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응급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응급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경색 예방
1일 1회 100mg 경구 투여
쇼크, 발진, 부종, 두드러기,두통, 동통, 발적 등
Nitroglycerine NTG
관상혈관을 확장하여 심근허혈부위에 대해 혈류를 개선하여 정맥의 긴장도와 정맥혈류를 감퇴시켜 협심증에 효과
급성 협심증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1정을 설하나 구강내에 녹여서 복용
두통, 오심, 구토, 발한, 현기, 심계항진 등
② 응급시 처치상황
ㆍ EKG와 V/S을 측정함.
ㆍ pulse oxymeter와 EKG monitoring을 착용.
ㆍ EM Dr가 환자상태 봄.
ㆍ BST(blood sugar test) 체크함.(149 mg/dl)
ㆍ NTG 1T를 설하투여
ㆍ Line을 확보하고(18G), 0.9% N/S 500ml/ vinyl-pack [0.9% sodium chloride]투여
ㆍ 혈액검사를 시행.
ㆍ Astrix, Aspirin protect 경구 투여
ㆍ chest AP촬영
3. 간호과정
간호 과정
간호진단
#1. 심장허혈과 관련된 통증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가슴이 아프면서 등까지 아파요\"
객관적자료
환자는 가슴을 잡고 인상을 찡그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간호목표
환자의 흉통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①V/S을 측정한다.
②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특징 등을 사정한다.
③v/s 후 처방 된 Nitroglycerin 1정을 설하 투여 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④통증이 15~20분 이내 완화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⑤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위 환경을 편안하게 해주고 조용한 환경을 제
공한다.
간호수행
①V/S 측정 결과 BP - 130/80, T - 36.5도, P - 76회, R - 20회
②대상자에게 흉통의 위치와 시간, 강도 등을 차분한 목소리로 물어 보았다.
- 통증은 가슴과 등 쪽으로 방사, 가슴을 쿡쿡쑤시는 듯하고 쥐어짜는 듯
한 통증
③Nitroglycerin을 대상자의 설하에 넣고 서서히 녹을때까지 기다리라고 교
육하였다.
④Nitroglycerin 1정을 투여 후 대상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통증
약 투여 후 통증이 어떤지 사정하였다.
⑤대상자를 응급실 내 안쪽 침상으로 안내해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 환자의 얼굴을 찡그리고 있지 않았다.
- 처음은 Pain이 10이라 했을때 NTG투여후 나중에는 2~3으로 떨어졌다.
간호 과정
간호진단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왜 이러는 건지 모르겠네요,
심장에 문제가 생겨서 혹시 안 좋게 되는 거 아닌가 ”
객관적자료
- 환자는 걱정과 근심을 표현하고 있다.
-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
간호목표
환자는 현재의 질병 상황을 알고 대처하며, 불안이 감소된다.
간호계획
①불안의 이유에 대해서 환자에게 표현하게 한다.
②치료 시에 긍정적인 이행을 보여준다.
③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④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조용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
간호수행
①“불안한 이유가 무엇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세요?” 라고 물어봐서 환자가 표현을 하도록 하였다.
②투약을 할 때에는 투약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금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③대상자를 응급실 내 안쪽 침상으로 옮겨 드렸다.
④대상자가 하는 말을 주의 깊게 들어 주고, 다른 곳이 또 불편 하지
않은지 끝까지 경청하는 태도를 유지하며 들어 드렸다.
간호평가
치료와 약물 투여 시에 설명을 잘 듣고, 이해하려 하였다.
4. 참고문헌
응급구조학 - 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 현문사
성인간호학 - 현문사
간호과정 -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출판부
1일 1회 100mg 경구 투여
쇼크, 발진, 부종, 두드러기,두통, 동통, 발적 등
Nitroglycerine NTG
관상혈관을 확장하여 심근허혈부위에 대해 혈류를 개선하여 정맥의 긴장도와 정맥혈류를 감퇴시켜 협심증에 효과
급성 협심증 발작이 일어나는 경우 1정을 설하나 구강내에 녹여서 복용
두통, 오심, 구토, 발한, 현기, 심계항진 등
② 응급시 처치상황
ㆍ EKG와 V/S을 측정함.
ㆍ pulse oxymeter와 EKG monitoring을 착용.
ㆍ EM Dr가 환자상태 봄.
ㆍ BST(blood sugar test) 체크함.(149 mg/dl)
ㆍ NTG 1T를 설하투여
ㆍ Line을 확보하고(18G), 0.9% N/S 500ml/ vinyl-pack [0.9% sodium chloride]투여
ㆍ 혈액검사를 시행.
ㆍ Astrix, Aspirin protect 경구 투여
ㆍ chest AP촬영
3. 간호과정
간호 과정
간호진단
#1. 심장허혈과 관련된 통증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가슴이 아프면서 등까지 아파요\"
객관적자료
환자는 가슴을 잡고 인상을 찡그리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간호목표
환자의 흉통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①V/S을 측정한다.
②흉통의 위치, 지속시간, 강도, 특징 등을 사정한다.
③v/s 후 처방 된 Nitroglycerin 1정을 설하 투여 하고 효과를 사정한다.
④통증이 15~20분 이내 완화되지 않으면 의사에게 알린다.
⑤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주위 환경을 편안하게 해주고 조용한 환경을 제
공한다.
간호수행
①V/S 측정 결과 BP - 130/80, T - 36.5도, P - 76회, R - 20회
②대상자에게 흉통의 위치와 시간, 강도 등을 차분한 목소리로 물어 보았다.
- 통증은 가슴과 등 쪽으로 방사, 가슴을 쿡쿡쑤시는 듯하고 쥐어짜는 듯
한 통증
③Nitroglycerin을 대상자의 설하에 넣고 서서히 녹을때까지 기다리라고 교
육하였다.
④Nitroglycerin 1정을 투여 후 대상자의 상태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통증
약 투여 후 통증이 어떤지 사정하였다.
⑤대상자를 응급실 내 안쪽 침상으로 안내해 편안한 분위기를 제공하였다.
간호평가
- 환자의 얼굴을 찡그리고 있지 않았다.
- 처음은 Pain이 10이라 했을때 NTG투여후 나중에는 2~3으로 떨어졌다.
간호 과정
간호진단
#2. 질병에 대한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자료수집
주관적자료
“ 왜 이러는 건지 모르겠네요,
심장에 문제가 생겨서 혹시 안 좋게 되는 거 아닌가 ”
객관적자료
- 환자는 걱정과 근심을 표현하고 있다.
- 환자는 자신의 질병에 대해서 잘 모르고 있다.
간호목표
환자는 현재의 질병 상황을 알고 대처하며, 불안이 감소된다.
간호계획
①불안의 이유에 대해서 환자에게 표현하게 한다.
②치료 시에 긍정적인 이행을 보여준다.
③대상자와 보호자에게 편안한 환경을 제공해준다.
④대상자의 말을 경청하고 조용하고 일관성 있는 태도를 보인다.
간호수행
①“불안한 이유가 무엇인지 말씀해 주실 수 있으세요?” 라고 물어봐서 환자가 표현을 하도록 하였다.
②투약을 할 때에는 투약의 목적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금 환자의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③대상자를 응급실 내 안쪽 침상으로 옮겨 드렸다.
④대상자가 하는 말을 주의 깊게 들어 주고, 다른 곳이 또 불편 하지
않은지 끝까지 경청하는 태도를 유지하며 들어 드렸다.
간호평가
치료와 약물 투여 시에 설명을 잘 듣고, 이해하려 하였다.
4. 참고문헌
응급구조학 - 군자출판사
최신임상간호메뉴얼 - 현문사
간호과정과 임상경로 - 현문사
성인간호학 - 현문사
간호과정 - 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 서울대학교 출판부
추천자료
간호진단 60개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중재 평가 계획 )
정신간호학-컨퍼런스(정신분열증)
긴박성요실금 폐 감염 고체온 간호진단
<지역시회간호>간호과정 중 고혈압 간호진단, 흡연 간호진단
성인 Brain tumor 뇌종양 간호사정/진단/과정
<간호진단> AML case study 간호진단 (면역력 저하 관련 간호진단)
Liver cirrhosis 환자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논문분석리포트(뇌혈관질환자 간호진단) - 뇌혈관질환 환자의 간호진단과 연계된 간호중...
PROM 역할극 및 간호과정 (시나리오, 간호진단 1 양막파열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2 ...
뇌막염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척추관협착증(연구의 필요성 부터~간호진단 및 참고문헌)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급성통증, 불안, 간호진단, cpd, 제왕절개
우울장애 대상자의 정의, 행동특성, 간호진단 및 계획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