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본문내용
끌어 가는 사람을 말함. 이러한 연학의 명칭이나 특성,
역할에 대한 관점 등은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왔음.
연출 역할 개념의 발전
희랍시대 - 디오니서스신에 대한 축제행사의 일환으로 비극경연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국 가적 행사였으며 이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명예로운 일이었다.
행사 참여는 누구나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고 국가가 지적하여 요청하며,요 청 받은 사람이 책임을 지고 작품을 써서, 배우들을 모아 연습시키고,
작품을 제작하여 경연에 참가하였다. 이때에는 작가중심 체제이며 작가가 자 신이 쓴 작품을 배우들에게 연습시켰으로 \'희곡은 곧 무대\'의 결과로 나타났 다. 희곡을 수정하거나 다르게 해석하는 일은 있을 수 없었다.
16세기 - 영국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배우 중심으로 변한다. 작품 제작에 대한 총체적 주 도권은 제 1배우에게 있었으니 배우들을 연습시키고, 제일 선두 입장에서
무대화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맡았다. 이러한 배우 중심 체제는 여러 곳에서 발 견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민속 공연예술이 배우 중심 체제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판소리,전통무용,여러 종류의 탈춤 등이 모두 연기자 중심 이다.
연출이나 작가 같은 역할 분담 제도는 아직은 없다. 이러한 연기자 중심제도의 특성은 작품 구성에 있어 희곡의 내용이나 이미 선대의 사람들에 의해 무대화 되어서 내려오는 틀을 조금도 훼손함이 없이 복사하듯이 이어 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타일은 전통을 유지 보존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 러나 독창적 창의성의 측면에서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19세기 - \'연출\'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처음 나타난다. 1866년 소 군 주공화국 Sax-Meiningen의 군주,Geong 2세 공작은 예술에 대한 후원에 심혈 을 쏟는다. 그리고 Meiningen극단을 설립하여 열렬히 지원하며 또한 스스로도 예술감독직을 맡아 (1870-1875)작품 활동을 하기도 한다.
그는 소위 연출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고, 또한 희곡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 하 고 자기의 생각을 무대화 과정에 반영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시 유럽의 주된
경향이었던 낭만주의적인 유형화 연기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상에서와 같 은 \'자연스런\' 연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프랑스 자연주의 연극운동 의 선구자이며 \'자유극장\' 운동을 일으켰던 앙드레 앙뜨안느, 러시아의 스타니슬 라브스키, 독일 프라이에 뷔네의 오토 브람등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들은 모두 자연주의 연극운동의 선구자들이기도 하다. 이후 연출의 독창성은 점차 강 조되고, 특히 20세기 들어서는 연출의 창조적 역할을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게 한다.
1960년대 - 소위 포스트모던 실험연극 운동이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는데 그들은 더욱 공격적인 연출 스타일을 시도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처럼 희곡 에 대해 무엇보다도 적극적 자세를 보여 해체와 재구성을 시도하기도 하고, 나아가서 희곡 자체를 부정하고 공연대본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들은 또한 무대사용, 연기 스타일,
제작방법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미학을 주장하며 공연예술의 적극적 주도 자의 입지를 세운다.
연출과정
연출과정은 개별적 개성에 따라 초점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데, 대체로 공연 제작 과정이 되지만 [Open Theatre]의 조셉 체이킨 같은 사람은 공연보다는 연습 자체에 제1의 비중을
두기도 한다. 또한 미국 [Squart Theatre]의 단원들은 연출과정이나 연습과정 자체를 따로 갖지 않고 일상적 삶 그 자체를 통해서 작품을 구성하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Living Theatre]도 일상적 삶과 예술적 삶의 구분을 거부하며 연습과정을 일상적 생활과 동일시하려 한다.
+대본준비 - 작품선정 -> 해석과 재해석
작품선정의 원칙 - 연작품선정의 원칙 - 공연의 목표에 근거.
공연목표의 종류 - 대게 흥행,작품성과,단원 훈련,교육,지역사회봉사,예술적 차원이 새로운 시도 등
+연기진과 스탭진 구성
작품 수정 또는 재해석, 재구성하던가 하여 대본 준비가 이루어지면 -> 연기진과 스탭 진 구성 -> 본격적 연습에 들어갈 준비.
대본 준비과정 - 연출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이 과정에서 상당한 비중을 두고 오랜 기간을 사용하기도 하고 방법에 있어서도 스스로 혼자 해결하는 사람 또는 여러 분야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으며 조심스레 심도 있게 접근 하기도 함.)
<예>미국 브로드웨이 - 준비과정에서 다각도로 철저한 분석과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 과 기술 자문을 종합하여 세밀한 계획
연기진 구성 - 공연목적에 따라 방향이 갈라질 수 있음. 흥행에 목표를 둘 경우에는 인 기도가 높은 스타 연기자를 선택, 작품성에 목표를 둘 경우에는 연기력 에 비중을 둠. 제작규모에 따라서 출연료 문제도 고려의 대상이 됨.
*연습
대사연습, 동작연습, 무대연습 등으로 구분
대사연습 - 화술에 집중
-> 동작선 연습(\'blocking\'연습)
-연기자들의 무대에서의 움직임들은 대부분 연출에 의해 계획됨
-> 종합적인 무대 연습
-무대연습은 실제 공연할 무대 위에서 행하는 것이 이상적
-> 장치, 조명 등 제반 기술적 요소들을 갖추고 종합적 연습.
-전체를 통합 조정하는 테크니컬 리허설 작업이 주가 됨.
*공연 과정
대게 무대감독(stage-manger)에게 전체를 총괄하도록 임무를 넘김.
무대감독은 공연하는 무대를 이끌어가는 기술적 전문가로서 연출에 의해 구성된 작품을 독자적으로 수정하거나 변형하지는 못함. 부득이할 경우 연출과의 합의하에 가능할 수도 있음.
*마무리 과정
극단의 성격, 연출의 단체에서의 위치 등에 따라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
(예를 들면 초청 연출일 경우에는 마무리 과정에서의 역할은 많이 홀가분함.)
* 퀴즈
1. 예술적 차원에서 공연 제작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총괄하고 리드하는 자는? (연출)
2. 희랍시대에는 작가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다. 오늘날 우리나라 대부분의 민속공연에서 는? (배우)
3. 작가나 배우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을 때 나타날 수도 있는 문제점은? (새로운 독창성 결여)
역할에 대한 관점 등은 지속적으로 변화와 발전을 이루어 왔음.
연출 역할 개념의 발전
희랍시대 - 디오니서스신에 대한 축제행사의 일환으로 비극경연이 포함되었는데, 이는 국 가적 행사였으며 이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명예로운 일이었다.
행사 참여는 누구나 할 수 있었던 것은 아니고 국가가 지적하여 요청하며,요 청 받은 사람이 책임을 지고 작품을 써서, 배우들을 모아 연습시키고,
작품을 제작하여 경연에 참가하였다. 이때에는 작가중심 체제이며 작가가 자 신이 쓴 작품을 배우들에게 연습시켰으로 \'희곡은 곧 무대\'의 결과로 나타났 다. 희곡을 수정하거나 다르게 해석하는 일은 있을 수 없었다.
16세기 - 영국 셰익스피어 시대에는 배우 중심으로 변한다. 작품 제작에 대한 총체적 주 도권은 제 1배우에게 있었으니 배우들을 연습시키고, 제일 선두 입장에서
무대화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맡았다. 이러한 배우 중심 체제는 여러 곳에서 발 견된다. 현재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민속 공연예술이 배우 중심 체제의
전통을 가지고 있다. 판소리,전통무용,여러 종류의 탈춤 등이 모두 연기자 중심 이다.
연출이나 작가 같은 역할 분담 제도는 아직은 없다. 이러한 연기자 중심제도의 특성은 작품 구성에 있어 희곡의 내용이나 이미 선대의 사람들에 의해 무대화 되어서 내려오는 틀을 조금도 훼손함이 없이 복사하듯이 이어 간다는 것이다. 이러한 스타일은 전통을 유지 보존하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 러나 독창적 창의성의 측면에서는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19세기 - \'연출\'이라는 용어는 19세기 중반을 넘어서면서 처음 나타난다. 1866년 소 군 주공화국 Sax-Meiningen의 군주,Geong 2세 공작은 예술에 대한 후원에 심혈 을 쏟는다. 그리고 Meiningen극단을 설립하여 열렬히 지원하며 또한 스스로도 예술감독직을 맡아 (1870-1875)작품 활동을 하기도 한다.
그는 소위 연출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하고, 또한 희곡에 대해 나름대로 해석 하 고 자기의 생각을 무대화 과정에 반영하기도 한다. 그리고 당시 유럽의 주된
경향이었던 낭만주의적인 유형화 연기에 불만을 가지고 있었으며 일상에서와 같 은 \'자연스런\' 연기를 시도한다. 이러한 그의 경향은 프랑스 자연주의 연극운동 의 선구자이며 \'자유극장\' 운동을 일으켰던 앙드레 앙뜨안느, 러시아의 스타니슬 라브스키, 독일 프라이에 뷔네의 오토 브람등에게 영향을 주게 되는데 이들은 모두 자연주의 연극운동의 선구자들이기도 하다. 이후 연출의 독창성은 점차 강 조되고, 특히 20세기 들어서는 연출의 창조적 역할을 무엇보다도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게 한다.
1960년대 - 소위 포스트모던 실험연극 운동이 미국 뉴욕을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는데 그들은 더욱 공격적인 연출 스타일을 시도 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처럼 희곡 에 대해 무엇보다도 적극적 자세를 보여 해체와 재구성을 시도하기도 하고, 나아가서 희곡 자체를 부정하고 공연대본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들은 또한 무대사용, 연기 스타일,
제작방법 등 여러 분야에서 새로운 미학을 주장하며 공연예술의 적극적 주도 자의 입지를 세운다.
연출과정
연출과정은 개별적 개성에 따라 초점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데, 대체로 공연 제작 과정이 되지만 [Open Theatre]의 조셉 체이킨 같은 사람은 공연보다는 연습 자체에 제1의 비중을
두기도 한다. 또한 미국 [Squart Theatre]의 단원들은 연출과정이나 연습과정 자체를 따로 갖지 않고 일상적 삶 그 자체를 통해서 작품을 구성하는 특별한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Living Theatre]도 일상적 삶과 예술적 삶의 구분을 거부하며 연습과정을 일상적 생활과 동일시하려 한다.
+대본준비 - 작품선정 -> 해석과 재해석
작품선정의 원칙 - 연작품선정의 원칙 - 공연의 목표에 근거.
공연목표의 종류 - 대게 흥행,작품성과,단원 훈련,교육,지역사회봉사,예술적 차원이 새로운 시도 등
+연기진과 스탭진 구성
작품 수정 또는 재해석, 재구성하던가 하여 대본 준비가 이루어지면 -> 연기진과 스탭 진 구성 -> 본격적 연습에 들어갈 준비.
대본 준비과정 - 연출자의 개성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 가능
(이 과정에서 상당한 비중을 두고 오랜 기간을 사용하기도 하고 방법에 있어서도 스스로 혼자 해결하는 사람 또는 여러 분야전문가들의 도움을 받으며 조심스레 심도 있게 접근 하기도 함.)
<예>미국 브로드웨이 - 준비과정에서 다각도로 철저한 분석과 각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 과 기술 자문을 종합하여 세밀한 계획
연기진 구성 - 공연목적에 따라 방향이 갈라질 수 있음. 흥행에 목표를 둘 경우에는 인 기도가 높은 스타 연기자를 선택, 작품성에 목표를 둘 경우에는 연기력 에 비중을 둠. 제작규모에 따라서 출연료 문제도 고려의 대상이 됨.
*연습
대사연습, 동작연습, 무대연습 등으로 구분
대사연습 - 화술에 집중
-> 동작선 연습(\'blocking\'연습)
-연기자들의 무대에서의 움직임들은 대부분 연출에 의해 계획됨
-> 종합적인 무대 연습
-무대연습은 실제 공연할 무대 위에서 행하는 것이 이상적
-> 장치, 조명 등 제반 기술적 요소들을 갖추고 종합적 연습.
-전체를 통합 조정하는 테크니컬 리허설 작업이 주가 됨.
*공연 과정
대게 무대감독(stage-manger)에게 전체를 총괄하도록 임무를 넘김.
무대감독은 공연하는 무대를 이끌어가는 기술적 전문가로서 연출에 의해 구성된 작품을 독자적으로 수정하거나 변형하지는 못함. 부득이할 경우 연출과의 합의하에 가능할 수도 있음.
*마무리 과정
극단의 성격, 연출의 단체에서의 위치 등에 따라 역할이 달라질 수 있음.
(예를 들면 초청 연출일 경우에는 마무리 과정에서의 역할은 많이 홀가분함.)
* 퀴즈
1. 예술적 차원에서 공연 제작 전 과정을 주도적으로 총괄하고 리드하는 자는? (연출)
2. 희랍시대에는 작가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다. 오늘날 우리나라 대부분의 민속공연에서 는? (배우)
3. 작가나 배우가 연출의 역할을 맡았을 때 나타날 수도 있는 문제점은? (새로운 독창성 결여)
추천자료
안테나 설계 이론 중간고사 답안 ( 99-4-28 )
2007학년도 1학기 교육사회학 중간고사 (계명문화대학 유아교육과)
경북외대) 인간관계론 중간고사
도덕과 교육의 실제 중간고사
2008학년도 1학기 <논리적 사고> 중간고사
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심리학 중간고사 예제
[해부생리학] 중간고사
2013년 지역 사회복지론 중간고사 시험문제와 답 - 자선조직 협회와 인보관, 새마을 운동 지...
고중세철학 예습지 (중간고사 복습지 포함)
KCU 컨소시엄 <술문화의 이해> 중간고사 정리 노트 ! (1주차~7주차) (총론, 술의 기초이해, ...
기초공학 1학기 80반 중간고사 문제
2014 흥미로운 자동차 중간고사 족보 (60문제)
2010 흥미로운 자동차 중간고사 족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