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범죄인 재활의 역사적 전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영국으로부터 이송된 범죄인

Ⅱ. 퀘이커 교도

Ⅲ. 교육행형

Ⅳ. 비행청소년의 처우

Ⅴ. 교도소 폭동

Ⅵ. 교도소 운영체계

Ⅶ. 민영교도소

Ⅷ. 교정시설의 변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하
고 있다.
교정시설에 수용된 대부분의 미국 수용자들은 시설 내의 과포화 수용,
미비한 심리상담 서비스, 부족한 재정지원, 미비한 직업훈련, 교도소에
대한 일반 시민의 부정적인 시각 따위로부터 정상적인 처우를 받지 못하
였다(Berk & Rossi, 1977: 34). 수용자들이 이와 같은 상황에 처할 수밖에
없는 근본적인 이유 중 하나는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들과 함께 할 수 있
는 프로그램의 결여라고 볼 수 있다.
7)민영교도소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교정 당국은 교도소 운영의 민영화에
관한 논의를 활발히 진행하였다. 이 논의는 교정실무자, 학계인사, 언론
인들로부터 이루어졌는데, 이들은 특히 교도소의 고질병인 포화수용 문
제를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Murphy & Dison, 1990: 111). 미국에서 처음으로 운영하고 있는 민영교도소는 1975년 펜실베이니아 주의 위버
스빌(Weavers-ville)에 치료감호소로 세워졌다.
한편, "교정시설의 민영화는 교정에 관한 민간의 관심을 유도하고, 민
간의 참여를 촉진하며, 열린 교정을 펼쳐 나가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
다. "(최회찬, 1999:61)는 측면에서 민영교도소의 설치는 교정 당국의 주요
과제라고 할 수 있다.
8)교정시설의 변화
미국의 교정 당국은 교도소의 건설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내려고 상당
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예로 교정 당국은 1980년대에 소위 '제3세
대 시설' 이라고 불리는 '기능적인 시설의 운영 에 역점을 두었다. 이 표
어는 교도소 운영을 효과적으로 해낼 수 있었을 뿐 아니라 교도관과수용
자 관계를 바람직하게 조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다(Murphy & Dison,
1990). 이 기능적인 시설은 수용자와 교도관 관계를 더욱 밀접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늘리고, 프로그램에 수용자의 참여도를 높이며, 교도관의 수
를 줄이는 동시에 수용자의 부정행위를 예방할 수 있도록 재건축되었다
(Gitchoff, 1989:158).
* 참고문헌
- 경찰청(2005). 경찰백서
- 최옥채(2010). 교정복지론. 서울: 학지사
- 박광배(1995). 법심리학. 서울: 정민사
- 방정배(1996). 현대 매스미디어 원론. 서울: 나남
- 이무웅(1992). 보호관찰제도론. 서울: 도서출판 풍남.
- 설기문(1998).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서울: 학지사
- 이윤호, 공정식(1995). 교정학. 서울: 법률행정연구원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22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8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