉제조합은 브랜드를 만들게 되었고, 그 브랜드 네임이 「ZARA」이다.· 1975년 스페인 북서부 가리시아 지방에 「ZARA」 1호점 개설되었다.
<2008年 지역별 매출구성>
(2) 성공전략
○ 제품라인의 70%가 2 주에 한번씩 바뀐다
ZARA는 1980 년대부터 성장하기 시작하여 Inditex의 총매출의 73.3%(2002년 기준)
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이는 아무런 광고 없이, 순 구두 효과, 눈에 띄는 매장 위치와 끊임없이 변하는 젊은이들의 입맛에 맞는 제품의 출시로 이루어질 수 있음
ZARA 매장을 자주 방문하는 고객들은 쇼핑 경험에 의해 ZARA 매장에는 항상 새로운 제품들이 있고, 제품라인의 70%가 2주에 한번씩 바뀐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ZARA의 목적은 고객들의 이러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계속해서 새로운 물건들을 출시하면서도 시장의 과포화 현상을 막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인기를 끌었던 기존의 디자인들에 칼라, 스타일, 재질에만 약간의 변화를 가미함으로써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는 패션 트렌드에 발을 맞출 수 있는 것이다.
○ 디자이너 및 매장 매니저의 능동적 역할 - QR 시스템 구축
ZARA의 디자인 팀 중 55-60명은 매 시즌이 시작할 때마다 그 시즌에 출시될 제품들의 기준으로 쓰여질 디자인 포트폴리오를 준비하는 반면에 약 20명의 디자이너들은 쇼핑거리와 나이트클럽, 바 등을 누비며 최신 트렌드를 구상한다.
한편, 매장 매니저들은 매출 통계를 중앙 창고에 있는 제품 입수 가능성과 비교하여 거기에 알맞은 수량을 주문함으로써 가치 사슬에서 능동적인 역할을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의 소비자의 구매 Needs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새로운 컨셉을 만들어 낼 수가 있다.
○ 빠른 업무과정(Fast Process)로 로우 코스트(Low Cost) 실현
속도를 중앙통제하고, 속도에 걸림돌이 되는 조직, 업무 및 사람은 개선시키거나 없애 버린다. 강한 제안이나 주장을 억제하고 트렌드 중시의 상품기획을 한다.
개성은 없어 보이지만 현장의 소리를 중시하고 4대 컬렉션 등을 카피하기도 해 다른 브랜드에 비해 트렌드를 다양하게 그리고 특히 빠르게 제시하고 있다.
○ ZARA의 Value Chain 기업활동에서 부가가치가생성되는 과정 마이클 포터가 내부역량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안한 것으로 크게 지원부분과 운영부분으로 나누어짐. 운영부분은 조달로부터 시작되어, 생산, 판매에 이르는 직접적으로 고객들에게 전달되는 부가가치를 생산하는 부분이며, 지원부분은 연구개발, 재무, 인사와 같이 직접적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는 않더라도 이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높은 가치를 창출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부분임. 인터넷의 등장으로 기업내부에서 이루어지던 가치사슬의 해체가 가속되면서 네트웍을 통한 아웃소싱이 활발해지고 있음. 그리고 외부에 존재하던 가치창출 부분도 종합적으로 보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기도 함.
ZARA의 기획에서 판매에 이르는 부가가치가 창조되는 과정은 매우 단순하고 수평적
이며 독립적이고 창조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치사슬은 ZARA가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의 소비자의 욕구를 즉시 파악하여
제품 생산으로 이루어지기까지의 공정을 빠르고 세련되게 할 수 있게 한 원동력이다.
※ \'Zara\' 관련 기사
‘ 자라 ’, 무료
추천자료
유니클로(UNIQLO) 브랜드분석및 유니클로 강남점 VM분석및 문제점,개선방안제안,경쟁사분석
유니클로(UNIQLO)
유니클로 (UNIQLO)
유니클로의 한계점
유니클로기업분석,패션마케팅전략사레,유니클로경영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유니클로 마케팅전략분석과 유니클로 성공요인분석및 브랜드분석
유니클로 vs 자라 브랜드 마케팅 전략 비교분석
유니클로(Uniqlo)의 한국진출 성공전략 (의류브랜드, 유니클로의 4P전략 , SWOT전략, 세부적...
유니클로 vs ZARA 기업비교분석과 자라,유니클로 경영 성공전략 비교분석,Fashion on Demand ...
[ 유니클로 마케팅사례 PPT ] 유니클로 UNIQLO 기업분석과 3C분석및 유니클로 마케팅 4P,STP,...
유니클로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 (유니클로 기업분석 SWOT,STP,7P전략분석과 나만의 7P 제안)
유니클로 글로벌마케팅 성공사례 (유니클로 기업분석 SWOT,STP,7P전략분석과 나만의 7P 제안)
유니클로 vs 자라 Fast Fashion 전략 속의 서로 다른 SCM
유니클로 마케팅사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