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덴동어미의 일생과 신분변화
3. 덴동어미의 일생에 따른 가옥의 변화
4. 맺음말
2. 덴동어미의 일생과 신분변화
3. 덴동어미의 일생에 따른 가옥의 변화
4. 맺음말
본문내용
질와 가격면에서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 햇빛을 막는 차양 설치여부나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방화장 설치여부는 경제적인 부의 차이를 부각하기에 충분하다.
지금까지 덴동어미의 파란만장한 삶을 따라서 가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정말 이 한사람의 일대기에서 그 당시 상류층 가옥에서 하류층 가옥까지 모두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즉, 조선후기 당시 신분제 붕괴에 따른 신분역전 현상과 하극상 현상이 얼마나 심했고,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는지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4. 맺음말
이상에서「덴동어미 화전가」내용의 2/3를 차지하는 덴동어미의 일생담을 신분의 변모과정과 그에 따른 가옥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리 해보자면, 덴동어미는 원래 중인신분으로 첫 번째 장 이방의 아들과, 두 번째 이상찰의 후취로 들어 갈 때까지는 같은 신분 내에서 이상적인 결혼을 하며, 크고 넓은 기와집 안채에서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나 이포로 집안이 박살난 뒤 손 군노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게 되는데, 이번엔 안채가 아닌 ‘下의 공간’인 행랑에서 세월을 보낸다. 그러다 역병이 돌고 거지가 된 덴동어미는 황 도령과 결혼하고 그릇장수가 된다. 그러나 집은 없었고, 주막에서 주로 지냈다. 산사태로 남편을 잃은 후 그녀는 엿장수 조 첨지에게 시집을 가게 되고, 평범하고 아주 작은 초가집에서 삶을 꾸려나간다. 그러다 화재로 남편을 잃고 병신이 된 아들을 데리고 고향에 와 6촌언니의 집에서 살게 되는데, 이 곳도 역시 서민가옥이나 조 첨지네 보다는 규모가 약간 큰 집이었다. 덴동어미는 부잣집 귀한 딸에서 시작하여 가장 천대시 받는 머슴을 거쳐 결국엔 평민 신분이 되었다. 그야말로 안 겪어 본 신분은 없을 정도였고, 그에 따라 당연히 안 살아본 집도 없었을 정도였다. 기막힌 삶이 아닐 수 없다.
이 작품은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의 연구들로 인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들을 인정받아 왔다. 문학작품으로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고, ‘수절’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개가의식에 대해서도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필자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조선후기의 전체적인 상황, 즉 신분제 변화, 그것에 따른 생활모습 등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자료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새삼스럽게 우리시대 이전에 남겨진 문학작품들이 그 시대를 연구하는데 얼마나 중요하고 귀중하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깨달았다.
더불어 필자의 의식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덴동어미와 같은 기막힌 삶을 겪는다면, 분노하고 이 세상을 저주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고 그 다음 삶을 준비하여 나갔다. 한편 우리들 자신은 어떠한가? 조금만 어려움이 주어져도 엄살을 부리고 꾀를 부리면서 회피하려하고, 만약 강제로 닥치면 온갖 불평과 불만이 다 나오는게 현실이다. 이 글을 보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 아직도 이 작품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많은 학자들이 이 작품에서 더 좋은 주제로 더 많은 좋은 내용을 뽑아내길 기원한다.
지금까지 덴동어미의 파란만장한 삶을 따라서 가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정말 이 한사람의 일대기에서 그 당시 상류층 가옥에서 하류층 가옥까지 모두 볼 수 있었다. 이것은 즉, 조선후기 당시 신분제 붕괴에 따른 신분역전 현상과 하극상 현상이 얼마나 심했고,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는지 온몸으로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4. 맺음말
이상에서「덴동어미 화전가」내용의 2/3를 차지하는 덴동어미의 일생담을 신분의 변모과정과 그에 따른 가옥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정리 해보자면, 덴동어미는 원래 중인신분으로 첫 번째 장 이방의 아들과, 두 번째 이상찰의 후취로 들어 갈 때까지는 같은 신분 내에서 이상적인 결혼을 하며, 크고 넓은 기와집 안채에서 행복하게 살았다. 그러나 이포로 집안이 박살난 뒤 손 군노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게 되는데, 이번엔 안채가 아닌 ‘下의 공간’인 행랑에서 세월을 보낸다. 그러다 역병이 돌고 거지가 된 덴동어미는 황 도령과 결혼하고 그릇장수가 된다. 그러나 집은 없었고, 주막에서 주로 지냈다. 산사태로 남편을 잃은 후 그녀는 엿장수 조 첨지에게 시집을 가게 되고, 평범하고 아주 작은 초가집에서 삶을 꾸려나간다. 그러다 화재로 남편을 잃고 병신이 된 아들을 데리고 고향에 와 6촌언니의 집에서 살게 되는데, 이 곳도 역시 서민가옥이나 조 첨지네 보다는 규모가 약간 큰 집이었다. 덴동어미는 부잣집 귀한 딸에서 시작하여 가장 천대시 받는 머슴을 거쳐 결국엔 평민 신분이 되었다. 그야말로 안 겪어 본 신분은 없을 정도였고, 그에 따라 당연히 안 살아본 집도 없었을 정도였다. 기막힌 삶이 아닐 수 없다.
이 작품은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의 연구들로 인해서 다양한 분야에서 그 가치들을 인정받아 왔다. 문학작품으로서도 큰 가치를 지니고 있고, ‘수절’을 강조하는 조선시대 개가의식에 대해서도 큰 변화를 보여주었다. 또한 필자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조선후기의 전체적인 상황, 즉 신분제 변화, 그것에 따른 생활모습 등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자료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필자는 새삼스럽게 우리시대 이전에 남겨진 문학작품들이 그 시대를 연구하는데 얼마나 중요하고 귀중하게 사용되는지에 대해 깨달았다.
더불어 필자의 의식변화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덴동어미와 같은 기막힌 삶을 겪는다면, 분노하고 이 세상을 저주하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그러나 그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고 그 다음 삶을 준비하여 나갔다. 한편 우리들 자신은 어떠한가? 조금만 어려움이 주어져도 엄살을 부리고 꾀를 부리면서 회피하려하고, 만약 강제로 닥치면 온갖 불평과 불만이 다 나오는게 현실이다. 이 글을 보고 반성할 필요가 있다. 아직도 이 작품은 다양한 관점에서 연구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많은 학자들이 이 작품에서 더 좋은 주제로 더 많은 좋은 내용을 뽑아내길 기원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