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개론 요약 시험대비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개론 요약 시험대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속요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서술하시오.

2) 경기체가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3) 시조의 종류와 특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4) 가사의 종류와 특성을 서술하시오.

5) 한시의 종류와 특성을 서술하시오.

6) 고려시대의 한문학을 전기, 후기로 나누어 서술하시오.

7) 상고시가의 성격과 작품이해를 서술하시오.

8) 향가의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실은 시조의 기본형에 해당한다. 네 개의 음보가 결합하여 한 장을 이루는 3장시의 구조이다. 엇시조는 형태상으로 초, 중, 종 3장 중 어느 1장이 길어진 것인데, 종당이 길어진 예는 드물다. 엇시조의 음악적 특징은 곡조의 첫부분을 높은 소리로 질러내고 초장은 무겁고 점잖은 창법으로 부르다가 중장부터 흥청거리는 창조로 변한다. 사설시조는 장시조, 장형시조라고도 하며, 평시조의 기본형에서 두 구 이상에서 각각 그 자수가 10자 이상으로 늘어난 시조이다.
시조의 주제는 평시조가 양반 사대부들의 한정, 애정, 탈속을 내용으로 지은 것이 많은데 반해, 사설시조는 자수상에 구애됨이 없이 인간생활을 사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 시조는 형식면에서는 사설조로 길어지고, 가사투, 민요풍이 혼입하며, 대화가 많이 쓰이고 종장 문구를 개척하였다. 내용면에서는 구체적, 서민적인 소재와 비유가 도입되고, 강렬한 애정과 육욕의 표현, 자기 폭로, 사회 비판 등이 다루어졌다.
시조의 형식적 특성은 시조의 장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 특징이고, 시조형식의 3장 12구체가 지니는 자수는 초, 중, 종장 각 15자 내외로 잡아서 한 수가 소요하는 자수는 45자 내외가 되는 셈이다. 각 구의 자수가 약간씩 넘다는 것은 무방하나 종장 처리에서만은 종장 제1구의 3자를 어기지 않는 것이 정도이며, 종장 제2구는 5자 이상을 확보할 때 시조의 율격이 살아난다.
시조의 내용적 특성을 살펴보면, 고시조의 내용을 보면 인간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 지인간의 별리를 슬퍼하는 이별애상의 노래, 임과 이별한 후 임의 무정함을 원망하면서도 사모하는 내용을 읊은 노래, 강호한정의 노래, 田家閑居의 노래, 致仕귀전의 노래, 안빈낙도의 노래, 연주충군의 노래, 감격군은의 노래 등이 있고, 마음으로 충성을 다하고 절개를 지킨다는 단심충절의 노래, 국사를 걱정하여 세상이 되어가는 형편을 탄식하고 근심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가 있다.
4) 가사의 종류와 특성을 서술하시오.
가사는 시조와 함께 조선조 문학의 쌍벽을 이루는 장르로서 일제시대까지 창작, 향유되어온 우리 고유의 문학 갈래이다. 가사란 3.4조 혹은 4.4조가 우세한 4음보격 무제한 연속체로 일정한 율격을 지니 다소 개방된 시로 삶을 다양한 모습으로 서술적으로 묘사한 시이다.
가사를 내용적으로 분류해보자면, 사대부가사, 규방가사, 서민가사, 종교가사, 개화가사가 있다.
사대부가사의 내용은 자연과 합일을 표방한 강호생활을 다룬 것이다. 대표작으로는 정극인의 상춘곡, 정철의 성산별곡 등이 있다. 연군과 유배의 내용을 다룬 연군가사 정철의 사미인곡, 속미인곡 등이 있다.
유교이념과 교훈을 담은 가사가 있는데, 조식의 권선지로가, 이황의 도덕가 등이 있다.
여정을 중심으로 견문과 감회를 읊은 가사로 기행가사로는 백광홍의 관서별곡, 박권의 서왕별곡, 홍순학의 연행가 등이 있다.
역사, 풍속, 세덕을 담은 가사와 전란의 현실과 비분강개를 다룬 가사가 있다.
규방가사의 내용은 규방가사는 부녀자들에게 향유된 가사로 내방가사라고도 한다. 교훈가사, 생활체험가사를 들 수 있다. 화전가류 가사가 많으며 시집살이의 괴로움과 신세한탄이 주류를 이룬다. 사친가, 사향가, 여지지탄가 등이 있다. 송축류에는 자녀의 장래를 축복하는 귀녀가, 재롱가, 농장가 등이 있다.
서민가사는 기존 관념에 대한 도전과 인간 본능의 표출의 주제의식으로 하여 세계관에 변화에 보이는 작품들에서 서민들 서정인의 개방된 세계관을 읽을 수 있다.
종교가사는 종교의 교리응 널리 펴는 것을 주제로 한 가사로 불교, 천주교, 동학, 유교 가사가 있다.
개화가사는 갑오경장 이후, 개화기를 배경으로 개화문제를 중심화제로 삼은 가사들을 말한다.
가사의 형식적 특성을 말해본다.
첫째, 가사는 전기에는 3.4, 후기에는 4.4. 조의 4음보격 연속체로서 연이 없는 시이다. 일정한 율격을 가진 자유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사대부가사는 3.4조 서민가사와 내방가사는 4.4가 우세하다.
셋째, 사대부가사는 시조 종장과 같은 결사를 가진 것이 많다. 예를 들면 엇더하리, 하노라, 되쇼서 이다. 결사는 사대부들의 취향과 사고방식에 기인한다고 본다.
가사의 내용적 특성을 말해본다. 가사는 역사적 전개에 따라 내용이 많이 다른데,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거친 17세기 중기를 전후로 하여 조선전기와 후기, 일제시대의 가사로 나눌 수 있다. 조선 전기 가사는 주담당층 송순, 정철, 박인로 등으로 대표되는 양반 사대부 계층이다. 그들은 생활의 체헌과 흥취 및 신념을 노래했는데, 특히 두드러지는 것은 ‘강호가사’이다. 조선 후기 가사는 담당층이 다양해지면서 작품의 경향도 다양해졌고, 사회, 경제 등 여러 방면의 내용이 보이고, 당대 민중의 고통, 인물의 풍자, 애정 등의 주제 구현 방식을 다양하게 표출하였고 구체적 현실을 담아내려는 경향이 보인다.
일제시대의 가사는 사회적 격변기의 요구로 인해 다양함이 후퇴하고 교술적인 면이 강화되었다. 개화가사라고 하는 가사는 쉽게 부를 수 있도록 길이가 짧아졌으며, 후렴구가 많이 사용되었다. 국제질서의 적자생존 원리에 대한 각성을 촉구, 현실고발과 충자적 공격성이 강화되면서 분량도 늘어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5) 한시의 종류와 특성을 서술하시오.
한시는 한문으로 지어진 시로, 우리 민족의 사상과 감정을 표현한 우리 선조들의 작품 가운데 중국의 한시 작법에 따라 한문으로 지은 시를 말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서 한문을 사용하여 중국의 전통적인 시가양식에 따라 지은 문학 작품을 자국어문으로 된 시가와 구별하여 부르기도 하며, 통속적으로는 중국의 전통적인 시가 문학까지를 포함해서 이르는 말이다.
한시의 종류를 살펴보면, 고체시, 근체시, 악부시로 나눌 수 있다. 고체시는 일정한 형식의 제한 없이 대체로 짝수 구에 압운하며 중간에 환운까지 할 수 있다. 고체시에는 오언고시와 칠언고시가 있는데, 오언고시는 자유롭게 작자의 문력에 따라 쓸 수 있고, 대표 작품으로 을지문적의 <유수장우중문>과 이안눌의 <사월십오일>이 있다. 칠언고시는 각 구의 칠언인 것만이 오언고시와 다를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5.3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3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