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를 읽고 정신분석이론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경숙 <엄마를 부탁해> 를 읽고 정신분석이론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 잃어버리 세계, 엄마의 재발견

본론 : 주요 등장인물의 행동심리와 정신분석
1. 리비도, 에로스와 타나토스
2. 방어기제 - 억압, 퇴행, 부정, 보상
3. 히스테리와 카타르시스

결론 : 모성, 삶의 본능이 죽음의 본능을 이긴다.

본문내용

서울을 헤매고 있는 장면의 묘사에서 엄마는 세 살 어린아이로 되돌아가 홀로 남겨져 서울의 낯선 거리를 정처없이 떠돌고 있다. 불안하고 위협적인 현실에서 가장 편안하고 행복했던 시절로 회귀하려는 방어기제로 볼 수 있다.
-------------------------------------------------------------------------------------------------------
언젠가 아내가 논 세 마지기를 자기 명의로 해달라고 한 때가 있었다. 왜 그러느냐 물으니 인생이 허멍해서 그런다고 했다. 자식들이 다 제 갈길을 가고 나니 쓸모없는 인간이 된 것 같기고 했다. 오월 어버이날인가 자식들 누구로부터도 연락이 없던 다음 일이었다. 중략... 아내는 자기 옷 앞자락에도 자기가 사온 꽃을 달았다. - 143p
방어기제3. 보상(compensation)
보상은 부족한 점을 감추기 위해 약점을 지각하지 않거나 어떤 정적 특성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그래서 긍적적 관심이나 인정을 받지 못하는 아동들은 부정적 관심이라도 받기 위한 행동을 하기도 한다. 지적으로 열등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신체를 강화하는데 과도할 정도로 에너지를 쓰기도 한다. 사회적으로 무능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독불장군이 되기도 하고, 그들의 지적 능력을 계발하기도 한다.
어버이날 자식들에게 연락 한 통 받지 못한 엄마가 모멸감과 열등감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그들을 위해 살아온 자신의 인생을 보상받으려는 듯 관심을 유발시키는 행동을 보이고 있다.
-------------------------------------------------------------------------------------------------------
- 나, 왔네!
당신은 얼른 방문을 열어보았다. 방안은 텅 비어있었다. 중략... - 나, 왔단 말일세 ... 당신은 일어서서 빈집의 방문들을 죄다 열어보았다. 안에 있는가? 안방과 작은방과 부엌과 보일러실 문까지 열어보며 당신은 꼬박꼬박 안에 있는가 물었다. ... 당신의ㅡ 메마른 눈에 물기가 어렸다. - 154~156p
방어기제 4. 부정
부정은 말 그대로 현실에서 일어났던 위협적이거나 외상적인 사건을, 받아들이지 않고 거절하는 것이다. 위협적인 현실에 대해서 눈을 감아버림으로써 즉 거부함으로써 불안에 대처하는 방법이다.
아버지는 엄마가 서울에서 실종되었으며, 집으로 돌아올 리가 없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집으로 돌아와 무의식중에 아내를 찾고 있다. 아내를 잃은 정신적 충격이 아내의 부재를 거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쉰다섯살이 되던 해 밥을 먹기도 싫고 바깥에 나가기도 싫었재. 얼굴이 뜯기는 것같이 불쾌한 감정 속에 빠져 지냈재. 입을 열면 나한테서 냄새가 나는 것 같았재. 열흘도 넘개 단 한마디도 하지 않았네. 비관적인 생각을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0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1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