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국미용의역사
1.삼국시대
(1)고구려
(2)백제
(3)신라
2.통일신라
3.고려
4.조선
5.개화기
6.일제강점기(1910~1944)
7.해방~1950년대
8.1960~1970년대
9.1980~1990년대
[2]서양 미용의역사
1.고대
(1)그리스
(2)로마-
2.중세(5~15c)
(1)로마네스크 시대(11~13c)
(2)고딕시대(14~15c)
3.르네상스(16c)
4.바로크시대(17c)
5.로코코시대(18c)
1.삼국시대
(1)고구려
(2)백제
(3)신라
2.통일신라
3.고려
4.조선
5.개화기
6.일제강점기(1910~1944)
7.해방~1950년대
8.1960~1970년대
9.1980~1990년대
[2]서양 미용의역사
1.고대
(1)그리스
(2)로마-
2.중세(5~15c)
(1)로마네스크 시대(11~13c)
(2)고딕시대(14~15c)
3.르네상스(16c)
4.바로크시대(17c)
5.로코코시대(18c)
본문내용
갖춘 것으로 머리에 착용하는 관이며 궁중의 대례 때 착용하는것이고 거두미는 머리를 빗어 넘겨 쪽을 진 후에 목제 가발을 떠꽂이라는 비녀로 고정시킨 머리모양이고 어유미는 거두미를 제거한 머리모양이고 낭자쌍계는 미혼녀들이 하던 두 가닥으로 둥글게 서린 머리모양이고 사양계는 조선 초 처녀들의 보편적인 머리모양이고 첩지머리는 첩지를 사용하여 단장한 쪽머리 이고 조짐머리는 다래를 엮어 따로 쪽을 만들어 본머리로 만든 쪽에 덧붙이는 머리모양이고 새앙머리는 사양계의 변형으로 조선조 말에 궁중 나인에게서 보이는 머리모양 얹은머리는 많은 머리모양을 파생시킨 기본적인 머리모양으로 두 가닥으로 땋아 머리 주변을 두르는것이고 둘레머리는 머리를 한 가닥으로 땋아 그것만으로 머리주변을 둘러 매듭짓는 머리모양이고 벌생은 목쪽으로 내려온 쪽이 두 개로 당시 서민 여성들 사이에 유행하던 쪽머리이고 배씨머리는 태어나 처음 단장하는 어린아이 머리로 가르마를 타고 양쪽으로 나눈 머리카락을 여러 등분해서 땋아 이를 뒷머리와 합쳐 땋는 배씨댕기를 사용한 머리모양이고 바둑머리는 배시머리 다음으로 하는 두 번째 머리모양으로 두세 가닥으로 촘촘히 땋은 머리카락을 뒤에서 합쳐 다시 땋아놓고 댕기를 드린 머리로 칠보장식 두 개를 나란히 붙인 모양이 바둑판 모양을 하고 있어 이름 붙여진 머리모양이고 종종머리는 가르마를 타고 양 갈래로 나누어 각기 세 가닥으로 촘촘히 땋아 뒤에서 모은 다음 도투락 댕기나 말뚝댕기를 들여 다시 땋아 내린 머리모양으로 아직은 앳된 11~12살 정도의 소녀의 머리모양이고 땋은머리는 가르마 양편으로 나뉜 머리를 뒤로 모아 한 가닥으로 땋은 처녀의 머리모양이고 쪽머리는 가르마를 타고 양쪽으로 곱게 빗어 뒤로 길게 한 줄로 땋아서 댕기로 끝을 묶은 다음 쪽을 만들어 비녀로 고정하는데 남편이 있는 여자는 자주색 댕기를 드렸고, 과부는 검정색, 상을 당하면 흰색으로 한것등이 있다.
·화장
기초화장에서부터 짙은 색채화장까지 급격한 발달을 이룬 이 시기에는 미를 파는 직업 여성인 기녀가 등장하였고 오늘날의 연예인이라 할 수 잇는 기녀는 단아하고 은근한 미를 풍기던 부녀자의 미용생활에 색조화장이라는 꾸밈의 미용법을 전파시켰다. 눈화장과 연지 같은 색채미와 얼굴형에 따라 그리는 범이 달라지는 눈썹 미용법이 크게 발전하였다.
기녀들의 화장법은 쌀겨 물로 세안하고 녹두로 피부 각질제거도 하고 분도 바르고 먹이나 재로 눈썹도 그리고 홍화가루로 만든 연지도 사용하고 참빗과 동백기름으로 머릿결을 윤기나게 하고 남자를 유혹하는 백단향을 몸에발랐다.
그리고 박가분의 대량생산으로 크림과 미안수 등이 화장품회사에 의해 생산되면서 신문에 미용광고도 하였다.
·시대적특징
- 공민왕은 원의 세력이 약화되자 원에게 빼앗긴 옛 영토를 탈환하기 위하여 새로이 도입 된 성리학(주자학)으로 무장된 신흥 사대부들과 힘을 합하여 원세력과 결탁해 있었던 대토 지 소유의 구귀족과 대결 및 견제->과거에 힘들게 합격하였으나 국가의 재정악화로 녹봉 조차 받지 못하던 신흥 사대부는 구귀족들의 사상적 기반인 불교를 공격하기 위해 불교를 배척하는 이론이 들어 있었던 성리학을 신봉하게 됨->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정권 장악한 신흥사대부 집단은 숭유억불의 성리학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움->과거·학교 제도의 강화 -> but 교육의 중점인 과거공부는 양반들의 전유물화됨
5.개화기
·헤어스타일
큰머리 어여머리
사대부의 부인이나 양반 또는 여염집 여자가 입궐할 때 큰머리를 하였으며 당시까지도 궁중의 왕비들은 조선의 전통 머리였던 어여머리,대수머리를 그대로 유지하고 궁녀들은 한복에 쪽진머리나 첩지머리를 했다. 그러나 점차 개화의식이 유입되고 고종이 단발을 강행하면서 궁중에서도 서서히 의복과 머리형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퐁파두르스타일
퐁파두르 스타일은 긴 머리에 굵은 웨이브를 넣어 가르마 없이 앞머리를 뒤로 넘겨 이마를 드러내고 앞머리를 높이 올린 머리형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업스타일이다.
이 머리모양은 머리에 볼륨을 준 다음 크게 부풀려서 정수리 부분에 틀어 얹거나 리본을 매기도 하고 이마 위에 모자의 챙같이 불룩 내밀어 빗었다는 의미에서 챙머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그런대 개화기 당시 일반 여성들은 단발머리를해야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댕기머리와 쪽진머리를 고수했다.
6.일제 강점기(1910~1944)
·헤어스타일
챙 머 리 둘레머리
1910년대의 머리로 이화학당의 대학과 하생들은 머리를 틀어올려 챙머리를 하였는데 앞머리를 부풀려 빗어 올릴 때 앞머리가 갈라지지 않고 둥글게 챙이 지도록 빗기 위해선 솜씨가 필요했다. 또한 소수의 학생들은 긴 머리를 한 가닥으로 굵게 땋아 터번 모양으로 두르는 둘레머리를 하였다.
트 레 머 리
1920년대에는 챙머리와 함께 트레머리가 널리 유행 했는데 이것은 옆 가르마를 타서 머리뒤로 넓적하게 틀어 붙이는 것으로 심을 넣어 넓적하고 크게 보여야 멋있다고 여겼다.
1937년에는 퍼머넌트 웨이브가 유행하기 시작했다.당시의 퍼머 가격은 쌀 1~2가마에 해당할 정도로 고가여서 부잣집 부인이나 기생, 영화배우 등 특수 계층의 여성들만이 누릴 수 있는 사치였다.
·화장
신식 화장품이 물밀듯 밀려 들어왔다. 처음에는 일본과 청나라부터 유입되었던 것이 한일합방이후 1920년대에는 프랑스를 주로 한 유럽까지 확대되었다.크림,백분,비누,향수등의 수입 화장품은 포장과 품질이 우수하여 여성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후 일본 유학생 오엽주가 종로 화신 백화점에 처음으로 미장원을 개업하고 새로운 메이크업 테크닉과 바니싱 크림등 신식 화장품을 소개하였다. 또 그는 입술 연지를 아랫입술에만 빨갛게 바르고 눈썹을 초승달 모양을 그리는 화장법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7.해방~1950년대
·헤어스타일
해방이후,금지되었던 퍼머넌트 웨이브가 다시등장하였다.40년대 후반의 퍼머는 주로 전기퍼머이다.전기퍼머는 1957년까지 이어졌으며, 남북한의 분단과 함께 사라졌다.
대신 개발된 것은 전기가 아닌 숯을 얹어 머리에 열을 가하는 숯퍼머(불퍼머,카본퍼머)이다.지금의 번개탄과 비슷한 석탄가루를 가늘게 반죽해서 새끼손가락 한마디만 한 크기로 절단 하여 불을
·화장
기초화장에서부터 짙은 색채화장까지 급격한 발달을 이룬 이 시기에는 미를 파는 직업 여성인 기녀가 등장하였고 오늘날의 연예인이라 할 수 잇는 기녀는 단아하고 은근한 미를 풍기던 부녀자의 미용생활에 색조화장이라는 꾸밈의 미용법을 전파시켰다. 눈화장과 연지 같은 색채미와 얼굴형에 따라 그리는 범이 달라지는 눈썹 미용법이 크게 발전하였다.
기녀들의 화장법은 쌀겨 물로 세안하고 녹두로 피부 각질제거도 하고 분도 바르고 먹이나 재로 눈썹도 그리고 홍화가루로 만든 연지도 사용하고 참빗과 동백기름으로 머릿결을 윤기나게 하고 남자를 유혹하는 백단향을 몸에발랐다.
그리고 박가분의 대량생산으로 크림과 미안수 등이 화장품회사에 의해 생산되면서 신문에 미용광고도 하였다.
·시대적특징
- 공민왕은 원의 세력이 약화되자 원에게 빼앗긴 옛 영토를 탈환하기 위하여 새로이 도입 된 성리학(주자학)으로 무장된 신흥 사대부들과 힘을 합하여 원세력과 결탁해 있었던 대토 지 소유의 구귀족과 대결 및 견제->과거에 힘들게 합격하였으나 국가의 재정악화로 녹봉 조차 받지 못하던 신흥 사대부는 구귀족들의 사상적 기반인 불교를 공격하기 위해 불교를 배척하는 이론이 들어 있었던 성리학을 신봉하게 됨->이성계의 위화도회군을 계기로 정권 장악한 신흥사대부 집단은 숭유억불의 성리학을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내세움->과거·학교 제도의 강화 -> but 교육의 중점인 과거공부는 양반들의 전유물화됨
5.개화기
·헤어스타일
큰머리 어여머리
사대부의 부인이나 양반 또는 여염집 여자가 입궐할 때 큰머리를 하였으며 당시까지도 궁중의 왕비들은 조선의 전통 머리였던 어여머리,대수머리를 그대로 유지하고 궁녀들은 한복에 쪽진머리나 첩지머리를 했다. 그러나 점차 개화의식이 유입되고 고종이 단발을 강행하면서 궁중에서도 서서히 의복과 머리형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퐁파두르스타일
퐁파두르 스타일은 긴 머리에 굵은 웨이브를 넣어 가르마 없이 앞머리를 뒤로 넘겨 이마를 드러내고 앞머리를 높이 올린 머리형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업스타일이다.
이 머리모양은 머리에 볼륨을 준 다음 크게 부풀려서 정수리 부분에 틀어 얹거나 리본을 매기도 하고 이마 위에 모자의 챙같이 불룩 내밀어 빗었다는 의미에서 챙머리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그런대 개화기 당시 일반 여성들은 단발머리를해야한다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댕기머리와 쪽진머리를 고수했다.
6.일제 강점기(1910~1944)
·헤어스타일
챙 머 리 둘레머리
1910년대의 머리로 이화학당의 대학과 하생들은 머리를 틀어올려 챙머리를 하였는데 앞머리를 부풀려 빗어 올릴 때 앞머리가 갈라지지 않고 둥글게 챙이 지도록 빗기 위해선 솜씨가 필요했다. 또한 소수의 학생들은 긴 머리를 한 가닥으로 굵게 땋아 터번 모양으로 두르는 둘레머리를 하였다.
트 레 머 리
1920년대에는 챙머리와 함께 트레머리가 널리 유행 했는데 이것은 옆 가르마를 타서 머리뒤로 넓적하게 틀어 붙이는 것으로 심을 넣어 넓적하고 크게 보여야 멋있다고 여겼다.
1937년에는 퍼머넌트 웨이브가 유행하기 시작했다.당시의 퍼머 가격은 쌀 1~2가마에 해당할 정도로 고가여서 부잣집 부인이나 기생, 영화배우 등 특수 계층의 여성들만이 누릴 수 있는 사치였다.
·화장
신식 화장품이 물밀듯 밀려 들어왔다. 처음에는 일본과 청나라부터 유입되었던 것이 한일합방이후 1920년대에는 프랑스를 주로 한 유럽까지 확대되었다.크림,백분,비누,향수등의 수입 화장품은 포장과 품질이 우수하여 여성들로부터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그후 일본 유학생 오엽주가 종로 화신 백화점에 처음으로 미장원을 개업하고 새로운 메이크업 테크닉과 바니싱 크림등 신식 화장품을 소개하였다. 또 그는 입술 연지를 아랫입술에만 빨갛게 바르고 눈썹을 초승달 모양을 그리는 화장법을 유행시키기도 했다.
7.해방~1950년대
·헤어스타일
해방이후,금지되었던 퍼머넌트 웨이브가 다시등장하였다.40년대 후반의 퍼머는 주로 전기퍼머이다.전기퍼머는 1957년까지 이어졌으며, 남북한의 분단과 함께 사라졌다.
대신 개발된 것은 전기가 아닌 숯을 얹어 머리에 열을 가하는 숯퍼머(불퍼머,카본퍼머)이다.지금의 번개탄과 비슷한 석탄가루를 가늘게 반죽해서 새끼손가락 한마디만 한 크기로 절단 하여 불을
추천자료
중국 각 시대별 소설사 정리
한국 대중가요 가사의 시대별 흐름
그리스 미술의 시대별 조사
기업의 경영정보시스템의 시대별 변천사
성경에서 본 나병과 시대별로 살펴본 나병
[교육학]시대별 교수방법 정리
[한국언어 문화의 이해]각 시대별 신조어 분석
OCU 테마로 보는 유럽 문화기행 - 그림으로 알아보는 시대별 유럽의 미술ppt
노틀담의 꼽추를 통해 알아보는 시대별 콘텐츠의 변화
[교육목적의 역사] 교육목적의 변화(시대별 교육목적)
백남준 작품연구 - (백남준 시대별 대표 작품연구 및 작가생애 후대에 미친 영향)
일본 영화의 탄생과 시대별 전개
[한국 소비자운동 발전] 시대별 소비자운동의 전개(우리나라 소비자운동의 역사)
아동발달의 역사와 발달단계(시대별 아동기의 구분, 인간발달단계의 성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