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기행2-사이버강의-(기말고사)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문화기행2-사이버강의-(기말고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생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1992년-현재
-러시아의 상징물
:러시아 국기-삼색기:위로부터 흰색,파란색,붉은색
-뾰뜨르 대제 시기 네덜란드의 기를 모방해서 만듦
-1991년 8월에 제정됨(러시아혁명 이전의 제정 러시아의 국기를 부활시킴)
-색깔의 의미:흰색은 평화와 정의,파란색은 설싱과 신념,붉은색은 정열과 피를 각각 의미
:러시아 국가-옛 소비에뜨 국가에 2001년 원작사자인 미할꼬프가 개사하여 현재 국가로 불리고 있음
:러시아 문장-구성:쌍두 독수리,3개의 왕관,발톱의 홀과 구,기사의 방패가 그려져 있음
-3개의 왕관:행정,입법,사법권 상징
-홀과 구:주권 수호의 의지와 국가의 통일성을 의미
-방패:옛 모스크바 공국 초기의 문장으로 악과의 투쟁과 모스크바의 중요성을 상징
※연방 주체 및 정치,정부기구
-연방주체:21개 공화국,6개 지방,49개 주,1개 자치구,10개 자치구,2개 연방시(모스크바,쌍뜨 빼쩨르부르그)등 총89개
-21개 공화국:구소련 당시 인구,면적에 관계없이 독특하고 통합적인 경제권을 형성하거나 또는 특정지역에 집단 거주하는 대규모 소수집단에 대한 자치권 부여.독자적인 헌법 의회 내각 및 자체언어를 보유하거나 독립국가로서의 지위는 없음
-자치구:토착민을 중심으로 구성,제한적인 자치권만 향유,자치구가 속한 해당지방이나 주의 소속으로 규정됨
-정치제도
:행정부-대통령(4년임기,1회중임),내각(총리1명,부총리1명,각료16명)
:입법부-양원제 연방의회(상원178명,하원450명)-상원(연방회의)은 89개 연방주체에서 2명씩 선출
-하원(국가두마)은 225개 선거구에서 지역대표로 225인,비례대표제로 225인을 선출
:사법부-연방헌법재판소,연방대법원,연방중재재판소,연방재판소로 구성
-재판절차는 3심제,합의제,배심원제
※러시아 대지의 샘인 주요 호수들의 이름은:바이칼 라도가 오네가 호수
※러시아 양극지역간의 시간차이는 몇 시간인가:11시간
※러시아 연방주체는 모두 몇 개인가:89개
※러시아 정교회의 역사
-끼예프 루시 및 몽골 지배 시기(862-1480)
:980년 끼예프 루시의 브라지미르 대공이 중앙집권화를 위해 이교신앙 장려 정책을 펼침- 실패
:988년 그리스 정교 수용-기독교 신앙과 민간 신앙 공존의 \'이중신앙\'형성
-성공이유:끼예프인들의 현세 지향적 특성과 민간신앙과 기독교의 단일신앙체계의 유사성 (뻬룬=하나님)
:끼예프에 부주교관을 설치(14세기 전반 모스크바로 이전)-초기에 러시아 정교회는 콘스탄티노플 총주교에게 종속
:몽골지배시기-종교에 관대한 정책,각지에 수도원이 설립됨-A.따르꼽스끼의 안드레이 루블료프(1966)
-모스크바 공국 시기(1480-1613)
:1453년 비잔틴 제국 몰락-러시아 정교회는 그리스 정교회로부터 사실상 독립-모스크바 제3로마이론
:소유파와 비소유파 논쟁-16세기 초 수도원 토지 소유를 둘러싼 논쟁-소유파 승리로 교회 와 국가 밀월관계
:1559년 모스크바 부주교가 총주교로 승격됨(비잔틴 전통 유지로 인한 정교분리의 원칙 존재하지 않음-서방으로부터의 고립지속)
:교회 분열-17세기 초 총주교 니꼰의 전례문과 전례방식 개혁이 발단-정교회에서 고의 식파(구교도),분리파 이탈
:1700년 이후 총주교 선출 금지
-제정 러시아와 임시정부 시기(1613-1917)
:1721년 총주교제도 폐지/신성종무원설치-교회는 국가의 한 기관으로 전락
:1917년 초 임시정부시절 총주교제 부활
-소비에뜨 러시아 시기로부터 현재까지(1918-현재)
:1918년 볼셰비끼의 종교탄압-건물을 포함한 교회의 모든 자산 국유화(구세주 그리스도 교회 파괴)
:1941년 제2차 세계대전 발발 후 잠깐의 종교적 해빙기 도래-애국심 고취 일환
:1950년대 후반부터 80년대 초반까지 흐루시쵸프와 브레주네프 시대-반종교 선전이 한층 강화됨
:1988년 러시아 정교회 1000년제-종교적 자유에 대한 허가의 징후
:1990년 소비에뜨 입법부\'종교의 자유에 관한 벌률안\'통과
:1990년 러시아 정교회 총주교로 알렉시2세 선출(현재까지 재임중)
:1997년 \'구세주 그리스도 교회\'재건축
※러시아 정교회의 상징들
-십자가:모양-라틴식 십자가에 횡축과 경사진 나무가 더 붙어 있음
:각 부분의 상징-위로부터 그리스도의 머리,못 박힌 그리스도의 두 팔,두발을 상징
:맨 아래쪽 횡목-십자가에 못 박혔던 두 강도를 상징-오른쪽은 긍정적 왼쪽은 부정적의미
-상호긋기:의미-예수그리스도와 성삼위일체에 대한 사람들의 신앙과 주님의 뜻에 대한 순종
:순서-세손가락으로 이마(성부)-배(성자)-오른쪽 어깨(성자들)-왼쪽 어깨(성령)
:손가락 모양의 의미-세 손가락은 성삼위일체를,두 손가락은 그리스도가 지닌 신성과 인성을 각각 상징
-정교회 사원의 모양과 구성
:사원의 모양-바실리까(방주형),로똔다(원형),십자가형
:사원 내부의 구성-세부분으로 구성됨-1.쁘리드보르(출입구)2.회중석(예배드리는곳),3.지성소(제단이있는곳),성화벽(이코노스타스)
-교회 지붕 모양과 상징적 의미
:꾸뽈(둥근지붕)-정교회 사원의 황금빛 양파머리 지붕의 명칭,불타는 촛불 모양으로 성령의 불꽃을 상징
:꾸뽈 수에 따른 상징적 의미-1개(하나님으 유일함),2개(그리스도의 신성,인성),3개(성삼위일체),4개(사복음서),5개(그리스도와
네 명의 복음서 저자들),7개(교회의 칠성례와 7차례의 공의회)
:탑의 종소리
-정교의 사제들
:구분-결혼한\'백승\'과 독신 수도사인\'흑승\'으로 구분
:성직등급-크게 주교 사제 보제 로 분류
:일반 정교회 사제들은 대부분 백승이며 수도원의 수도사들은 독신의 경우가 많음
:주교 같은 고위 성직에는 독신 사제만이 교구회의 선출에 의해 임명됨
:흑승-총주교 부주교 대주교 주교 대수도원장 수도원장
:백승-사제장 사제 보제장 보제
※러시아 정교회 12대축일
-개신교가 크리스마스를 최대의 축일로 간주하는데 반해, 러시아 정교회는 부활절을 최대의 축일로 간주함
:1월6일-주 세례일-예수가 세례요한에게 세례받음
:2월2일 주 봉헌일 예수부모가 아기 예수를 성전에 바침
:3월25일 성모 수태고지일 천사가 성모께 예수의 잉태를 알림
:부활절 직전 일요일 주 예루살렘 입성일 일명 버드나무 주일
:부활절 후 40일
  • 가격3,000
  • 페이지수51페이지
  • 등록일2011.06.08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30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