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동어미 화전가 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덴동어미 화전가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개관

⑴ <덴동어미화전가>의 줄거리

⑵ <덴동어미화전가>의 창작연대

2. <화전가>와 <덴동어미화전가>

⑴ <화전가>에 대하여

⑵ <화전가>로서의 <덴동어미화전가>

⑶ <화전가>내에서의 <덴동어미화전가>

3. <덴동어미화전가> 작품연구

⑴ 시대적 상황

⑵ 형식적 연구

⑶ 내용적 특성

4. 나가며

본문내용

리에서 화전놀이에 동참을 권유하는 표현으로 시작된다.
② 내용상의 전개에서 가루, 기름 등을 마련하는 과정과 준비의 절차를 노래하고, ‘순흥’의 ‘비봉산’으로 놀라가는 과정, 꽃피는 산의 경치를 노래하고, 음식을 장만하여 놀이를 벌이는 과정까지가 다른 ‘화전가’랑 동일하다.
③ 화전놀이를 즐겁게 마치고 헤어지는 말로 마무리된다.
이렇게 이 작품의 독자성이라 할 만한 ‘덴동어미의 팔자에 얽힌 이야기’를 제외하면 다른 ‘화전가’의 전형성을 그대로 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이 주목을 받는 까닭은 혼자된 여자가 개가할 뜻을 비치자 그에 대해 덴동어미의 경험담으로 네 차례에 걸친 개가의 파란이 길게 이어진다는 점에 있다. 이러한 개가 이야기는 그 유례를 찾아보기 어려울뿐더러 형언하기조차 어려울 정도의 모진 팔자에 시달리는 삶을 노래하고 있다는 점에서 단연 두드러진다. 김대행, 앞의 책, 326-329쪽.
⑶ <화전가>내에서의 <덴동어미화전가>
조동일은 <덴동어미화전가>를 “사대부 부녀자들의 규방가사를 본떠서 변형시키는 수법으로 기존의 관념에 대한 하층민의 반발을 나타낸 작품”이라 하였다. “살기 위해서 처절한 투쟁을 해야 하는 밑바닥 인생에서 보면, 규범과 안정 속에 머무르고 있는 규방가사는 화전놀이의 즐거움을 자랑하는 것은 물론이고, 시집살이가 괴롭고 청춘과부가 외롭다는 푸념조차도 사치스럽기만 했을 것”이라고 말하며 “화전가를 짓는다 해놓고, 모두들 즐기는 광경을 서술하다가 거기 모인 사람들은 전혀 겪어보지 못한 경험을 내놓아 이미 설정한 분위기를 파괴했다”고 했다 조동일,「한국문학통사 3」,지식산업사, 1994년, 381-382쪽.
한편, <덴동어미화전가>를 화전가의 토론 문학적 효용을 잘 보여주는 텍스트라고 이야기 한 연구도 있었다. 화전가류를 ‘여성만의 독자적 세계’를 읊은 장르로 보고 ‘친화적 연대의식’과 ‘조직적 능력’, ‘여성적 삶에 대한 토론’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청춘과부의 한탄에 대한 한 부인과 덴동어미의 상반된 견해차이가 서술자인 작가에 의하여 보고 되고 있다고 했다. 이혜순 외 공저,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999년, 355-366쪽.
서영숙은 <덴동어미화전가>가 작품의 수용양상에 따른 분류 중 ‘창의적 수용형태’를 가진다고 보았다. 서영숙은「여성가사에 투영된 작가와 독자의 관계-화전가를 중심으로」에서 화전가에 나타난 작가와 독자의 관계에 따라 작품의 양상이 달라지는 모습을 다섯 가지 항목(젊은 여성들 간에, 젊은 여성이 남성들에게, 남성이 젊은 여성들에게, 여자노인이 젊은 여성들에게, 여자 노인들간에) 에 걸쳐 살펴보았고, 그 다음으로 독자에 초점을 두어 작품의 수용양상을 두 가지 경우(모방적 수용, 창의적 수용)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서영숙,“여성가사에 투영된 작가와 독자의 관계-화전가를 중심으로”『한국여성가사연구』, 국학자료원, 1996년, 240쪽.
‘창의적 수용’이란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읽고 난 후 자극을 받아 스스로의 작품을 창작해내는 경우를 말한다. 가사의 주요 등장인물을 청춘과녀, 한 부인, 덴동어미 세 사람으로 보고 이 때 작가가 작품 속에 내포된 관찰자의 입장에 서서 객관적으로 다른 세 사람이 주고 받는 대화를 가사화하고 있는 기법이 주목된다고 했다. 이는 열일곱살 청춘과녀인 작가가 화전놀이에서 덴동어미를 비롯한 여러 다른 부인의 사설을 듣고서 이를 창의적으로 수용하여 새로운 가사를 만들어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가사의 형식만 빌렸을 뿐 거의 소설적인 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박경주는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화전가가 보여주는 의사소통 방식에 주목했다. 작품 초반에서 청춘과부는 서술자에 의해 “열입곱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1.0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68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