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사상][실학사상 주요내용][실학자][실학사상의 연구분야]실학사상의 의의, 실학사상의 경향, 실학사상의 시대적상황, 실학사상의 주요내용, 실학사상의 실학자, 실학사상의 연구분야 분석(실학사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학사상][실학사상 주요내용][실학자][실학사상의 연구분야]실학사상의 의의, 실학사상의 경향, 실학사상의 시대적상황, 실학사상의 주요내용, 실학사상의 실학자, 실학사상의 연구분야 분석(실학사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실학사상의 의의
1. 교육이념의 근대화에 기여했다는 점이다
2. 과거제도의 폐단을 비판하고 다양한 대안을 모색했다는 점이다
3. 민족주체성의 제고를 들 수 있다

Ⅲ. 실학사상의 경향

Ⅳ. 실학사상의 시대적상황
1. 서학의 전래를 들 수 있다
2. 고증학의 영향을 들 수 있다
3. 조선 내부의 정치ㆍ사회적 변화이다

Ⅴ. 실학사상의 주요내용

Ⅵ. 실학사상의 실학자
1. 유형원
2. 이익
1) 교육방법
2) 교과목
3. 정약용
4. 그 밖의 실학자 - 이이
1) 도를 교육의 목표로 둔 그의 교육동기는 무엇일까?
2) 율곡에 있어 교육적 인간상은 무엇인가?
3) 그의 교육가능성은 어디에 있는가?

Ⅶ. 실학사상의 연구분야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리고 송대 선유의 <<근사록>><<가례>><<심경>><<이정전서>><<주자대전>><<주자어류>> 및 다른 성리설을 공부하고 남는 힘이 있으면 역사에 관한 공부도 하되, 이단이나 그 밖의 잡류의 부정한 서적은 읽지 말라 하였다.
그는 또 교육방법면에서는 상벌을 통한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였고 전인교육 생활 지도의 중요성에 관해서도 강조하고 있다.
이렇게 볼 때 거의 교육사상은 시대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객관적 의미를 갖기에 충분한 것이며 거의 ‘도’로 표현된 교육 목표, 교육 동기로서의 입지, 성선과 기질변화의 교육 가능성, 평생교육이념, 상벌제도, 전인 교육의 강조 등 다양한 교육 방법의 면에서 현대 교육 문제가 당면한 문제 해결에 중요한 시사를 준다고 할 수 있다.
Ⅶ. 실학사상의 연구분야
실학은 백과전서적 학문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성리학 중심의 전통적 학문체제에 대항하여 다른 학문분야의 가치를 성리학과 대등한 수준으로 향상시키고자 했던 것이다. 실학자들이 집중적으로 연구한 분야는 현실개혁을 위한 사회경제적 문제들이었다. 우선 농업과 농민문제에 크게 관심을 보인 이는 유형원(柳馨遠 1622-1673)이었다. 그는 일생동안 농촌에 살면서 농촌사회의 현실에 대한 지식을 기본으로하여 토지제도와 수취체제 행정 및 군사조직의 개혁에 관한 연구를 진행시켜 나갔다. 이러한 그의 연구는 「반계수록(磻溪隨錄)」에 집약되고 있다. 유형원의 학풍을 이어받은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은 토지제도의 改革을 통해 소농민에게 균등한 토지소유를 보장해 줄 것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는 17세기 이후 국가의 수탈(收奪)속에 화폐유통과 더불어 상업 고리대자본이 농촌에 들어와 농민을 토지로부터 이탈시키는 광경을 직접 근지농촌인 광주(廣州)에서 목격하였기 때문에 보다 현실적이고 근본적인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유형원 이익 등의 개혁사상은 정약용(丁若鏞 1762-1836)에 의해 集大成되었다. 조선왕조가 배출한 최고의 학자로 평가되는 정약용은 「경세유표(經世遺表)」「흠흠신서(欽欽新書)」 「목민심서(牧民心書)」를 저술해서 중앙의 정부조직 및 刑政과 지방행정의 개혁을 논했다. 또한 田論이란 글에서 농민의 이해와 직결되는 토지제도 문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했는데 그의 개혁안은 여전제(閭田論)으로 축약되고 있다. 여전론이란 한 마을을 단위로 하여 토지를 共同所有 共同耕作하여 노동량을 기준으로 수확물의 분배를 제도화하는 개혁안이다.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의 실학자는 농업문제와 농민에게 관심을 두는 이들로 이른바 重農學派, 즉 經世致用學派라고 불린다. 이들의 토지개혁론은 토지를 경작하는 농민을 본위로 한 것으로 토지소유와 경작을 일치시켜 독립된 자영농민을 기본으로 하는 이상국가를 건설하려 했다.
농촌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이들 실학자 이외에 상공업 분야에 깊은 관심을 가졌던 일단의 실학자들이 있다. 유수원(柳壽垣 1694-1755)은 「우서(迂書)」를 통해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전반에 대한 개혁안을 제시했는데 특히 특권상인의 존재를 인정하고 상업자본축적을 꾀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그리고 北學派로 불리는 박지원(朴趾源 1733-1805) 박제가(朴齊家 1750-1806)는 ?의 우수한 문물을 받아들여 朝鮮의 후진성을 극복하려 했다. 이들은 상공업의 발전과 상품유통의 원활화, 기술혁신, 해외통상의 장려 등을 주장했다. 이들은 대개 특권층과 결탁한 서울의 육의전(六矣廛) 등의 특권상인과 都賈행위를 통한 대상인의 독점적 이익에 반대하고 大衆의 소비생활에 직결된 소영업 소생산자들의 자유로운 활동과 성장을 옹호하는 입장이었다. 박지원은 文學藝術運動을 통해 상인 수공업자를 중심으로 하는 庶民의 세계를 신선한 구상과 대담한 사실적 수법(寫實的 手法)으로 표현하면서 革新的 기풍을 조성해 나갔다. 그러나 이는 정조대에 문예반정(文藝反正)으로 탄압을 받았다. 茶山은 북학파의 기술혁신 문제를 수용하여 農具 兵器 등의 광범한 기술개발을 강조하였다. 때문에 그의 시기상으로도 떨어지지만, 농촌 농업문제의 기본적 관점에서 기술개발문제를 수용하여 경세치용파와 이용후생파의 특성적 실학을 집대성하는 역할을 하였다.
일단의 실학자들의 관심을 사회경제적 문제에 둔 반면, 한편으로 민족의 전통과 현실의 당면한 문제에 대해 연구한 실학자도 있다. 우선 歷史分野를 보면 이수광(李?光1563-1628)의 「지봉유설(芝峰類說)」을 들 수 있다. 그는 주로 전통적 사회와 정치에 대한 연구를 했다. 李瀷도 「성호사설(星湖僿說)」에서 國史에 관해 상당부분 서술했는데, 그 제자인 안정복(安鼎福1712-1791)의 「동사강목(東史綱目)」 「열조통기(列朝統紀)」는 그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東史綱目」은 단군조선 이후 고려에 이르는 시기의 역사를 유교적 正統論의 입장에서 서술하고 있다. 한치윤(韓致奫 1765-1814)의 「海東歷史」는 국내외의 史書를 두루 참조하여 기전체(紀傳體)로 정리한 國史書이다. 이외에 이긍익(李肯翊 1736-1806)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이종휘(李鍾徽 1731-1786)의 「東史」를 들 수 있다. 이들은 史書를 통해 民族史를 서술함으로서 민족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립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 정통성 이론의 근거가 왕조사적 정통에 머물러 있고 민족적 정통성에 두지 않았다는데 한계성이 드러난다. 그리고 인문지리 역사지리 분야에서도 연구가 진행되었다. 일단의 실학자들이 사회개혁과 현실문제에 관심을 두었던데 반해 완당(阮堂) 金正喜 등의 소위 實事求是派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계승하면서 금석 전고에 대한 학문에 주력했다. 그는 淸代 고증학(考證學)의 성과를 받아들이면서 차차 고문학에서 금문학으로 관심을 넓혀 갔다.
참고문헌
김경철·임종익 외 공저(1997) : 교육학의 이해, 양서원
김은주(1995) :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실학사상과 개화사상)
이문원(2002) : 조선 후기 실학교육사상의 현대적 조명, 한국교육사학
유원동(1984) : 한국실학개론, 서울 : 정음문화사
조무남 외 2인(2006) : 교육사 교육철학 강의, 서울 : 동문사
한국교육개발원(2000) : 한국교육평론, 한국교육개발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6.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