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 고찰 - 기흉(Pneumothorax)
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Ⅳ.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Ⅱ. 간호사정
Ⅲ. 간호진단
Ⅳ. 간호계획 및 수행, 평가
본문내용
: 수면 시간 4시간,
, 낮잠 1시간30분~2시간
수면의 질 : 입원한 뒤로 입원 하기 전 보다 자다 깨다 하는 편, 누워있어도 잠이 잘 오지 않는다.
- 수면에 방해 되는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람들 왔다갔다하는 소리, 가슴에 튜브를 끼고 있으니 불편하다. 자신의 다소 예민한 성격이라고 말하였다.
- 주변 사람들에게 TV소리를 줄이도록 양해를 구하고 침대 시트를 교체해 주어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9월 24일 낮잠의 시간이 20~30분으로 감소되었다.
- 어제는 잘 잤다라고 말로 표현하였고 표정이 다소 밝아보였다.
#2 환경적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 하루수면 4시간 수면한다.
- 미간을 찌푸리고 있다.
- 6인실을 사용하고 있다.
- 흉관 튜브를 착용하고 있다.
- 카페인을 피하도록 한다.
(* 카페인은 흥분 작용이 있는 음료이며 이뇨 작용도 있어 잠들고 나서 화장실에 가고 싶어 자주 일어나게 되어 잠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 통증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진통제의 투여는 통증으로 인한 수면방해를 줄 일 수 있다.)
교육적
- 대상자의 가족에게 대상자의 수면을 돕도록 설명한다.
(* 가족들에게 대상자의 깊은 수면을 돕도록 이해시키고 수면장애요인인 조명, 방문객, 소음 들을 감소시키도록 협조를 구한다.)
- 낮에 수면을 취하지 않도록 격려한다.
(* 낮잠은 밤 수면을 방해하므로 삼가셔야 한다.)
- 규칙적인 운동을 격려한다.
(* 운동을 적당히 해서 피로감이 생기면 잠을 더 잘 수 있으므로 초저녁에 하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밤늦게 하는 운동은 전신을 흥분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잠을 더 못 자게 할 수 있다.)
- 자기 전 음식을 먹으면 자는 것 같아도 위는 계속 운동을 해서 숙면을 취할 수 없다고 교육하였다.
- 낮잠을 자지 않도록 쉬엄쉬엄 운동을 해보는 것도 좋다라 교육하였다.
- 복도에서 왔다갔다 운동하도록 하였으며 함께 걸으며 이야기도 나누었다.
#3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지식부족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과학적 근거
지식부족은 질환에 대한 불안과 현 질환과 같은 진행으로 인한 재입원의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질병의 심도와 추후간호의 필요성은 환자 및 다른 가족들의 협조가 요구되어진다. 정확한 지식은 질병관리에 도움이 된다.
주관적 자료
-“기흉은 어떤병인가요?”
- “이 기구 달고 있어야 하는 건가요?”
-“기구가 참 복잡해보이네요 어떻게 공기와 체액이 나오는 거죠?”
- "담배피면 안되는 건가요?“
객관적 자료
- 밀봉배액 bottle를 유심히 보고 있다.
- 튜브가 side rail에 눌러있다.
- 질환에 대해 물어본다.
목적(장기적)
- 질환에 대해 이해하고 밀봉배액의 관리법을 숙지하여 자가 간호에 참여한다.
기대되는 결과(단기적)
- 담배를 끊는다.
- 문제의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있음을 말로 표현한다.
- 밀봉배액에 대해 이해하고 자가간호를 한다.
진단적
- 질병의 인식 정도를 사정한다.
(* 잘못알고 있는 부분과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
- 밀봉배액법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사정한다.
(*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치료적
- 밀봉 흉곽배액을 하고 있는 쪽 어깨에 관절가동범위 운동과 활동을 하도록 한다.
-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 기침은 분비물을 묽게 하고 흡인하거나 뱉어낼 수 있는 상부기도까지 밀어올린다. 심호흡은 기도를 확장하고 계면활성제 생산을 자극하고 폐조직 표면을 팽창시킨다. )
- 누울때는 우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 배액관 쪽으로 누우면 통증이 유발된다.)
- 금연의 이론적 근거와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지지단체 또는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 기흉이 있는 환자가 흡연을 하는 경우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교육적
- 배액병은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를 위한 환 자 체위를 교육한다.
(* 환자의 가슴높이보다 병이 높아지면 병속의 공기와 물이 흉막강 내로 들어간다.)
- 질병에 대한 정의, 원인, 치료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 지식은 불안을 감소하고 더 좋은 협조를 유도한다.)
- 추가적인 의문점이 있을시 자유스럽게 문의하도록 대상자와 가족을 격려하였다.
(* 질문, 조언은 오해를 교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부작용, 추후간호,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증상을 설명해주고 관련된 책자를 제공한다.
(*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간호에 참여 하도록 하여 심한 합병증을 피하도록 한다. 적합한 정보를 강화시키며 가정용 참고자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조기발견과 치료는 재발을 예방 할 수 있다.)
- 기흉에 대한 질병을 어느정도 알고 있는지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그전에 질병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이 기구(밀봉배액)원리를 알고 있는가? 본적은 있었는지 확인하였다.
친구가 입원했을 때 병원에서 본적은 있으나 원리는 잘 모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성인간호학 책을 가지고 가서 그림을 보여줬다.
- 기침과 심호흡을 하라고 격려하였다.
- 담배를 피우면 재발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였다.
- 퇴원 후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간략하게 이야기 하였다.
- 밀봉 배액 bottle 을 그려가며 밀봉배액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 담배를 끊겠다고 말하였다.
- 기흉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를 말하였다.
- 밀봉배액의 자가 간호를 실시하고 있었다.
- 퇴원 후 사람 많은 곳을 가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참고문헌
- 간호진단과 계획, 2000, 서울대학교 출판부
- 기본간호학 Ⅱ, 2008, 정담미디어
- 성인간호학 Ⅰ, 2008, 수문사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정의, 2008, 수문사
- 간호진단 - 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 1995, 현문사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1997, 현문사
- 병리학, 2008, 현문사
- 인체해부학, 2007, 정담미디어
- 건강사정, 2007, 수문사
, 낮잠 1시간30분~2시간
수면의 질 : 입원한 뒤로 입원 하기 전 보다 자다 깨다 하는 편, 누워있어도 잠이 잘 오지 않는다.
- 수면에 방해 되는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람들 왔다갔다하는 소리, 가슴에 튜브를 끼고 있으니 불편하다. 자신의 다소 예민한 성격이라고 말하였다.
- 주변 사람들에게 TV소리를 줄이도록 양해를 구하고 침대 시트를 교체해 주어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였다.
- 9월 24일 낮잠의 시간이 20~30분으로 감소되었다.
- 어제는 잘 잤다라고 말로 표현하였고 표정이 다소 밝아보였다.
#2 환경적 변화와 관련된 수면장애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객관적 자료
- 하루수면 4시간 수면한다.
- 미간을 찌푸리고 있다.
- 6인실을 사용하고 있다.
- 흉관 튜브를 착용하고 있다.
- 카페인을 피하도록 한다.
(* 카페인은 흥분 작용이 있는 음료이며 이뇨 작용도 있어 잠들고 나서 화장실에 가고 싶어 자주 일어나게 되어 잠을 방해하는 원인이 된다.).
- 통증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진통제의 투여는 통증으로 인한 수면방해를 줄 일 수 있다.)
교육적
- 대상자의 가족에게 대상자의 수면을 돕도록 설명한다.
(* 가족들에게 대상자의 깊은 수면을 돕도록 이해시키고 수면장애요인인 조명, 방문객, 소음 들을 감소시키도록 협조를 구한다.)
- 낮에 수면을 취하지 않도록 격려한다.
(* 낮잠은 밤 수면을 방해하므로 삼가셔야 한다.)
- 규칙적인 운동을 격려한다.
(* 운동을 적당히 해서 피로감이 생기면 잠을 더 잘 수 있으므로 초저녁에 하면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밤늦게 하는 운동은 전신을 흥분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잠을 더 못 자게 할 수 있다.)
- 자기 전 음식을 먹으면 자는 것 같아도 위는 계속 운동을 해서 숙면을 취할 수 없다고 교육하였다.
- 낮잠을 자지 않도록 쉬엄쉬엄 운동을 해보는 것도 좋다라 교육하였다.
- 복도에서 왔다갔다 운동하도록 하였으며 함께 걸으며 이야기도 나누었다.
#3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정보와 관련된 지식부족
자료
목적 및 기대되는 결과
간호계획 및 이론적 근거
수행
평가
과학적 근거
지식부족은 질환에 대한 불안과 현 질환과 같은 진행으로 인한 재입원의 기회를 증가시킬 수 있다.
질병의 심도와 추후간호의 필요성은 환자 및 다른 가족들의 협조가 요구되어진다. 정확한 지식은 질병관리에 도움이 된다.
주관적 자료
-“기흉은 어떤병인가요?”
- “이 기구 달고 있어야 하는 건가요?”
-“기구가 참 복잡해보이네요 어떻게 공기와 체액이 나오는 거죠?”
- "담배피면 안되는 건가요?“
객관적 자료
- 밀봉배액 bottle를 유심히 보고 있다.
- 튜브가 side rail에 눌러있다.
- 질환에 대해 물어본다.
목적(장기적)
- 질환에 대해 이해하고 밀봉배액의 관리법을 숙지하여 자가 간호에 참여한다.
기대되는 결과(단기적)
- 담배를 끊는다.
- 문제의 원인에 대해 이해하고 있음을 말로 표현한다.
- 밀봉배액에 대해 이해하고 자가간호를 한다.
진단적
- 질병의 인식 정도를 사정한다.
(* 잘못알고 있는 부분과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
- 밀봉배액법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사정한다.
(* 추가적으로 알아야 할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치료적
- 밀봉 흉곽배액을 하고 있는 쪽 어깨에 관절가동범위 운동과 활동을 하도록 한다.
- 기침과 심호흡을 하도록 한다.
(* 기침은 분비물을 묽게 하고 흡인하거나 뱉어낼 수 있는 상부기도까지 밀어올린다. 심호흡은 기도를 확장하고 계면활성제 생산을 자극하고 폐조직 표면을 팽창시킨다. )
- 누울때는 우측위를 취하도록 한다.
(* 배액관 쪽으로 누우면 통증이 유발된다.)
- 금연의 이론적 근거와 중요성을 설명해주고 지지단체 또는 프로그램을 연결해준다.
(* 기흉이 있는 환자가 흡연을 하는 경우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교육적
- 배액병은 항상 환자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관이 꼬이거나 꺽이지 않도록 주의하고 이를 위한 환 자 체위를 교육한다.
(* 환자의 가슴높이보다 병이 높아지면 병속의 공기와 물이 흉막강 내로 들어간다.)
- 질병에 대한 정의, 원인, 치료에 대해 알기 쉽게 설명한다.
(* 지식은 불안을 감소하고 더 좋은 협조를 유도한다.)
- 추가적인 의문점이 있을시 자유스럽게 문의하도록 대상자와 가족을 격려하였다.
(* 질문, 조언은 오해를 교정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부작용, 추후간호, 의사에게 보고해야할 증상을 설명해주고 관련된 책자를 제공한다.
(* 대상자가 자신의 건강간호에 참여 하도록 하여 심한 합병증을 피하도록 한다. 적합한 정보를 강화시키며 가정용 참고자료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다. 조기발견과 치료는 재발을 예방 할 수 있다.)
- 기흉에 대한 질병을 어느정도 알고 있는지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그전에 질병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이 기구(밀봉배액)원리를 알고 있는가? 본적은 있었는지 확인하였다.
친구가 입원했을 때 병원에서 본적은 있으나 원리는 잘 모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 성인간호학 책을 가지고 가서 그림을 보여줬다.
- 기침과 심호흡을 하라고 격려하였다.
- 담배를 피우면 재발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하였다.
- 퇴원 후 관리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간략하게 이야기 하였다.
- 밀봉 배액 bottle 을 그려가며 밀봉배액 원리에 대해 설명하였다.
- 담배를 끊겠다고 말하였다.
- 기흉이 무엇인지에 대해 정의를 말하였다.
- 밀봉배액의 자가 간호를 실시하고 있었다.
- 퇴원 후 사람 많은 곳을 가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였다.
참고문헌
- 간호진단과 계획, 2000, 서울대학교 출판부
- 기본간호학 Ⅱ, 2008, 정담미디어
- 성인간호학 Ⅰ, 2008, 수문사
- 간호과정의 이론과 정의, 2008, 수문사
- 간호진단 - 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 1995, 현문사
- 간호진단과 이론적 근거, 1997, 현문사
- 병리학, 2008, 현문사
- 인체해부학, 2007, 정담미디어
- 건강사정, 2007, 수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