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분쟁과 평화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분쟁과 평화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국제분쟁과 평화교육

Ⅰ. 분쟁과 평화

Ⅱ. 평화교육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이처럼 평화교육이 사회운동과 일정한 합의과정을 거치면서 어
렵게 출발하고 정립되어 가는 이유는 갈빔(Galtung)의 지적대로 \'은
밀한 폭력\'(silent violence)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은밀한 폭력은 폭
력을 학습할 수 있는 잠재적 교육과정이 사회 속에 숨겨져 있으므로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폭력에 노출되어 인간적인 본성에
상처를 입게 되며, 이 과정에서 다른 형태의 폭력을 또한 유도하게 한
다. 따라서 은밀한 폭력은 사회 속에 만연해 있는 일상생활에서의 무
기력감, 승자에 대한 패자의 굴욕이 당연하며 가치 있다는 의식, 인간
관계의 구조적 결핍, 외부환경에 대한 부분별한 착취, 의미가 불분명
한 노동을 양산하게 한다는 점에서 명시적인 폭력보다 더 위험하며, 해
결하기 어렵고 구조적이다. 따라서 평화운동을 통한 사회 계몽 활동이
선행하는 것은 당연하며, 평화교육은 평화운동의 체계화와 제도적 의도
성을 지니게 된다.
이와 같은 평화교육의 사회적 속성을 고려하여 평화교육에 대한
근본적인 요구(Gronemeyer, Bums & Aspes eds. 장원석 외 역,
2005:339-341 재인용)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평화교육은 무기력을 극복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모든 유형의 학습은 학습자의 약점보다는 능력과 일
치해야 한다.
(2) 학습은 집합적인 과정이 되어야 한다. 다양한 학습이 상호교
류되어야한다.
(3) 평화교육은 만족의 왜곡을 적절히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학
습자의 필요성이 있는 곳, 일시적 만족이 있는 곳, 욕구가 더
이상 충족되지 않는 곳이 평화교육의 시발점이다.
(4) 평화교육은 자기 역할의 생산자인 인간이 적절한 자리를 잡
을 수 있는 조정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5) 소유욕이 인간을 지배하는 것을 경계해야하므로 평화교육은
삶의 질을 인식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해야 한다.
(6) 무한경쟁의 원칙을 견제할 수 있는 학습 공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평화교육의 장점이 있다.
* 참고문헌
- 이동신, 박기순(1996). 정치커뮤니케이션원론. 서울: 법문사
- 최정호 외(1995). 정보화사회와 우리. 서울. 소화
- 이수윤(1995). 정치철학. 서울: 법문사
- 김병렬 외(1985). 사회과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
- 김대환 외(1997). 참여민주주의와 한국사회. 서울: 창작과 비평사
- 전득주 외(1992). 현대민주시민교육론. 서울: 평민사

키워드

영향,   요인,   정의,   개념,   문제점,   배경,   방안,   현황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