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평가모형] Moell, Chlimsky의 분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정책평가모형

Ⅰ. Jonatan A. Morell의 분류

1. 고객비교 평가모형
2. 추적평가 모형
3. 양상진단 평가모형

Ⅱ. E. Chelimsky의 분류

1. 사전분석 모형
2. 평가성 평정모형
3. 과정(형성적 개발) 평가모형
4. 효과성(영향, 총괄, 결과) 평가모형
5. 정책 및 문제 모니터링 모형
6. 메타평가 또는 평가종합모형

*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나 정책이 설정한 가정들의 적당성(reasonableness)과 계획되거나
실제의 정책활동이 그 정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지에 관한 질문을 통
해 파악하는 것이다. 이 모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나중에 특정 정책의 효과
성에 대한 전면적인 평가의 실행가능성과 유용성(feasibility and Use-
fulness)을 결정하는 데 기여한다.
3. 과정(형성적 개발) 평가모형
과정(형성 개발)평가(process(formative development) evlauation) 모형
은 현재 추진 중인 정책을 수정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그 정책의 집행 과정
을 검증하고 측정(testing and appraising)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모형의
평가는 주로 독자적으로 실시되기도 하지만 다른 모형의 평가와 결합해서
실시된다. 이 모형의 평가는 언제나 회고 지향적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4. 효과성(영향, 총괄, 결과) 평가모형
효과성(영향, 총괄, 결과) 평가(effectiveness(impact, summative, outcome)
evaluation)모형은 학자들에 따라 약간씩 차이를 두고 구별하기도 하나
Chelimsky는 이들 평가모형을 같은 유형으로 분류한다. 이 평가모형도 회
고 지향적인 성격을 지니며, 특정 정책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효과성평가의 결과는 정책을 존속시킬 것인
지, 확대 추진할 것인지, 아니면 축소하여 집행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내
리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고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
5. 정책 및 문제 모니터링 모형
정책 및 문제 모니터링(program and problem monitoring) 모형은 간헐
적인 사건(once-off event)보다도 지속적인 과정을 초점을 두고 문제의 성
격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거나 다수의 지역에서 실시되는 정책이나 문제 과
정을 추적하는 데 주목적을 둔다. 이처럼 이 평가모형은 정책형성 목적이
나 정책집행 목적들을 달성하는 데 기여한다. 정책이나 문제와 관련해서
수립된 행정자료 체계도 책무성 유형의 문제에 대해 시계열자료를 분석하
여 해답을 구하는 터 기여한다.
6. 메타평가 또는 평가종합모형
대타평가 또는 평가중합(meta-evaluation or evaluation synthesis)모형
은 기존의 하나 또는 다수의 평가를 이응해서 특정 정책에 대해 어떤 결과
가 초래되었는지틀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명가모형을 책무성, 정책형
성, 정책집행 등 서 가지 유형의 평가 목적을 달성하늘 데 매우 유용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모형의 평가는 실제로는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다.
* 참고문헌
- 노화준(2006). 정책분석론. 서울: 법문사
- 공병천(2005). 평가와 감사의 연계 방안. 한국행정연구원
- 김명수(2003). 공공정책평가론. 서울: 박영사
- 김명수, 박준(1995). 공공감사론. 서울: 대영문화사
- 안해균(1986). 정책학원론. 서울: 학산출판사
- 정정길(2004). 정책평가: 이론과 적용. 서울: 법영사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8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