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5 오실로스코프의 사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의 목적

2. 관련이론
(1) 오실로스코프의 동작 원리
(2) 디지털 오실로스코프
(5) 파형발생기(function generator)

3. 준비사항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및 분석

6. 검토 및 고찰

본문내용

에서
“①”의 표시를 붙인 주파수 다이얼과 “③”의 표시를 붙인 주파수 배율기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④ 파형발생기의 출력파형의 진폭을 다음의 <표 5.2>와 같이 설정하고, <표 5.2>를
완성하라. 이때 파형발생기의 출력 주파수는 10KHz로 설정하고 파형은 정현파로 하라.
참고로, 파형발생기의 진폭은 <그림 5.8>에 보인 AMPLITUDE를 이용하여 설정한다.
5. 실험결과 및 분석
<표 5.1> 주파수 측정
파형발생기의 주파수
주기당 칸수
time축의 값
파형의 주기
주파수
1 KHz
4칸
250us
100us
100KHz
20 KHz
5칸
10us
50us
20KHz
300 KHz
3.2칸
1ns
3.2ns
300KHz
1 MHz
4칸
250ms
1ms
1MHz
<표 5.2> 진폭의 측정
파형발생기의 진폭
진폭의 칸 수
Volt/DIV축의 값
측정된 전압[Vp-p]
3 Vp-p
1.5
2V
3V
5 Vp-p
1
5V
5V
10 Vp-p
2
5V
10V
15 Vp-p
3
5V
15V
6. 검토 및 고찰
1) 오실로스코프로 파형의 주파수와 진폭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라.
주파수와 진폭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화면에 나타난 눈금과 화면에 나타난
Time/DIV 조절기로 나온값을 그리고 VOLTS/DIV 조절기에의해 나타난 값을
이용해 구할수 있다. 주파수는 수평위치를 조절한뒤 파형의 1주기를 구한다.
1주기는 Time/DIV값 * 한 주기 칸 수를 곱하면 주기값이 나온다. 그다음
주기에 역수를 곱하면 주파수가 된다. 진폭의 경우 파형의 세로 칸수와
VOLTS/DIV 값을 곱하면 진폭을 구할 수 있다.
2) 오실로스코프와 파형발생기의 사용법을 간략히 요약하여 설명하라.
오실로스코프의 경우 프로브를 ch에 연결하고 Autoset으로 측정에 최적화 시킨 뒤
측정하고자 하는 회로의 소자나 부분에 연결한다. 파형발생기 또한 프로브를 연결후
진폭(amplitude)과 주파수 범위 등을 원하는 입력값을 조정한뒤 어느 회로에 연결하면
오실로스코프로 파형과 진폭, 주기를 알 수 있다.
3) 파형발생기에서 sweep 모드란 무엇인지 설명하라.
주파수를 SWEEP 시키는 기능으로 주로 필터특성등에 많이 사용되는데, 가령 1KHZ BPF 를 만들었다고 가정하면 주파수를 사람이 서서히 돌려가면서 출력값을 측정해도 되지만 SWEEP기능을 주면 500hz~2khz 정도로 주파수가 변하면서 필터의 특성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실험실에 있는 기기 모두에 대해서 배웠다. 기본적으로 오실로스코프는
멀티미터와 비슷한 측정계열로 파형으로 값을 화면에 나타내고 파형발생기는 말 그대로
파형을 발생시키는 직류전원공급장치와 비슷했다. 하지만 파형발생기는 단순한 값이
아닌 함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는 전원값이 일정한 직류가 아닌 시간에 따라 변하는 교류를 측정해야하기 때문인 것 같다. 우리가 실상에 쓰는 전자제품들은 직류로 작동되지 만 가정용 전원코드는 220V 교류가 들어온다. 특성상 멀리 전파되기 힘든 직류가 아닌 교 류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0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2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